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파장 자외선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UV-cut Finish of Cotton Using Polycarboxylic acid and Vitamin C (폴리카르복시산과 Vitamin C를 이용한 면섬유의 자외선 차단 가공)

  • Lee, Sang-Uk;Choi, Min-Young;You, Mi-Dum;Jang, J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30-30
    • /
    • 2011
  • 산업화 과정에 방출된 할로겐 화합물 및 프레온 가스가 오존층을 파괴하면서 많은 양의 자외선이 지표에 도달하여 생태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자외선은 살균, 소독작용 및 Vitamin D 합성을 위해 생명체에 필수적이지만 과다할 경우 색소침착, 피부노화, 피부암 발생, 백내장의 증가, 면역기능저하 등의 피해를 준다. 자외선은 파장 영역에 따라 UV-A(장파장 자외선), UV-B(중파장 자외선)및 UV-C(단파장 자외선)으로 나뉜다. 이 중 인체에 가장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단파장의 UV-C는 파장이 짧아 침투력이 미약해 오존층과 성층권에서 대부분 흡수되므로 생물학적으로 큰 의미는 없다. 그러나 자외선 중 UV-B와 UV-A 영역의 자외선은 인체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므로 이들 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Vitamin C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이라고도 불리며 미백효과, 주름 개선, 자외선 차단 및 항산화 작용을 하지만 섬유가공 시 Vitamin C는 쉽게 산화되며 세탁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교제를 필요로 한다. Vitamin C를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성 섬유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포름알데히드를 유리하지 않는 폴리카르복시산 가교제 중 하나인 Citric Acid(CA)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면직물에 처리했을 때 에스테르 형 가교를 형성하여 내세탁성을 가질 수 있었다. 자외선 차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KS K 0850 섬유제품의 자외선 차단율 및 차단지수 시험방법으로 평가하였다.

  • PDF

Photoresponsivity of ZnO Schottky barrier diodes (ZnO 산화물반도체(酸化物半導體)를 이용(利用)한 자외선(紫外線) 광(光)센서에 관한 연구(硏究))

  • Oh, Dong-Cheol;Han, Chang-Suk;Koo, Kyung-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05a
    • /
    • pp.207-208
    • /
    • 2006
  • 분자선(分子線)에피택시법(法)으로 성장(成長)한 ZnO 산화물반도체(酸化物半導體)를 이용(利用)하여 제작(製作)한 쇼트키배리어 다이오드에 대하여 자외선(紫外線) 광(光)센서로서의 광특성(光特性)을 조사(調査)한다. 첫째, 백색광(白色光) 조사시(照射時) 포화전류치(飽和電流値)가 100배(培) 이상(以上) 증가(增加)하는 광(光)여기 특성(特性)을 나타낸다. 둘째, 조사(照射)하는 �셈� 파장(波長)에 대하 390nm의 차단장파장(遮斷長波長)을 갖으며 195nm 이상(以上)의 밴드폭을 갖는 파장감도특성(波長感度特性)을 나타낸다. 셋째, 자외선(紫外線)에 대해 0.36msec의 시정수(時定數) 갖는 것으로 평가(評價)된다. 따라서, ZnO 산화물반도체(酸化物半導體)는 향후(向後) 자외선(紫外線) 광(光)센서소자의 재과(材科)로서 기대(期待)되어진다.

  • PDF

Estimation of Application of Artificially Deteriorated Silk by Ultraviolets for Conservation of Paintings on the Silk (견본 회화보존처리에 자외선 인공열화견의 적용성 평가)

  • Oh, Joon-Suk;Chun, Ji-Youn;Lim, In-Kyung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7 no.2
    • /
    • pp.191-199
    • /
    • 2011
  • A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properties of artificially deteriorated silk with ultraviolets for reinforcing of loss area of paintings on silk. Deteriorated surface of raw silk irradiated by long-wavelength ultraviolet(UV-A) than short-wavelength ultraviolet(UV-C) was similar to naturally aged raw silk. UV-A irradiation raw silk was slowly decreased in tensile tenacity and elongation and lowered in yellowness index than that of UV-C. Water content of UV-A irradiation raw silk than that of UV-C was higher. UV-A irradiation raw silk had no problem in dyeing and inpainting for conservation because of low yellowness index. UV-C irradiation raw silk was brittle, but UV-A irradiation raw silk was seemed to tough and similar to naturally aged raw silk. Korean painting conservator estimated that UV-A irradiation raw silk was more proper for reinforcing of loss area of paintings on silk than that of UV-C.

