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Spatial Influential Zone for Road Sign using the Variable Radius Buffer Model

지방지역 일반국도 도로표지 안내지명의 공간적 영향권 분석 (Variable radius buffer model을 이용하여)

  • 천승훈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DB센터) ;
  • 권성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남대식 (다음커뮤니케이션 공간정보팀) ;
  • 임현섭 (한국스마트카드 해외사업팀) ;
  • 이영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Received : 2009.02.21
  • Accepted : 2011.03.07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Almost all Driv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local areas usually rely on road signs equipped along the roadways. The road signs in Korea present the name of the city along the driver’s direction. The consistency of guided name on the road-signs is important for drivers. The discordances among road signs frustrate drivers particularly when the drivers are confused with whether or not they are in the right direction. There are several studies focusing on the continuity of information on the road signs. Most of the researches, however, do not suggest the objective way but diagnose present problem. Appl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e evaluate the impact of information on road signs and select the candidate information considering the score and limited number of information. We also suggest the reasonable spatial influence area of road sign information using geo-spatial analysis. From this study, we expect that the director in charge of selecting information can make decision reasonably without difficulties of choosing information.

도로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보다 합리적인 정보 제공 및 혼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안내지명의 연계성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내지명의 지역적 특성 및 인지도를 반영한 지역의 중요도를 산출하여 이에 따른 영향권의 공간적 분석을 수행하여 합리적인 영향권을 제시하여 안내지명의 연계성을 확보하기위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안내지명을 선정함에 있어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적으로 분석하여 대안을 결정하는 AHP 기법을 적용하여 각 안내지명의 지역적 특성 및 인지도를 반영한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각 안내지명의 영향권 반경을 달리 설정하는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최종 영향권 반경을 설정하는 기준으로 사용한 효과 척도로서 영향권 중첩면적과 잔여면적의 합을 이용하여 그 값이 최적이 되는 대안을 최종 영향권 반경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안내지명의 영향권은 안내지명의 중요도에 따라 상이하며 평균적인 영향권의 범위는 중요지 11.4km, 주요지 5.9km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도로(2006), 표지 제작․설치 및 관리 지침.
  2.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3), 도로표지 선진화방안 연구 1차년도.
  3. 조근태외(2003),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동현출판사, pp.27-30.
  4. 김웅철․이태윤․권영인(2006), '도로표지안내지명의 연계성 확보방안',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5. 노관섭․이종학․김종민(2007), '도로표지의 안내지명 표기에 대한 개선', 교통기술과정책, 제4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35-141.
  6. 남명근(2009), '분석적 위계과정(AHP)를 활용한 군항의 수질관리 우선순위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오원영․김형철(2004), '도시부 도로표지 안내체계에 따른 효율성 비교연구', 경원대학교.
  8. 윤효진․박미소(2006), '도로안내표지 안내지명 체계에 관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9. 최기주․홍원표(2003), '지방도 도로표지의 안내체계개선 (안내지명 선정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17-26.
  10. 홍성언․박수홍(2003), 'GIS와 AHP 의사결정 방법을 이용한 도시근린공원 입지분석' , 대한지리학회지.
  11. AASHTO(2004), 'List of Control Cities for Use in Guide Signs on Interstate Highways'.
  12. 'Manual o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03 edition.
  13. Mariano Malpili.PH D(2005), 'A GIS Model for the Identification of a Variable Width Buffer Zone', Saskatchewan Institute of Applied Science Woodland Campus.
  14. Tim Aunan(2003), 'A GIS Approach for Delineation Variable-Width Riparian Buffer based od Hydrologicla Function', USDA Forest Service North Central Research Station Grand Rap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