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형 사각 곤포기를 이용한 옥수수 사각 압축곤포 사일리지 조제에 관한 연구

Study on Manufacture of Square Baled Corn Silage Using Square Silage Wrapping Compressor

  • 최기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조남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정민웅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종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신재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이경동 (동신대학교) ;
  • 임영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원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오영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천만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혁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한동배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투고 : 2011.02.21
  • 심사 : 2011.03.25
  • 발행 : 2011.03.31

초록

본 시험은 수확시기가 옥수수 사각 압축곤포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수행되었다. 옥수수 사일리지 전용 품종인 광평옥을 이용하여 숙기별 3회(유숙기, 황숙기 및 완숙기)에 걸쳐 수확을 하여 사일리지로 조제하였다.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옥수수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P<0.05) ADF 및 NDF 함량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TDN 및 in vitro 건물소화율도 비슷하였다. 숙기별 수분함량, pH 및 사료가치는 사일리지 제조 방법 및 젖산균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유숙기에서 옥수수 사각 압축곤포 사일리지의 젖산 함량은 원형곤포 사일리지보다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황숙기에서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숙기별 사각 압축곤포 사일리지의 초산 함량은 원형곤포 사일리지보다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유숙기에서 옥수수 사각 압축곤포 사일리지의 Flieg's score는 원형곤포 사일리지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황숙기와 완숙기에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옥수수 사각 압축곤포 사일리지와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Flieg's score는 젖산균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사각 압축곤포 사일리지는 새로운 사일리지 제조방법이 될 수 있고 또한 양질의 옥수수 사일리지 발효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rvest stage of corn on the quality of square baled corn silage manufactured with corn grown in paddy land of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Development,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from 2009 to 2010. Corn "Kwangpyungok" was harvested at three different growth stages (milk, yellow ripen and ripen stage) and ensiled at each harvest time. Square baled corn silage was manufactured by use of square silage wrapping compressor.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three times.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CP) of corn in square baled corn silage decreased with delayed maturity, but the content of ADF (acid detergent fiber), NDF (neutral detergent fiber),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were not changed. The content of moisture, pH and the nutritive values at three different harvest stages were not influenced by the method of silage manufacture and inoculant. The content of lactate of square baled corn silage harvested in milk stage of cor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round baled corn silage (P<0.05), but in stage of yellow ripe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The content of acetate in square baled corn silag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delayed harvest maturity, as compared with that of round baled corn silage (P<0.05). Flieg's score of square baled corn silage harvested in milk stage of corn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round baled corn silage, but Flieg's scores in yellow ripen stage and ripen stage were not influenced by the method of silage manufacture. Flieg's score with delayed maturity was not influenced by the method of silage manufacture and inoculant. The manufacture of square baled corn silage was proved to be suitable for the fermentation of corn silag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that square baled corn silage can be a way of new silage manufacture techniqu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갑, 한민수, 김건엽, 한정대, 강우성, 신정남. 1995. 주요 사료작물의 곤포 Silage 조제이용에 관한 연구. II. 생육단계별 건물 축적 형태와 곤포사일리지 조제이용. 한초지 15(3):157-230.
  2. 김종덕, 권찬호, 김종근, 김창현, 노환국, 윤영만, 이종경. 2009. 조사료 생산 및 이용. 신광종합출판사.
  3. 김상록, 김곤식, 우제훈, 이준우, 성경일. 2004. 연천지역에 있어서 생볏짚 원형곤포 사일리지의 부위별 사료성분 및 발효품질. 한초지 24(3):253-260.
  4. 김종근, 정의수, 서 성, 함준상, 윤세형, 임영철. 2006a. 유산균제 첨가가 라운드베일 목초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6(3):139-146.
  5. 김종근, 정의수, 서 성, 강우성, 함준상, 김동암. 2001. 수확시 숙기가 호밀 라운드베일 사일리지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1(1):1-6.
  6. 김종근, 정의수, 서 성, 김맹중, 이종경, 윤세형, 임영철, 조용민. 2008. 수확시기 및 품종이 총체 벼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8(1):29-34. https://doi.org/10.5333/KGFS.2008.28.1.029
  7. 김종근, 서성, 정의수, 강우성, 함준상, 김동암. 2000a. 수확시 숙기가 호밀 라운드베일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0(4):215-316.
