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적 안녕감에 따른 네일관리행동 연구 - 판매 서비스직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ail Management Behavior Based on Psychological Wellness - Focusing on Women Engaged in Sales and Services -

  • 배선영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 박길순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Bae, Sun-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Kil-So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07.27
  • 심사 : 2011.12.05
  • 발행 : 2011.12.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the psychological state of working women engaged in sales and services and seeing how it is correlated to their nail management behavior. Also, the study aims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that exists between these two factors and provide information to help women live and work better with higher self-satisfaction. As for the research process, 210 women aged 20 to 30 engaging in sales and services of clothing, financing, and cosmetics sales were asked to fill out questionnaires.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women who received college education and beyond as well as those working in the cosmetics sales area were exceptional i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women with higher income, especially those who work in the cosmetics sales field and are not yet married participated in nail management behavior with the most enthusiasm. Therefore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nail management behavior, it can be said that the better one's psychological wellbeing is, the more one is likely to strive for uniqueness in managing nail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자 (1986). "한국과 미국 여대생의 가치관과 의복선택행동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권 3호.
  2. 공영길 (2009). "외모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곽연식 (2009). "남자 중․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에 따른 외모관리 행동 및 인식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5권 2호.
  5. 김영옥 (1997). 공기업 여성 고용구조와 인력관리의 현황 및 과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 김왕배 (1995). 자본주의 도시와 근대성. 서울: 한울아카데미.
  7. 김은주 (2001). "성인 여성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추구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종욱 (2010). "중년여성의 자기애성향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과의 관계."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현미 (2004). "성별에 따른 자아해석 양식과 심리 적 안녕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미석 (1996). "중년기 남녀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권 2호.
  11. 백인선 (2007). "직장인의 외모관리에 대한 사회비교가 외모정보활용 외모관리 및 패션상품구매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서희정 (2009). "여성들의 네일컬러 선호도와 심리상태와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송진영 (2009). "중년남성의 다중역할 몰입, 자기효능감 및 심리적 안녕감간의 구조모형 분석."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안나영 (2007).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태도와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우병조 (2004년 3월), "웰빙...삶의 질을 높인다." 한국경제신문.
  16. 이경례 (2005). "자아유형과 스트레스가 손톱관리 행태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군자 (2009). "내현적 자기애와 사랑의 구성요소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상구, 강효민 (1997). "직장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자아정체감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7권.
  19. 이영순 (2000). 네일관리학. 서울: 고문사.
  20. 이유종 (2010).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신체매력인지에 따른 외모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윤희 (2009).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자아정체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재화 (2010). "네일시술이 직장여성의 직무 및 가사 스트레스 경감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정순 (2006). "네일 관리에 대한 반응경향성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임유미 (2010). "네일 서비스 구매행동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조슬기 (2006). "외적이미지를 리드하는 여성들의 미적 관심도 외모관리행동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최수경 (2007).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편수명 (2008). "네일관리 고객의 성향과 네일아트 선호도 분석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황진숙, 김윤희 (2006). "외모관리행동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심리적 안녕감." 복식문화연구 56권 3호.
  29. Berzonsky, M. D. (1987). "Identity Satatus, Self-presentation, and Self-conceptions.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rarch in Child Development, Baltimore, MD., Vol. 23, No. 6.
  30. Cash, T. F. and T. Purzinsky (1990). Body Images: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N.Y: Guilford.
  31. Cooper, W. H. (1981). "Ubiquitous Halo." Psychological Bulletin 90.
  32. Lehman, K. S. (1983). "Organized Interests and American Democracy."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College.
  33. Lennon, S. J. and N. A. Rudd (2000). "Linkage between Attitude toward Gender Roles, Body Satisfaction Self-esteem and Appe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Women."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Vol. 23.
  34. Mahoney, E. R. and M. D. Finch (1976). "The Dimensionality of Body Cathexis." Journal of Psychology Vol. 92.
  35.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7 .
  36. Synnott, A. (1990). "Truth and Goodness, Mirrors and Mask."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Vol. 41.
  37. Szala, R. J. (1979). "Popular Participation, Employment and the Fulfilment of Basic Needs." International (London: Labour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