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Studies on Heating and Cooling Loads' of a Building Varied by Annual Weather Data

연도별 기상데이터를 활용한 건물의 냉.난방부하 특성 비교

  • Lee, Ji-Hoon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Hwang, Kwang-Il (Div. of Mechanical & Energy Systems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이지훈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냉동공조공학과) ;
  • 황광일 (한국해양대학교 기계.에너지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1.02.28
  • Accepted : 2011.03.21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a building's heating and cooling loads depending on the weather variation. Followings are the results.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speeds of standard year are bigger than those of 2006~2009. The 2006~2009's total horizontal solar irradiance is greater than that of standard year, and the direct solar irradiance of standard year is bigger in winter and vice versa in summer. As results of simulation on heating and cooling loads,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bilateral influences between maximum thermal loads and annual's. The equivalent-time operating ratio(EOR) is defined on this study to estimate the differences between year and year, and the EOR of standard year shows low value comparing to 2006~2009 years'.

본 연구는 건물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기상데이터 변화에 따른 건물 냉 난방부하량을 예측하고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것으로,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1)기상청에서 입수데이터를 평가툴인 ESP-r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항목별 기상데이터를 개발하였다. 표준기상 데이터의 외기온도, 습도, 풍속은 대부분의 경우 기상청데이터 보다 크거나 높았다. 수평면전일사량은 기상청데이터가 높았고, 직달일사량은 겨울철에는 표준기상데이터가, 여름철에는 기상청데이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대학교 캠퍼스 내에 신축된 후생복지관을 대상으로 한 시뮬레이션 결과, 최대난방부하의 경우 표준년도, 2006년, 2009년이 비슷한 반면 2007년은 표준년도 대비 81%, 2008년은 96% 수준이었고, 연간난방부하는 2006년, 2008년의 순으로 난방수요가 많았다. 한편, 냉방부하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최대냉방부하가 큰 2007년, 2009년의 연간 냉방부하보다 최대냉방부하가 가장 적은 2008년의 연간냉방부하가 더 큰 결과를 보였다. 3)냉 난방기기의 상당시간가동률을 평가한 결과, 표준년도의 최대부하대비 상당시간가동률은 2006~2009년이 표준년도에 비해 대부분 가동률이 낮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두천(1996), “건물의 공조부하계산용 표준 전산프로그램 개발 및 기상자료의 표준화 연구” 공기조화.냉동공학회
  2. 김영호, 박정원(1999),“최신공기조화설비”, 보문당
  3. 기상청, “http://www.kma.go.kr”
  4. 윤종호(2000), “서울지역 실측일사량을 이용한 일사량 직산분리 모델의 정밀성 검증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제20권 1호, pp.45-54
  5. 이재헌, 최영돈, 조성환(1999),“국내외 부하해석 프로그램의 해석결과 비교”, 공기조화.냉동공학회 공조부문강연회
  6. 조성환, 태춘섭, 박상동(2002), “그린빌딩의 커미셔닝 사례”,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pp.377-383
  7.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대한민국 표준년도 기상데이터”, 등록번호 (2009-Busan-R-002)
  8. Akashi, Yasunori(2011), “Introduction of Commissioning in Japan”, YSRIM2011 Proceedings
  9. Cho, Y. H.(2011),“Building Continuous Commissioning”,YSRIM2011 Proceedings
  10. Esp-r, “http://www.strath.ac.uk/esr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