  8. 김종근, 정의수, 서 성, 함준상, 김맹중, 이종경. 2006b. 예건기간이 라운드베일 목초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6(1):39-44. https://doi.org/10.5333/KGFS.2006.26.1.039
  9. 김종근, 정의수, 서 성, 강우성, 함준상, 이성철. 2000c. 제조 방법이 라운드베일 연맥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0(3):185-192.
  10. 김종근, 정의수, 서 성, 강우성, 함준상, 이성철. 2000b. 제조 방법이 라운드베일 연맥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0(3):147-232.
  11. 김종덕, 이현진, 전경협, 양가영, 권찬호, 성하균, 황보순, 조익환. 2010. 수확시기, 예건 및 싸라기 처리가 유기 청보리의 사초 생산성 및 사일리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초지조사료지 30(1):25-34. https://doi.org/10.5333/KGFS.2010.30.1.025
  12. 김정갑, 진현주, 신재순, 정의수, 한민수. 1996. 봄 재배 연맥의 silage 제조 이용시 예건 및 formic acid 처리에 의한 품질개선 효과. 한초지 16(2):155-160.
  13. 농림수산식품부. 2010. 2010년 조사료대책 추진 관련 협의회 p. 24.
  14. 농촌진흥청. 2009. 유통사일리지 품질기준 현장 적용 세미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15. 송태화, 한옥규, 윤성근, 박태일, 김경훈, 김기종. 2009. 청보리의 수확시기별 예건시간에 따른 수분과 사일리지 품질변화. 한농개발지 21(4):316-321.
  16. 신기남, 윤익석. 1983. 예건이 silage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3(2):92-99.
  17. 신재순, 최종만, 김은모, 김원호, 정민웅. 2009. 사각압축 사일리지 조제장치. 한국특허정보원, IPC 코드 A23N 17/00 (2006.01), 출원번호 1020090003621 (2009.01.16), 공개번호 1020100084246 (2010.07.26).
  18. 임현진, 김종덕, 이현진, 전경협, 양가영, 권찬호, 윤세형. 2009. 예건이 수수 ${\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 유기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유농지 17(4):519-527.
  19.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Washington, DC.
  20. Bevre, L. 1988. Silage making in round bales. Buscap Og Avdratt. 40(2):100-103.
  21. Cai, Y. 2005. Quality improving technique of whole crop silage. 축산연구소. 사료용 총체 벼 생산․이용 기술 국제 심포지엄 proceedings. pp. 103-136.
  22. Jurgens, M.H. 1982. Animal feeding and nutrition. Kentall & Hunt Publishing, Inc. Virginia.
  23.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ic. Handbook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24. Gordon, F.J. 1989. An evaluation through lactating cattle of a bacterial inoculant as an additive for grass silage. Grass Forage Sci. 44:169-179. https://doi.org/10.1111/j.1365-2494.1989.tb01924.x
  25. Hristove, A.N. and T.A. McAllister. 2002. Effect of inoculants on whole-crop barley silage fermentation and dry matter disappearance in situ. J. Anim. Sci. 80:510-516. https://doi.org/10.2527/2002.802510x
  26. Keady, T.W.J. and J.J. Murphy. 1996. Effects of inoculant treatment on ryegrass silage fermentation, digestibility, rumen fermentation, intake and performance of lactating dairy cattle. Grass and Forage Sci. 51:232-241. https://doi.org/10.1111/j.1365-2494.1996.tb02058.x
  27. Keady, T.W.J. and R.W.J. Steen. 1994. Effects of treating low dry matter grass with a bacterial inoculant on the intake and performance of beef cattle and studies on its mode of action. Grass and Forage Sci. 49:438-446. https://doi.org/10.1111/j.1365-2494.1994.tb02021.x
  28. Kennedy, S.J., H.I. Gracey, E.F. Unsworth, R.W.J. Steen and R. Anderson. 1989. Evaluation 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a commercial bacterial inoculant as an additive for grass silage. 2. Responses in finishing cattle. Grass and Forage Sci. 44:371-380 https://doi.org/10.1111/j.1365-2494.1989.tb01935.x
  29. Manyawa, G.J., S. Sobanda, C. Mutisi, I.C. Chakoma and P.N. Ndiweni. 2003. Effect of prewilting and incorporation of maize meal on the fermentation of bana grass silage. Asian-Aust. J. Anim. Sci. 16(6):843-851. https://doi.org/10.5713/ajas.2003.843
  30. Moore, J.E. 1970.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v. of Florida, Depart. of Anim. Sci.
  31. Patterson, D.C., C.S. Mayne, F.J. Gordon and D.J. Kilpatrick. 1997. An evaluation of an inoculant/enzyme preparation as an additive for grass silage for dairy cattle. Grass and Forage Sci. 52:325-335. https://doi.org/10.1111/j.1365-2494.1997.tb02363.x
  32. Romahn. W. 1988. Big bale haylage fits our operation. Moard's Adiryman. March 10. Hoard and sons company. Fort Akinson, Wisconsin. p. 255.
  33. Smith, E.J., A.R. Henderson, J.D. Oldham, D.A. Whitaker, K. Aitcheson, D. H. Anderson, and J. M. Kelly. 1993. The influence of an inoculant/enzyme preparation as an additive for grass silage offered in combination with three levels of concentrate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of lactating dairy cows. Anim. Prod. 56:301-310. https://doi.org/10.1017/S0003356100006334
  34. Steen, R.E.J., E.F. Unsworth, H.I. Gracey, S.J. Kennedy, R. Anderson and D.J. Kilpatrick. 1989. Evaluation 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a commercial bacterial inoculant as an additive for grass silage. 3. Responses in growing cattle and interaction with protein supplementation. Grass and Forage Sci. 44:381-390. https://doi.org/10.1111/j.1365-2494.1989.tb0193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