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 배후부지 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for Competitiveness of Port Hinterland

  • 김율성 (부산발전연구원 광역기반연구실) ;
  • 김상열 (부산대학교 국제대학원)
  • 투고 : 2011.11.16
  • 심사 : 2011.12.29
  • 발행 : 2011.12.31

초록

기업들의 국제 분업화와 SCM(supply chain management) 체계 확산을 계기로 SCM과 물류가 통합되었으며,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에 의해 항만과 공항의 배후단지가 공급, 제조, 유통 등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또한, 글로벌 SCM 체계의 확산 과정에서 글로벌 기업들은 항만 및 항만 배후부지의 경쟁력을 평가하는데 있어 입지여건을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하였고, 기존의 물동량 창출과 함께 배후부지에서의 부가가치물류(value added logistics)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만 배후부지의 경쟁력 평가 모형을 수립하고, 7개 국내외 항만 배후부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AHP 분석을 통해 항만 배후부지 경쟁력 평가요인들의 중요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물류요인이 62.3%의 중요도를 보이며, 다음으로 배후경제요인(27.3%), 도시 및 정책요인(10.4%)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항만 배후부지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물류 요소에 대한 활성화방안 마련이 가장 필수적임을 의미한다. 특히, 항만의 서비스노선과 항공 네트워크망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 확충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국내외 7대 항만 배후부지 경쟁력에 대한 부산항의 평가 결과는 싱가포르, 홍콩, 상해에 이어 4위로 평가되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항만 배후부지 경쟁력 평가모형을 바탕으로 국내 항만 배후부지의 경쟁력을 평가하여 차별화된 인센티브 제공 등에 대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Global companies regard the conditions of a location as one of the most crucial factors to assess the competitiveness of ports and the port hinterland, as well as emphasize creation of throughput and the importance of value added logistics in the hinterland under diffusing Supply Chain Management(SCM). This study deals with the evaluation of competitiveness in 7 hinterlands and the establishment of assessment model in hinterland. This study analyzes the importance of factors for the port hinterland competitiveness using AHP method. As a result, logistics factor, accounting for 62.3%, is shown as the relative more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hinterland's economy factors(27.3%) and city/policy factor(10.4%). The result implicates that measures to activate logistics factors with relatively high importance are essentially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hinterland of Busan New Port. Especially, it is needed to establish service routes of the port and air networks and to expand infrastructure for support. This study also assesses the competitiveness of hinterlands for the seven domestic and foreign ports based on importance of assessment factors for the hinterland competitiveness using AHP analysis. Busan(3.903) is ranked fourth behind Singapore(4.570), Hong Kong(4.357) and Shanghai(4.042) in assess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우호.심기섭.장정인, "항만의 경쟁력 평가모형 구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
  2. 김율성.허윤수.이지훈, "국제산업물류도시의 물류비즈니스모델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2008.
  3. 김율성.허윤수.이지훈, "부산신항 배후부지 경쟁력 평가모형 개발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2010.
  4. 김원배.안형도.박세훈.정옥주.이성수, "동북아 대도시권 동태적 경쟁력의 비교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
  5. 김학소, "광양항 배후물류단지의 개발전략", 제2회 광양항 국제포럼 발표논문, 2002.
  6. 동아일보 미래전략연구소.모니터그룹, "경제자유구역", 동아일보사, 2009.
  7. 이기환.황두건.김명희, "부산항 신항 컨테이너터미널 배후단지 조성사업의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항만경제학회지, 제24집 제4호, 2008, 153-171.
  8. 이성우.고현정.김찬호.김근섭, "국제분업화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기업유치 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7.
  9. 임영태.이미영.류재영, "글로벌 통합물류체계 연결을 위한 Port Biz Valley 구축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9.
  10. 유주영, "인천항 배후물류단지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2009.
  11. 최광수.김형일.안승범, "우리나라 항만배후단지의 개발방향 및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항만경제학회지, 제21집 제2호, 2005, 147-172.
  12. 정홍자.최해범,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3호, 2011, 289-309.
  13. 해양수산부, "항만배후단지개발종합계획", 2006.
  14. Saaty, T.L. and Kearns, K.P., "Analytical Planning: The Organization of Systems", Pergamon Press, Oxford, 1985.
  15. Yehuda Hayuth, Intermodality : Concept and Practice, Lloyd's of London Press Ltd., 1987, 8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