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grated Trip Distribution/Mode Choice Model and Sensitivity Analysis

통행분포/수단선택 통합모형 및 민감도분석

  • 임용택 (전남대학교 물류교통학전공)
  • Received : 2010.09.23
  • Accepted : 2011.01.07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rip distribution is the second step of the conventional travel demand estimation process, which connects trips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while transport mode choice is the third step of the process, which chooses transport mode among several modes serving for each origin-destination pair. Although these two steps have closely connected, they have been estimated independently each other in the estimation procedure. This paper presents an integrated model combining trip distribution and transport mode choice, and also presents its solution algorithm. The model integrates gravity model adopted for the trip distribution process with logit model employed for the mode choice process. The model would be expected to cope with the inconsistency issue existing in the conventional travel demand estimation procedure. This paper also presents an equilibrium condition, sensitivity of the model, and compares them with those of existing models.

통행분포(trip distribution)는 4단계 통행수요추정의 첫 단계인 통행발생(trip generation)에서 구해진 통행생성(trip production)과 통행 유인(trip attraction)을 연결시키는 작업이다. 즉 하나의 존에서 생성 또는 유인되는 통행량을 다른 존에 분포시키는 과정이다. 이에 반해, 통행수단선택(transport mode choice)은 통행자들이 어떤 교통수단을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그러나, 이들 통행분포단계와 통행수단선택단계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온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통행분포단계와 통행수단선택단계를 통합한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풀기 위한 알고리듬도 제시한다. 통합모형의 통행분포모형으로는 중력모형(gravity model)을 적용되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로짓모형(logit model)을 이용한다. 본 연구의 통합모형은 각 단계별로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추정단계가 하나의 모형 틀 안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져 좀 더 현실적이며, 통행비용의 불일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통합모형에서도 균형조건(equilibrium condition)이 존재함을 증명하며, 통합모형의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기존 모형과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형진(1996), "중력모형의 적합도 검증", 대한교통학회지, 제14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43-50.
  2. 노정현(1991), "엔트로피 극대화 통행배분모형의 효율적 해법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9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121-126.
  3. 신언교.황부연.신승원(1999), "고속도로 영업소간기.종점통행량으로부터 교통죤간 기.종점통행량 추정기법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7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7-17.
  4. 윤대식(2001), 교통수요분석, 박영사
  5. 윤성순(1993), "일반화중력모형 파라메터의 새로운 최우추정기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11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55-66.
  6. 임용택, 김상구 (2006), "장래 통행패턴을 고려한 중력모형의 파라미터 정산방법", 국토연구 제50권, pp.93-104
  7. 임용택(2010a), "균형 통행분포모형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8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159-166.
  8. 임용택(2010b), "로짓 수단선택모형의 균형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8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131-139.
  9. Ben-Akiva, M., S.R. Lerman(1987), Discrete Choice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2nd Ed. MIT Press
  10. Evans A.W.(1970), "Some properties of trip distribution methods", Transportation Research 4, pp.19-36. https://doi.org/10.1016/0041-1647(70)90072-9
  11. Hyman,G.M.(1969), "The calibration of trip distribution models", Environment and Planning 1(3), pp.105-112. https://doi.org/10.1068/a010105
  12. Miller H.J(2001), Towards consistent travel demand estimation in transportation planning, US.DoT
  13. Oppenheim N.(1995), Urban travel demand modeling, John Wiley & Sons
  14. Sheffi,Y.(1985), Urban Transportation Networks,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NJ.
  15. Wilson,A.G.(1970), "Entropy in urban and regional modelling", London, Pion Ltd.
  16. Wardrop, J. G.(1952), "Some theoretical aspects of road traffic research", Proceedings,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II(1), pp.325-378.
  17. Williams, H. C. W. L.(1977), "On the formulation of travel demand models and economic evaluation measures of user benefit", Environment and Planning 9A(3), pp.285-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