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Analysis of Q-methodological Preference Degree about the Subjects on School Curriculum Related to the Police & Security Administration - Centering around the Subject of Study on Gwang Ju and Jeon Nam Region -

경찰 및 경호 관련학과 전공교과목에 대한 Q방법론적 선호도 분석

  • Received : 2011.07.30
  • Accepted : 2011.09.22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is to practice a analysis of Q-methodological preference degree about the subjects on school curriculum centering around the views of the policemen in active service who are with Gwang Ju and Jeon Nam region. Concretely, this study mixed the subjects on school curriculum related to the police administration of universities located in Gwang Ju and Jeon Nam region and abstracted the twenty seven items as the final question point. Above this, this study integrated the similar or repeated subjects and drew up the question items through seperation process among the different subjects. After this, this study selected the twenty policemen as a first P-sample in active service presently on fourth month in the year 2011. In this process, this study eliminated the materials of six policemen who replyed unhonestly and selected the materials of ten-four policemen as a final effective sample. Furthermore, this study applicated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is study practiced the I.II.III types of a preference degree analysis of the subjects related to the police administration. the concrete results are as follows: In a I type, the positive consent was showed in the subjects of criminal law, criminal procedure law, criminal speciality law and so on. In a II type, the positive consent was showed in criminal investigation science, emergency measure, the art of self-defence, criminal law, criminal procedure law and so on. In a III type, the positive consent was showed in criminal science, criminal investigation science, criminal procedure law, introduction to police science, police ethics and so on. On this basis, this study concluded the following common opinions. Firstly the actual and evidencial subjects which the policemen in active service feel as the commons were criminal investigation, criminal science, police ethics, criminal speciality law, criminal law business, police administration science, police law practice, emergency measure, the art of self-defence, general rules of civil law, administrative law and so on.

상본 연구는 광주 전남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경찰관의 견해를 경찰경호 관련학과 전공교과목에 대한 Q방법론적 선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광주 전남 대학의 경찰행정 및 경호관련학과 전공교과목을 조합하여 27문항을 최종 진술문으로 추출하였으며 교과명이 유사하거나 중복된 교과목은 통합하고 다른 의미를 가진 교과목 간에는 분리 과정을 통해 질문지를 작성한 후 2011년 04월 현재 광주 전남지역에서 경찰관으로 재직 중인 20명을 최초 P-Sample로 선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6명의 자료를 제외한 14명의 자료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QUANL. PC 프로그램을 적용 및 주 요인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경찰경호 2개 영역 모두 분석대상으로 삼는 것은 표본특성 및 전공영역이 다소 상이하므로 이 연구에서는 제1차 연구로서 경찰관만을 대상으로 한 경찰전공 영역 교과목에 국한하여 분석연구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경호영역은 후속연구로서 세밀한 분석을 추가 실시할 계획이다. 이러한 연구절차와 연구과정을 통해 제I, II, III유형의 경찰경호 관련학과 전공교과목 선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I유형은 형법, 형사소송법, 형사특별법 등의 교과목이 긍정적인 동의를 보였다. 제II유형은 범죄수사학, 구급 및 응급처치, 호신술, 형법, 형사소송법 등이 긍정적인 동의를 보였다. 제III유형은 범죄학개론, 범죄수사학, 형사소송법, 경찰학개론, 경찰윤리 등이 긍정적인 동의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각 유형 간의 일치항목 즉, 공통된 의견을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우선 긍정적인 공통된 전공교과목으로는 범죄수사학, 범죄학개론, 경찰윤리, 형사특별법, 형사사법실무, 경찰행정론, 경찰법규실습, 구급 및 응급처치, 호신술, 민법총칙, 행정법 등의 교과목이 현장근무시 경찰관들이 느끼는 현실적이고 실증적인 교과목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