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aning of Plantain(Musa basjoo) Planting and Design Use through Classic Poetry and Prose

고전 시문을 통해 본 파초(Musa basjoo)의 식재 의미와 설계용도(Design Use)

  • Received : 2011.04.25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By studying the classic poetry and prose with a theme of Plantain, I would like to study why Plantain has been planted in our traditional garden for a long time. Also, through this study, I want to find when Plantain was introduced to in our country. We use description study method for studying the classic poetry and prose with a theme of Plantain. As a result, we found a few things like below. First, the introduction of Plantain to our country traces back to unified Silla in the poetry of Choe Chi Won. Also, Plantain was planted and loved generally as a general garden plant in the middle of Goryeo through poetry and paintings. Second, the meaning of Plantain is like this. 1) It means development and enjoyment of arts of summer because the leaves of Plantain were used for drinking alcohol and writing and poetry instead of papers. 2) In Buddhism, Plantain was thought to awaken 'gong(空)', 'mua(無我)', and 'brevity' of lesson of Buddha by the special shape and the image of falling rain to the leaves. Also, it was used widely in Buddhist temples because of the story of 'Hye ga dan bi(慧可斷臂)'. 3) In Confucianism, it is the emblem of lesson 'a wise man tries to be strong and tries not to stop following to God'(自强不息). 4) The large leaf of Plantain is called 'bongmi(鳳尾)' thanks to the image of likeness with tails of Bongwhang(鳳凰). Third, design use of Plantain is like this. 1) The large leaf of Plantain was used for giving an image of freshness and brightness in the garden in summer. 2) Our ancestor thought 'the sound of falling rain to Plantain'(芭蕉雨聲) as a picturesque sound in summer. Also, Plantain was highly utilized because our ancestor thought Plantain is the best plant for implementing 'soundscape'. Thus, the most characteristic use of several design uses is 'acoustic use'. 3) Plantain was also planted in a indoor pot for viewing. 4) Plantain was used for making food and medicine in the palace and private house as a practical use. The limit of this study is that I mainly use the text translated into Korean of database of overall Korean classics. We hope the new things related to this study would be added up to this study by translating original texts into Korean more.

본 연구는 고전시문에 대한 고찰과 해석을 통해 파초가 우리의 전통정원에 오랫동안 즐겨 가꾸어진 배경과 그 설계용도(design use)를 고찰하고자 진행되었다. 또 이러한 고찰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에 파초가 도입되어 널리 애호된 시기도 함께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파초를 주제로 한 고전시문을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파초가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시기는 최치원의 시를 통해 통일신라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여러 시문과 그림을 통해 고려시대 중기에 이미 파초는 정원식물로 널리 식재되고 애호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파초에 내재된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파초 잎은 종이의 대용물로 글씨나 시를 쓰기도 하였고 술잔으로 사용되는 등 여름날의 수양과 풍류의 의미를 갖는다. 2) 파초는 '혜가단비'의 고사에 의해 불가에서 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식물로 취급된다. 또, 파초 특유 형태와 생육특성, 파초 잎에 빗방울이 흩어지는 모습 등은 부처의 가르침인 '공'과 '무아', '덧없음'을 일깨우는 각성물로 받아들여졌다. 3) 유가에서 파초는 "군자는 하늘을 따라서 스스로 굳세고자 노력하며 쉬지 않는다(君子以 自强不息)"라는 가르침의 표상이었다. 4) 파초의 넓고 긴 잎을 봉황의 꼬리에 비유하여 '봉미'라고 하였다. 따라서 파초 잎은 존귀함의 존재의 상징인 봉황을 의미하므로 책가도, 문자도 등 민화의 소재로 즐겨 채택되었다. 셋째, 파초의 설계용도는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파초의 넓고 푸른 잎으로 인해 여름철 정원에 녹음과 청량감을 제공하는 '시각적 용도'로 활용되었다. 2) 옛 사람들은 여름철에 듣는 '파초우성(芭蕉雨聲)'을 운치 있는 소리로 여겼고, 파초가 이러한 '사운드 스케이프(soundscape)'를 구현할 수 있는 최적의 식물소재라는 점을 파악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파초의 여러 설계용도 중에서도 가장 특징적인 용도로 '청각적 활용'을 들 수 있다. 3) 파초는 화분에 식재하여 실내에서 관상용으로도 활용하였다. 4) 파초는 궁중과 민간에서 약재와 식재료 등 실용 목적으로도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는 한국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에 탑재된 자료 중 국역된 텍스트를 위주로 하였다는 점이다. 추후 여타의 원문 자료들에 대한 국역 작업이 진행됨으로써 본 연구와 관련된 새로운 내용들이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인환 역해(2006). 주역.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 김태정(1996). 한국의 자원식물V.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3. 노재현, 김영숙, 고여빈(2010). 조경식물 파초(Musa basjoo) 식재 양상과 그 의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23-36.
  4.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2008). 한국의 전통음식 10, 제주도. 서울: 교문사.
  5. 민족문화추진회 편(2004). 한정록. 許筠. "閑情錄". 서울: 솔출판사.
  6. 유홍준, 이태호(2003). 유희삼매: 선비의 예술과 선비취미. 서울: 학고재
  7. 이선(2006). 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 서울: 수류산방. 중심.
  8. 정민(2007).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서울: 휴머니스트.
  9. 조성진, 조영열 역(2004). 한시와 일화로 보는 꽃의 중국문화사. 中村公一. 中國の愛の花ことぼ. 서울: 뿌리와 이파리.
  10. 최승범(1998). 산수화처럼 펼쳐지는 탈속의 시정. 문화와 나. 1998. 7,8. Vol.4. 삼성문화재단. pp. 22-24.
  11. 한국사연구회(2007). 개경의 생활사. 서울: 휴머니스트.
  12. 허균, 이경재, 이갑철(2004). 선인들이 남겨놓은 삶의 흔적들. 서울: 다른세상.
  13. http://db.itkc.or.k(한국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
  14. http://saloniere.blog.me/9365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