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atus of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of Sea Port Cities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

해항도시의 해양환경 관리실태 분석 -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

  • Kim, Sang-Goo (Division of Maritime Administration,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김상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행정학과)
  • Received : 2011.02.07
  • Accepted : 2011.04.12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ways to improve the actual conditions of ocean environment by conducti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ent sea-water quality of Busan Metropolitan City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that are representative sea port cities in Korea. The indices used to evaluate the sea-water quality include water temperature, salt content, PH, DO, COD, DIN, T-N, DIP, T-P, Sio2-Si, floating materials, and Chi-a.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cean environmental states of Busan Metropolitan City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are getting increasingly worse between the year of 2000 and 2003. Second, T-N, DIP and T-P have been main contributors in worsening ocean environmental states of Busan Metropolitan City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항도시이며, 우리나라의 해양수도 및 동북아 관문항을 지향하는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해양환경 관리실태를 비교 분석하고 이의 제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해양환경지표로서 수온(C), 염분(‰),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DO: mg/l),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mg/l), 용존무기질소(DIN: mg/l), 총질소(T-N: mg/l), 용존무기인(DIP: mg/l), 총인(T-P: mgp/ml), 규산규소(Sio2-Si), 부유물질(mg/l), 클로로필(Chi-a: ${\mu}g/l$) 등의 총 12개 지표들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경우 2000년도부터 2003년도까지는 해양환경상태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산광역시 및 인천광역시의 해양환경상태를 악화시키고 있는 해양환경지표는 총질소, 용존무기인, 총인 등으로 나타났고, 이들 해양환경지표들은 해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환(1992), 지역복지지표의 설정과 그 적용 - 강원도시군의 사례, 한국행정학보, 제26권 제2호, p.692.
  2. 김병국(1988), 도시생활의 질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p.94.
  3. 강성철(1998), 환경지표를 이용한 김해시의 환경질 분석, 김해발전연구, 제2권, 제1호, p.273.
  4. 남택정·박한일·강대석·김환성·김인혜·김효영·민천홍·최근철·조민지(2009), 글로벌 해양중심도시 부산창조를 위한 MT ACTION PLAN. p.181.
  5. 양병이(1981), 환경지표를 활용한 도시환경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논총, 제8권, pp.55-56.
  6. 우양호(2009), 우리나라 항만도시의 성장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논집, 제21권 제3호, pp.915-931.
  7. 인천광역시(2010), 2025년 인천도시기본계획-녹색.문화.활력, 세계10대도시 INCHEON. pp.37-79.
  8. 인천광역시 항만항공물류국(2010), 2010년 주요업무보고, p.8.
  9. 임계규.조욱상(1996), 주관적 주민환경지표를 통한 지역주거환경개발에 관한 연구 - 천안과 수원의 신도시를 중심으로, 대한환경공학회지, 제18권 제2호, pp. 208-209.
  10. 최성두.강은숙.김상구.박상희.송영채.이경은(2008), 부산 해양환경관리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영남씨그랜트대학 사업단, p.226.
  11. http://stat.mltm.go.kr.
  12. Slack, B. and Wang, J. J.(2002). The Challenge of Peripheral Ports: An Asian Perspective. Geo Journal, Kluwer Academic Publishers(the Netherlands), 56: 159-166. https://doi.org/10.1023/A:1022452714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