특집 : 레이저 기반 초정밀 초고속 가공시스템 - 복합형 자외선 DPSS(diode pumped solid state) 레이저 발진기 기술

  • No, Yeong-Cheol;Lee, Yeong-Rak;Yu, Bong-An;Sin, U-Jin;Jeong, Chang-Su
    • 기계와재료
    • /
    • v.22 no.1
    • /
    • pp.14-21
    • /
    • 2010
  • 초미세 레이저 가공기술은 미세화, 대면적화, 고속화의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를 대응한 레이저의 사양도 파장의 단파장화 또는 펄스폭의 극초단화, 펄스 반복률의 고반복률화, 출력의 고출력화가 요구되고 있다. 극초단 펄스레이저는 사용자 편의성, 안정성 측면에서 산업체의 요구에 미흡하다. 이에 따라 산업용 초미세 레이저 가공을 위한 광원으로 고품질, 고출력의 단파장 자외선 레이저 활용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고품질 자외선 레이지는 DPSSL 형태로 구성되어 출시되고 있고, 거의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외 자외선 UV 현황을 간단히 기술하고, 광주과기원 고등광기술연구소에서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개발중인 복합형 자외선 DPSSL에 대한 개발 계획 레이저 특성과 현재의 개발 진행 상황을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n UV Exposure in Coastal Buildings (연안건축물의 자외선 노출에 따른 안전성 연구)

  • Kim, Taehwan;Uh, Jes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2
    • /
    • pp.195-205
    • /
    • 2021
  • Purpose: The ultraviolet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of coastal building materials ar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ultraviolet radiation in and out of coastal building. In this research, the ultraviolet spectral reflectance of many kinds of building materials was measured. Also, the relationships with the lightness, roughness, and chromaticity, which are surface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and suggested. Metho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CIE classification, the ultraviolet region was defined as short-wavelength region UV-C(10nm~280nm), medium-wavelength region UV-B (280-315 nm), and long-wavelength region UV-A (315-400nm), and the visible light region was defined as (400nm~780nm). Spectrophotometer was used to continuously measure the reflectance from the ultraviolet region to the visible light region. Results: From the measurement results, the ultraviolet reflectance on Wood was shown to be about Visible 55-68%, UV-A* 7-12%, and UV-B 4-5%. Wall tiles are about Visible18-40%, UV-A* 8-20%, and UV-B* 7-8%. That on concrete was shown to be about Visible 37%, UV-A* 28%, and UV-B*19%. Conclusion: The ultraviolet reflectance can be estimated by visible reflectance. Also, it is important to select a variety of material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when blocking UV.

UV LINE EMISSIONS OF W UMa STARS (W UMa형 별들의 UV 방출선 연구)

  • 김용기;한동주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7 no.1
    • /
    • pp.39-44
    • /
    • 2000
  • We reinvestigate UV line emissions of 44i Boo, W UMa, AW UMa and VW Cep, which are indicaters of chromospheric activity of these stars. C I, C II, C IV, Si IV lines show significant variation in orbital phase. Among those lines, the Line of C IV showed the strongest line flux. while other Si IV and N V lines showed relative low line intensities. 44i Boo emitted the strongest flux than other stars. UV light curves of target stars shoed UV maximum at phase around 0.2 an 0.8 Such UV emissions are generally believed to be observed at the active regions and contacting parts of the two stars due to the clear visibility at the phase 0.2 and 0.8. Total emissivity of four transitions lines lead to conclude that the activity of this region is 40 times larger than the quiet sun. It is obvious that the activity decrease according to increase period. We obtained also Mg II light curve of AW UMA and VW Cep. These stars showed more clearly phase-dependent light curves. We estimated effective temperature of two star, AW UMa and VW Cep, using by Mg II flux.

