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DAPS 모델의 강수량과 실측강수량의 비교를 통한 적용성 검토

Comparison Study of Rainfall Data Using RDAPS Model and Observed Rainfall Data

  • 정창삼 (인덕대학 토목환경설계과) ;
  • 신주영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
  • 정영훈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허준행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Jeong, Chang-Sam (Department of Civil and Envoronment Design, Induk University) ;
  • Shin, Ju-Young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Yonsei University) ;
  • Jung, Young-Hun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Heo, Jun-Haeng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11.02.14
  • 심사 : 2011.03.07
  • 발행 : 2011.03.31

초록

최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호우의 증가로 피해가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른 대책으로 단기예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상청에서는 전구 모형인 GDAPS와 지역 모델인 RDAPS를 이용하여 정량적 예보인 수치 예보를 하고 있다. RDAPS 모델을 이용하여 생성된 자료는 3시간의 누적 강수량으로 48시간에 대한 예측 자료를 12시간 간격으로 00UTC와 12UTC를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의 RDAPS의 결과를 9가지의 경우에 대하여 일강수량으로 변환하였으며,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면적평균강수량 (MAP)을 산정하였다. 또한, 기상청 강우관측소의 관측강우량과 절대상대오차평균 (AARE)을 산정하여 가장 정확한 변환의 방법을 제시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The climate change has been observed in Korea as well as in the entire world recently. The rainstorm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and then the damage has been grown. It is getting important to predict short-term rainfall.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generates numerical model outputs which are computed by 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GDAPS) and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RDAPS). The KMA predicts rainfall using RDAPS results. RDAPS model generates 48 hours data which is organized 3 hours data accumulated at 00UTC and 12UTC. RDAPS results which are organized 3 hours time scale are converted into daily rainfall to compare observed daily rainfall. In this study, 9 cases are applied to convert RDAPS results to daily rainfall data. The MAP (mean areal precipitation) in Geum river basin are computed by using KMA which are 2005 are used. Finally, the best case which gives the close value to the observed rainfall data is obtained using the average absolute relative error (AARE) especially for the Geum River basi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남욱 (1994). 1991년 7월21일 수원지방에 집중호우를 일으킨 뇌우의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 김용상, 오재호, 이정은, 김태국 (1998). “LAPS/ARPS를 이용한 국지 호우 사례의 분석 및 수치 모의.” 한국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한국기상학회, pp. 168-177.
  3. 최준태, 오재호(1999). “고해상도 수치모델을 이용한 제주 지역 국지강수 예측성 연구.” 한국수자원학회학술발표회, 한국수자원학회, pp. 52-55.
  4. 한국수자원공사 (2005). 유역 물 관리 운영 기술 개발.
  5. 홍성유 (1992). 한반도에서 발생한 집중 호우의 수치모의 실험.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피인용 문헌

  1. Long-term Streamflow Prediction Using ESP and RDAPS Model vol.44, pp.12, 2011, https://doi.org/10.3741/JKWRA.2011.44.12.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