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건물에너지

Search Result 1,44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pecial Column - 공공건물 에너지절감 노력으로 미래성장동력 키운다

  • Jo, Hang-Mun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2
    • /
    • pp.28-33
    • /
    • 2010
  • 국가에너지 총 사용량의 건물에 대한 에너지 부문은 약 28%를 차지하고 있으며, 서울시의 경우는 약 58%가 건물 에너지 소비로 사용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하여 서울시는 '친환경 건축기준'을 발표하고 조례 시행 중에 있다. 공공건물에서의 에너지 절감은 어떤 효력을 가지고 있을까.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공공건물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이용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국가 예산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가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에 기여하면서 미래성장동력인 녹색 성장을 활성화하는데 밑바탕 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와 관련해 국내 공공건물 에너지 정책과 해외 공공건물의 에너지 정책 사례를 살펴보고, 나아가 에너지절감 기술의 적용 방안을 소개한다.

  • PDF

중국의 건물에너지 효율 개선 정책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22
    • /
    • pp.62-67
    • /
    • 2003
  • 현재 건축중인 대부분의 신축 건물들은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예전의 설계 원칙에 따라 지어지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난방을 직접 조절할 수 없는 1950년대부터 사용되어 온 중앙 난방시스템식 설계를 기초로 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신축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1980년대 초에 지어진 건물에 비해 $50\%$정도 높게 향상시키고자, 난방지역에 있는 건물에 대한 새로운 에너지 효율 기준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 기준은 거의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 PDF

건물에너지 효율개선사업과 ESCO 시장

  • Kim, Min-Gyeong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79
    • /
    • pp.12-19
    • /
    • 2012
  • 본고에서는 ESCO 시장이 성장하기 위하여 건물부문 대상을 1만$m^2$이상 대형건물, 에너지다소비건물, 소규모 건물로 설정하여 정책 및 제도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개별적인 건물에너지 효율개선사업이 아닌, 유형별, 공간별로 집단화하여 ESCO사업으로 추진하고, ESCO에 대한 홍보와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시범사례를 구축 및 확산하기 위하여 해외사례와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Energy Management Technology for High Energy-Efficient Building (고효율 건물 에너지관리 기술동향)

  • Park, W.K.;Jeong, Y.K.;Lee, I.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6
    • /
    • pp.10-20
    • /
    • 2011
  • 글로벌 기후변화 및 에너지 부족이라는 문제는 단순한 어려움이 아니라, 인류 생존의 위협이라는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 환경에서도 탄소배출 규제라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향후 점차 에너지 소비 및 탄소배출 저감이라는 문제가 더욱 강조될 것이다. 이러한 즈음에 맞추어 국내 전체 에너지의 25%를 차지하고 있는 건물 에너지 소비에 대한 관리 분야는 국가적으로도 관심을 소홀이 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이에 지식경제부에서는 100대 전략 후보기술에 "건물 및 집단 에너지 최적 운영 시스템" 분야를 선정해 놓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건물 에너지관리 기술에 대한 현황 및 동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최근 건물 에너지관리 분야에서 주요 기술로 인식되고 있는 통합관제센터에서 다수 건물의 에너지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함으로써 건물 관리 측면에서 경제성을 제공하고, 통합관제센터의 에너지 전문가 또는 전문가 시스템에 의해 에너지 최적화 방안을 도출해내는 원격 에너지관리 시스템 기술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를 위해 현재 대표적인 연구개발 사례로 고효율 건물 에너지 감응형 EMM 플랫폼 기술개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 PDF

태양열 이용과 건물에너지 절약기술

  • 전홍석
    • 보일러설비
    • /
    • s.61
    • /
    • pp.56-63
    • /
    • 1999
  • 태양열 이용은 대체에너지자원 가운데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고 기술력에 따라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는 태양열에너지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친화적이며, 친환경적인 접근방식으로 기술 개발 및 이용보급 정책을 함께 추진해야 할 것이다. 건물에너지 절약 기술도 국가에너지수요의 $30{\%}$이상을 차지하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건물에너지 수요를 효율화하고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기존의 건물에너지 이용방식의 문제, 효율개선방안, 그리고 신기술개발 및 환경친화적 건축설계등 기술 개발과 건축관련 정책을 병행 추진해야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술개발 계획 수립, 연구개발 수행, 기술 이전 및 상용화 그리고 실용화 보급정책 시행의 전과정에 걸쳐 상호 보완적이고 체계적인 운용으로 효율을 극대화하고 파급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 에너지기술개발 10개년 계획의 목표와 틀 안에서 대체 에너지 기술 개발사업과 에너지 효율향상 기술개발 사업에 포함되어 있는 태양열 이용과 건물 에너지 절약기술에 관련된 프로그램들을 중심으로 효율적 운영방안 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각각의 프로그램들이 가지는 특성과 연관성을 검토하여 추가 보완사항이나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nergy Consumption Patterns for Various Building Types in Taejon (대전지역의 건물별 에너지 소비패턴에 대한 실태조사)

