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Application of Artificially Deteriorated Silk by Ultraviolets for Conservation of Paintings on the Silk

견본 회화보존처리에 자외선 인공열화견의 적용성 평가

  • Received : 2011.03.24
  • Accepted : 2011.05.23
  • Published : 2011.06.20

Abstract

A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properties of artificially deteriorated silk with ultraviolets for reinforcing of loss area of paintings on silk. Deteriorated surface of raw silk irradiated by long-wavelength ultraviolet(UV-A) than short-wavelength ultraviolet(UV-C) was similar to naturally aged raw silk. UV-A irradiation raw silk was slowly decreased in tensile tenacity and elongation and lowered in yellowness index than that of UV-C. Water content of UV-A irradiation raw silk than that of UV-C was higher. UV-A irradiation raw silk had no problem in dyeing and inpainting for conservation because of low yellowness index. UV-C irradiation raw silk was brittle, but UV-A irradiation raw silk was seemed to tough and similar to naturally aged raw silk. Korean painting conservator estimated that UV-A irradiation raw silk was more proper for reinforcing of loss area of paintings on silk than that of UV-C.

견본 회화 문화재의 보존처리의 보견작업에 적합한 자외선 인공 열화견을 얻기 위해 자외선의 종류,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열화견의 물리적 특성과 견본 회화 보존처리에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장파장 자외선(UV-A) 조사 열화견은 단파장 자외선(UV-C) 조사 열화견에 비해 자연상태에서 열화가 일어난 생견과 유사한 표면 손상 형태를 보였다. UV-C 열화견은 자외선 조사와 함께 강도가 급격하게 떨어져 54시간을 조사하였을 때 원래 강도의 12.7%까지 저하한 반면 UV-A 열화견은 168시간 조사하였을 때 원래 강도의 14.2% 수준으로 떨어져 강도 저하가 완만하였다. UV-A 열화견의 수분율은 자외선 조사시간의 증가와 함께 7.3%까지 떨어지다가 증가하지만 UV-C 열화견은 6.0%까지 떨어지다가 다시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으로 UV-A 열화견의 수분이 높았다. UV-A 열화견은 밝은 황색을 띠며 황변지수가 낮은 반면 UV-C 열화견은 어두운 황갈색이며 황변지수가 높았다. 견본 회화 보존처리에의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 UV-A 열화견은 UV-C 열화견에 비해 황변에 의한 색상차가 크지 않아 보견 작업시 염색이나 보채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이며, 강도면에서 UV-C 열화견은 섬유가 부서지기 쉬운 상태인 것과는 달리, UV-A 열화견은 자연상태에서 열화가 일어난 생견과 유사한 속심이 살아있는 듯한 느낌을 띠었다. 그리고 UV-A 열화견과 UV-C 열화견 모두 친수성을 가져 보채에는 문제가 없었다. 전반적인 평가 결과 UV-C 열화견 보다 UV-A 열화견이 견본 회화의 보견에 사용하기 적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樋口清治, 西浦忠輝, "国宝修理装潢師連盟, 電子線による補修用絹の劣化促進処理". 表具の科学, 東京国立文化財研究所, 東京, p160-163, (1977).
  2. 中條利一郎, 井上嘉, 岡岩太郎, "電子線劣化絹の電子顕微鏡観察". 文化財保存修復学会 第19回大会 講演要旨集, p32-33, (1997).
  3. 日本 特許, 特開昭 49-86696, 文化財補修用絹布の製造方法, (1974).
  4. 川野辺渉, 佐野千絵, 米山めぐ美, 三浦定俊, 田畔徳一, 岡岩太郎, "紫外線劣化絹の修復材料への応用の可能性". 保存科学, 35, p40-48, (1996).
  5. 佐野千絵, 米山めぐ美, 川野邊渉, 増田勝彦, 三浦定俊, 間淵久夫, "電子線劣化など各種劣化促進処理など補修用絹の劣化機構に関する考察". 保存科学, 40, p1-13, (2001).
  6. 日本 特許, 特開平 9-67763, 紫外線を用いた文化財修復用人工劣化絹の調製方法, (1997).
  7. F.W. Billmeyer, Jr, M. Saltzman, "Principles of Color Technology". 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p65, (1981).
  8. 平林潔, "絹の劣化と保存", 古文化財の科学, 26, p24-34, (1981).
  9. Yoshikuni Yanagi, Yoshiyuki Kondo, Kiyoshi Hirabayashi, "Structure and deterioration of silk fabrics of the edo period", 日本蚕糸学雑誌, 69, p105-109, (2000).
  10. 瀬戸山幸一, "絹の黄変に関する研究 III. 黄変に及ぼす水の影響と黄変絹のアミノ酸組成の変化". 日本蚕糸学雑誌, 45, p351-357,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