  • PDF

Side Polished Fiber Optic UV Sensor Using Evanescent Coupling of Photo-Functional Polymer (광기능성 폴리머의 소산장 결합을 이용한 측면연마 광섬유형 자외선 센서)

  • Kim, Sang-Woo;Seo, Gyoo-Won;Yoon, Jong-Kuk;Jang, Su-Won;Yu, Yun-Sik;Lee, Seung-Ha;Kang, Shin-Won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11 no.6
    • /
    • pp.335-341
    • /
    • 2002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a novel UV sensor using evanescent field coupling between the side polished fiber and photo-functional polymer waveguide. It was found that resonant wavelength shifts occur due to variation in the refractive index of polymer planar waveguide for its photo-functional properties on exposed UV. Spiroxazine (photochromic dye) was used as the planar waveguide. The resonant wavelength responses were exhibited at 1.44 nm/mW, 1.64 nm/mW, and 1.78 nm/mW when UV irradiations were exposed for 20 seconds, 30 seconds, and 40 seconds, respectively. The recovery time of sensor was independent of UV exposure power and 90% recovery time was 100 seconds.

산화아연의 박막 또는 나노선의 전기화학적 합성과 자외선 센서의 적용

  • Yun, Sang-Hwa;Lee, Dong-Gyu;Yu, Bong-Yeong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26.2-26.2
    • /
    • 2011
  •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산화아연(ZnO)은 레이저 다이오드, 가스 센서, 자외선 센서, 투명전극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어 연구개발이 폭 넓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3.3 eV의 direct bandgap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ZnO은 현재 자외선센서로 많이 적용되고 있는 물질인 GaN계열을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물질로 주목 받고 있다. 공기중의 산소나 수분의 표면반응에 의한 자외선 측정을 하는 ZnO을 나노선으로 만들게 되면, 표면대비 부피비가 박막에 비해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민감도가 커지고 반응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센서의 민감도와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기화학적 합성법을 통해 ZnO의 박막과 나노선을 제조하였다. 사진공정을 통해 3 ${\mu}m$의 간격을 가진 금(Au) 전극을 만든 후, 전기화학적 합성법을 통해 아연이온이 포함된 용액에서 정전류를 흘려보내 아연 또는 ZnO을 증착시킬 수 있었다. 첫 번째로 ZnO을 양쪽 Au 전극에서 동시에 증착하여 두 박막이 접합하였고, 두 번째는 100nm의 지름을 가진 Ni 나노선를 전극 양쪽에서 자석을 통해 자기장을 형성해 정렬시키고 ZnO을 Au 전극과 Ni 나노선에 증착한 후, Ni 나노선를 산화시킴으로써, ZnO 나노구조를 형성하였다. 세 번째로는 Au 전극 양쪽에 아연을 전기화학적 합성을 하여 박막으로 증착하고 고온에서 산화과정을 통해 100 nm 이하의 지름을 가진 ZnO 나노선를 형성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세가지 구조의 ZnO의 나노구조와 결정성은 주사전자현미경과 X선 회절 분석기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자외선에 대한 민감도와 반응성은 365 nm의 파장을 가진 자외선발생기와 소스미터장치를 통해 측정하였다. 박막에서 100 nm 이하의 지름을 가진 ZnO 나노선로 갈 수록 자외선에 대한 민감도와 반응성이 향상되었다.

  • PDF

Measurements of Nonlinear Optical Susceptibilities (비선형광학 계수측정)

  • 이범구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150-151
    • /
    • 2000
  • 비선형광학은 1962년 Franken과 그 동료진에 의하여 루비 레이저빛을 수정결정에 입사시킨 결과로 루비 레이저파장의 반에 해당하는 자외선빛의 발생을 관찰한 이후 지난 40년간 급속히 발전해온 광학의 한 연구분야로, 물질내에 전기장에 대하여 2차이상에 비례하는 분극이 유도됨으로 인하여 생기는 모든 효과를 통칭 비선형광학효과라고 한다. 그중 제2차 비선형현상은 광전효과를 이용한 빛변조, 제2차고조파 발생 및 합/차 주파수파발생을 통한 다양한 파장의 결맞은 광원으로서 응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제3차 비선형현상으로 Optical bleaching, 자체집광/퍼짐, 광학적 고립파 및 Optical Switching 등 빛을 이용한 빛제어(Light control by light)를 할 수 있는 응용성이 있어 오늘날 까지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