  • Kim, B.S.;Kim, Y.D.
    • Solar Energy
    • /
    • v.18 no.3
    • /
    • pp.41-5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ergy consumption status for various building types in Taejon. 35 sample buildings were classified into 8 building types, i.e., sports center & swimming pools, hotels, telecommunication exchange service facility, hospitals, research laboratories, department stores, exhibition galleries, universities. According to analyses, energy consumption patterns varies significantly for each building type. Sports centers consumes highest rate(689 $Mcal/sqm{\cdot}yr$) and universities lowest rate(86 $Mcal/sqm{\cdot}yr$) among selected building types.

  • PDF

Design of Remot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on Data Warehouse (데이터 웨어하우스 기반의 원격 건물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설계)

  • Kim, Tae-Hyung;Jeong, Yeon-Kwae;Lee, Il-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110-1112
    • /
    • 2015
  • 에너지 절감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약 20% 이상을 차지하는 건물 분야는 정부의 정책과 제도적인 지원 하에 에너지 절감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특히 $3000m^2$ 이상의 중대형 건물의 경우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기반의 건물에너지 관리가 의무화 될 예정이다. 하지만 기존 BEMS의 경우 특정 기업에 의한 단독 솔루션 형태로 제공되고 있어 BEMS간 데이터 상호호환성을 보장하지 않고, 단순 모니터링 기능에 의존하여 저장/관리 되지 않고 버려지는 데이터들이 많아 차후 문제가 발생한 경우 과거 데이터를 통한 분석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물에너지 통합관리 측면에서 원격지에 설치된 다양한 BEMS들의 센서/미터 데이터들을 웹을 통해 수집하고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저장/관리되며 건물에너지 통계, 분석 및 진단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기반의 원격 건물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설계에 대해 서술한다.

3D BIM-based Building Energy Efficiency Solution for Carbon Emission Reduction (탄소저감을 위한 3D BIM 기반 건물 에너지 효율화 방안)

  • Lee, Dong Hwan;Kwon, Kee Jung;Shin, Ju Ho;Park, Seung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3
    • /
    • pp.1235-1242
    • /
    • 2013
  • This study deals with the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ased energy performance analysis implemented in EnergyPlus. The BIM model constructed at Revit is updated at Design Builder, adding HVAC models and converted compatibly with the EnergyPlus. We can obtain the input values about HVAC system and building environment such as HVAC system efficient, the number of air changes and energy consumption of equipment on applying GAs (Genetic algorithms). After modification about HVAC system, Optimization about HVAC system energy consumption can be analyzed. In order to maximize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 genetic algorithm (GA)-based optimization technique is applied to the modified HVAC models. Throughout the proposed building energy simulation, finally, the best optimized HVAC control schedule for the target building can be obtained in the form of "supply air temperature schedule". Throughout the supply air temperature schedule is applied to energy performance simulation, we obtained energy saving effect result on simulation.

A Study on the Analysis and Methods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Energy Database (국가 건물에너지통합관리시스템의 데이터 품질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Kim, Sung-Min;Yoon, Jong-Don;Kwon, Oh-In;Shin, Sung-Eu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5 no.1
    • /
    • pp.131-144
    • /
    • 2016
  • Damage occur frequently around the world on climate change and the main caus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regulation is growing. To this end, the government has buil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national building energy. The building energy information is total 6.8 million complex.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national building energy database are matched building registers information and energy information of the supply agencies. However, the matching process has its limitations so advanced work is in progress continuously. This study analyze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national building energy database quality and limitations and deduce improvement plan to increase system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The existing database matching average rate is 85.6%. 58.2% of the total non-matching data type has no building information. To ensure the ease of new database matching and the accuracy of the existing database matching, address standarization and building properties system are needed between building information and energy information. Also, The system construction is required to include information on other energy sources like petroleum energy which has high proportion of non-urban areas and small residential areas and renewable energy which has high potential i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문제점 해결기법을 이용한 에너지절감 방안

  • Kim, Tae-Ho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3.04a
    • /
    • pp.679-685
    • /
    • 2013
  • 건물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문제점 해결 기법을 이용하여 건물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건물 에너지 사용 실태를 분석하고, 에너지 사용용도별로 구분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