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 귀걸이, 헤어 길이와 의복 색이 20대 여성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 여대생들의 평가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Eyeglasses, Earrings, Hair Length, and Clothing Color on Impression Formation of Woman in Her 20s -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

  • 이명희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송원영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투고 : 2011.07.18
  • 심사 : 2011.12.05
  • 발행 : 2011.12.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interaction effects in impression formation according to eyeglasses, earrings, hair length, and clothing color worn by woman in Her 20s. A quasi-experimental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3{\times}2{\times}2{\times}4$(eyeglasses${\times}$earrings${\times}$hair length${\times}$clothing color) factorial design. The model of stimulus photographs was a woman with an oval shape face in her late twenties. She wore a tailored collared jacket with a white dress shirt. The subjects were 362 female college students. First, the women wearing glasses were found to be more potent but gave more negative impressions in terms of loveliness, politeness, and attractiveness than the women without glasses. Second, the women wearing earrings were perceived to have higher individuality, attractiveness, potency, loveliness, and elegance than the women without earrings. Third, the women with short hair were evaluated to have higher individuality, potency, and elegance, and to have lower loveliness, politeness, and attractiveness than the women with long hair. Fourth, the red clothes were perceived to have the higher individuality, loveliness, and attractiveness than the dark red or grey clothes. The light grey clothes were considered as the most elegant and the dark grey clothes were shown to have low attractiveness. Fifth, the women wearing the horn-rimmed glasses with short hair were evaluated to have high individuality. The women wearing glasses with short hair were evaluated lower in loveliness than those with long hair. The women with short hair, wearing glasses without earrings were evaluated very low in attractive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자, 팽숙경 (2007). "컬러 코디네이션에 따른 한복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6권 5호.
  2. 김영인, 문영애, 한소원 (2000). "한국 성인남녀의 의복 선호색." 한국의류학회지 24권 7호.
  3. 김윤경, 강경자 (2003). "의복스타일과 색상.톤조합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권 3호.
  4. 나수임, 한명숙 (1987). "첫인상형성시 의복색이 사회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여자대학교 가정문화연구 5권.
  5. 성광숙, 이연희 (2009). "얼굴색에 따른 상의 의복색 이미지와 선호도 평가." 패션과 니트 7권 2호.
  6. 신주동, 최종명 (2008). "여대생의 신체 만족도와 이미지에 따른 외모관리행동과 장신구 착용," 복식문화연구 16권 2호.
  7. 윤소영, 유태순 (2001). "Hair Style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패션비즈니스 5권 3호.
  8. 윤영애 (2005)."액세서리에 따른 이미지 지각의 차이: 귀걸이의 재료와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패션뷰티학회지 3권 3호.
  9. 이경손, 김희섭 (1998). 의생활과 패션코디네이션. 서울: 교문사.
  10. 이미숙, 박성은 (2004). "의복의 색과 노출정도가 여성의 외모에 대한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2권 11호.
  11. 이영미 (2007). "헤어스타일 형태와 길이에 따른 이미지 분석." 한국미용학회지 13권 3호.
  12. 이영미, 서미아 (1998). "네크라인과 헤어스타일이 얼굴이미지 및 형태 지각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6권 4호.
  13. 이주현, 조긍호 (1995). "의상디자인 요소가 의복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제1보): 의복형태와 색채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권 5호.
  14. 이진희, 김상은 (2006). "Hair Style의 유형과 얼굴형에 따른 얼굴 이미지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2권 3호.
  15. 이향미, 김재숙 (2002). "남자 고등학교 교사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의복 격식차림, 색 및 맥락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2권 3호.
  16. 이현주 (2008). "퍼스널컬러 이미지에 따른 안경 디자인컬러 연구."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4권 1호.
  17. 이효숙, 박숙현 (2007). "헤어스타일에 따른 시각적 평가."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권 4호.
  18. 정수정, 정혜경, 김경희, 권혜진 (1999). "안경착용자의 안경착용에 대한 이미지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2권 1호.
  19. 정수진, 최수경 (2009). "귀걸이, 네크라인, 헤어스타일의 코디네이션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권 2호.
  20. 정해선, 강경자 (2004). "헤어스타일․길이와 모자 유형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8권 3/4호.
  21. 조기년 (2004). "직장여성의 외적 Self Image Making 인식 정도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차미승 (1992). "의복형태와 색채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와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최수경 (2010). "의복과 헤어스타일의 추구이미지에 다른 성인여성의 액세서리 착용 및 화장 정도."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권 1호.
  24. 최재란, 류숙희 (2010). "의복스타일별 색채에 대한 이미지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34권 2호.
  25. 최준자 (1992). 장신구의 세계. 서울: 도서출판 예경.
  26. 추선형, 김영인 (2002). "패션 소재의 색채 이미지와 질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권 2호.
  27. 한명숙 (2004). "남.여 대학생의 두발, 신발, 장신구의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 선생님과 학생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권 11호.
  28. COS: Color System (1997). 서울: 한국유행색산업협회.
  29. Damhorst, M. L. (1990). "In Search of a Common Thread: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ed through Dres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 8, No. 2.
  30. Damhorst, M. L. and J. A. P. Reeds (1986). "Clothing Color Value and Facial Expression: Effects on Evaluations of Female Job Applicant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 14, No. 1.
  31. Edwards, K. (1987). "Effects of Sex and Glasses on Attitudes toward Intelligence and Attractiveness." Psychological Reports Vol. 60.
  32. Francis, S. K. and P. K. Evans (1987). "Effects of Hue, Value, and Style of Garment and Personal Coloring of Model on Person Perception." Perception & Motor Skills Vol. 64, No. 2.
  33. Hellstrom, A. and J. Tekle (1994). "Person Perception through Facial Photographs: Effects of Glasses, Hair, and Beard on Judgment of Occupation and Personal Qualitie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 24.
  34.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2nd ed. New York: Macmillan.
  35. Terry, R. L. and J. H. Krantz (1993). "Dimension of Trait Attributions Associated with Eyeglasses, Men's Facial Hair, and Women's Hair Length."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 23, No. 21.
  36. Vrij, A. (1997). "Wearing Black Clothes: The Impact of Offenders' and Suspects' Clothing on Impression Formation."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Vol. 1.
  37. Winakor, G. and R. Navarro (1987). "Effect of Achromatic Value of Stimulus on Responses to Women's Clothing Styl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 5, No.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