한국 크루즈관광의 현황과 미래전략

Status and Futuristic Strategy of Cruise Tourism Industry in Korea

  • 투고 : 2011.10.11
  • 심사 : 2011.12.29
  • 발행 : 2011.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크루즈관광산업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한국의 크루즈관광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 과정에서 크루즈선 기항지로서 한국의 현황과 장단점, 크루즈선의 수용 및 항만시설의 내용, 크루즈이용객의 출입국 수속문제, 크루즈 연계관광프로그램 등과 관련한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 크루즈관광산업의 미래전략으로는 첫째, 중장기적인 마스트플랜의 수립, 둘째, 크루즈선 전용부두의 확충, 셋째, 국내크루즈선사의 육성기반 조성, 넷째, 출입국심사 간소화제도 도입, 다섯째, 크루즈선사에 대한 홍보활동의 강화, 여섯째, 크루즈노선의 확충과 연계관광벨트 개발, 일곱째, 크루즈전문인력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여덟째, 한 중 일 연계상품 개발 등이다. 이러한 제안들이 한국 크루즈관광산업의 육성과 발전을 위한 정책에 반영되고 실천될 때 크루즈선의 수용태세가 확실히 확립되고 크루즈관광객들의 인바운드 활성화도 크게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outh Korea's cruise tourism industry by pointing out current issue and presenting solutions in South Korea's cruise tourism industry. The study analyzed issues such as statu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ruise tourism industry to Korea, the capacity of cruise ships and port facilities, the immigration procedures for cruise passengers, and presented effective solutions. This study propose 8 futuristic strategies for cruise tourism industry in Korea that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mid-and long-term master plan, the expansion of cruise expert wharf, the composition of the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domestic cruise companies, simplification of immigration. Moreover, Korea has to strengthen its promotional activities for cruise companies, the expansion of cruise routes and development of linking tourism belt, activation of cruise specialists training program, and development of associated cruise product with China and Japa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희, "한국 크루즈산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7집 제1호, 2008, 200-202.
  2. 김도영, "크루즈(Cruise)여행 선택속성에 기초한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Tourism Research, 제22호, 2006. 27-47.
  3. 김혜숙, "우리나라 크루즈관광에 관한 연구-국내사업을 중심으로-", 관광정책학연구, 제10집 제1호, 2004, 23-43.
  4. 김홍섭, "크루즈(Cruise)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인천항의 경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집 제4호, 2008, 407-441.
  5. 문화관광부,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 보고서』, 문화관광부, 2007.
  6. 박기홍, 한중일 연계크루즈 관광사업 추진방안, 한국관광연구원, 1999, 87.
  7. 박봉규, "크루즈컨벤션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컨벤션연구, 제7집 제2호, 2007, 108-109.
  8. 박영기, "크루즈관광 상품속성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일본방문 한국인 관공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5집 제1호, 2010, 439-459.
  9. 백현, "크루즈 관광상품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24집 제3호, 2010, 207-220.
  10. 부산일보, 크루즈의 경제적 가치, 2006. 11. 22, 14.
  11. 부산일보, 지난해 크루즈 관광객 천2백1심만 명, 2007, 3. 23, 15.
  12. 부산항만공사, http://www.busanpa.com/Service.do?id=bptguide_ic_01, 2011.
  13. 신동찬, 크루즈기항지의 매력상평가 연구-중국인 관광객 중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경모, 크루즈산업의 이해, 서울: 대왕사. 2008.
  15. 이태우, "크루즈항으로서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해상교통정책, 12월호, 1998.
  16. 이태희․한혜숙, "신기성 욕구수준에 따른 관광목적지 브랜드 가치 비교연구-일본인 outbound 관광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19집 제1호, 2005, 231-247.
  17. 제주특별자치도, 국제크루즈 유치확대 시장조사 및 전략수립, 2009.
  18. 조선일보, 국제크루즈 부산항 방문 크게 늘어난다, 2010. 2 16, A27.
  19. 조선일보, 즐겁게 주머니 '터는' 일본, 2010. 4. 22, D2.
  20. 최용훈, "크루즈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여행학연구, 제29호, 2008, 107-126.
  21. 하명신․박경희, "동북아 크루즈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3호, 2007, 127-148.
  22. 하인수, "국내크루즈산업 장애요인", 관광연구저널, 제19집 제3호, 2005, 497.
  23. 하인수, "크루즈 브로셔에 관한 컨텐츠분석 카리브와 알래스카를 중심으로", 호텔경영연구, 제15집 제4호, 2006.
  24. 한국해사문제연구소, "크루즈관광산업 현황과 국내크루즈 활성화 과제", 해양 한국, 2008, 8-112.
  25.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크루즈관광산업의 발전기반 조성방안, 2008, 20-23.
  26. 해양수산부, 해양관광진흥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연구: 해양수산부의 해양관광개발 추진전략, 2008, 184-198.
  27. 해양한국, "동북아크루즈 성장잠재력", 해양한국, 1월호, 2007, 74-76.
  28. 한철환, "아시아 크루즈시장의 성장잠재력 및 시사점", 해양수산동향, 제905호, 1998.
  29. 황진회․홍장원․김은수, 크루즈 관광산업 발전기반 조성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30. 홍성인, "크루즈선의 시장현황과 한국의 진출전략", 산업경제분석, 3월호, 2006, 30-39.
  31. Cruise Lines International Association, 2006 Cruise Market Profile, Cruise Lines International Association, 2006.
  32. Douglas Ward, Ocean Cruising and Ships, Berlitiz, 2006, 26-29.
  33. Dwyer, L. and Forsyth, P., "Economics Significance of Cruise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25 No.2, 393-415.
  34. European Cruise Council, The ECC Annual Review Book, 2007, 48-49.
  35. Gold Hal, The Cruise Book, Delmar Publishers Inc., 1999.
  36. Kendall, L., The Business 0f shipping, Cornell, Maritime Press. 2007.
  37. Lee, J. D. and Ryu, J. S., "A Study on Sustainable Cruise Tourism and Its Impacts", J 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26 No.4, 2010, 247-268
  38. Ocean Shipping Consultants, The World Cruise Shipping Industry to 2020, 2009, 16-18.
  39. Royal Caribbean International, Specialist Manual Royal Caribbean Cruises. Royal Caribbean International, 2009.
  40. Royal Institution of Naval Architects, "Cruise plus Ferry 2008 Report", The Naval Architect, Vol.1, No.6, 2009, 59-62.
  41. Seatrade Communication Ltd., A Worldwide Analysis to 2015, Seatrade Communication Ltd., 2006.
  42. Tony Peisley, The Future of Cruise Boom or Bust? A Worldwide Analysis to 2015, Seatrade Communications Ltd., 2006, 109-210.
  43. UNWTO, Tourism 2020 Vision, UNWTO,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