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공사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Occurred Possibly in a Civil Project

  • 투고 : 2011.12.13
  • 심사 : 2011.12.28
  • 발행 : 2011.12.31

초록

자연적, 기술적, 생물학적 재해에 의해 유발된 다양한 리스크가 조직의 업무연속성에 위협을 미친다. 업무연속성은 모든 조직에 가장 중요한 과제로써 그것을 적절히 관리하는 것은 조직의 성패를 가르게 된다. 업무연속성계획(BCP)은 업무연속성을 담보할 수 있는 관리 절차로 정의될 수 있다. BCP는 리스크관리, 상시운영계획, 재난대응/복구, 훈련/학습, 위기 전달 등을 포함한다. 이중에서 리스크관리는 리스크확인, 분석, 평가 처리를 하기 위한 체계적 방법으로 리스크평가는 리스크확인, 분석, 평가로 구성된다. 리스크평가는 BCP를 계획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관거 매설 공사에 대해서 리스크평가를 수행하였다. 리스크평가 과정을 통해 건설 공사에 위협을 주는 18개의 리스크를 확인하였고 이들에 대한 리스크 수준 분석을 통해 대책이 필요한 가장 상위 수준의 리스크로는 '굴착면의 붕괴', '지중매설물 파손', '소음 및 먼지날림', '원자재값 상승'으로 나타났다.

A variety of risks caused by natural, technological and biological hazards threaten a business continuity of an organization. Business continuity is very important issue for all organizations and its proper management may control success and failure of an organization. Business continuity plan (BCP) may be defined as a management process which provides a business continuity. BCP includes risk management, operational continuity plan, response/ recovery, exercise/study and crisis communication, etc. Risk management is a systematic method to identify, analyze, evaluate and treat emergency risks and risk assessment is composed of identifying, analyzing and evaluating emergency risks. Risk assesment is the first step for making BCP. In this study, risk assessment has been conducted for sewer laying project. Through assessing risks, 18 risks that may threaten the construction operation are identified and it is founded to be that high levels of risks which require treatment are 'collapse of excavation surface', 'breakage of ground infra-facilities', 'noise & dust dispersion' and 'rise of material cos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가소진, 이기정, 이희성, 박진섭, 2008, 업무연속성계획 수립을 위한 업무영향분석 방법론 연구, 2008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452-455.
  2. 가소진, 2009, 정보시스템 비상계획 수립을 위한 업무영향분석 방법론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p. 67.
  3. 강희조, 2009, 재난 안전 관리 및 표준화 동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행학회논문지, Vol. 13, No. 5, pp. 799-804.
  4. 김윤호, 2009, IT기업의 재난 대비를 위한 업무연속성계획, 2009 한국정보기술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868-872.
  5. 류지협, 2006, BCP 표준을 활용한 사회기반 시설물의 재난관리 필요성-NFPA 1600 규정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지, Vol. 54, No. 5, pp. 41-49.
  6. 법제처, 2011,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법제처.
  7. 소방방재청, 2011, 소방방재 주요통계 및 자료, 소방방재청, p. 294.
  8. 이근재, 2010, 산업체 재난 조기대응을 위한 최적재해경감방안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 180.
  9. 이영재, 윤정원, 2004, BCP 입문, 디지털타임스, 서울, p. 198.
  10. 한국BCP협회, 2009, 재난관리 실무과정, 한국BCP협회, p. 229.
  11. Emergency management Australia, 2004, Emergency risk management applications guide, Emergency management Australia, p. 56.
  12. Wikipedia, 2011, PERT, www.wikiped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