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eongshimru and Landscape Structure of Yeoju-Palkyung in Old Poems and Map

누정제영시와 고지도에 투영된 청심루와 여주팔경의 경관구조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Park, Tae-Hi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shin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박태희 (동신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1.05.02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study reviewed the content and the meaning of the present Yeoju Palkyung(eight scenery) through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Palkyung poems, old maps and paintings, and classic materials transmitted in Yeoju area, and investigated the landscape structure of the area around the Cheongshimru(淸心樓: pavilion). On the other hand, many Palkyung poems and Noojeongjeyong(樓亭) poems illustrating the Cheongshimru as the view point or the objective have clarified the scenic excellence when the Cheongshimru is the view point. The Yeoju Palkyung viewed from the Cheongshimru was described as constructing all around allocation structure, and six scenes are categorized as a distant view of the visual influence while the 7th scene Ireungdogyeon and the 8th scene Pasagwau are a psychologically influencing landscapes. The panoramic composition of the Yeoju Palkyung at the Cheongshimru is interpreted as the Seunggyeong distribution considering Palchaejigyeongsaek(八采之景色), where main viewpoint is the Cheongshimru and the distant landscape is Paldaejangrim. The reputation of the Cheongshimru, the central place of the Yeoju Palkyung, is confirmed by the technique of scene processing describing a various way of illustrating landscapes such as near view, distant view, pulling view and collecting view. The restoration of Cheongshimru and Paldaesup(八大藪) currently undertaken is the essential business for the full recovery of the Yeoju Palkyung, which will be not only for physical restoration but also for the shortcut to revitalize the history and the spirit of Yeoju. Furthermore, the business direction should be reconsidered to truly understand the meaning, the value, and the structure of the Yeoju Palkyung to ensure the pursuit of the sustainability aiming at the project "Local attractions", one of the Namhangnag Four rivers project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여주지역에 전래되는 팔경시, 고지도와 옛 그림 그리고 고문헌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청심루를 중심으로 한 여주팔경의 경관구조를 고찰하였다. 청심루를 시점 및 대상으로 하는 다수의 팔경시와 누정제영시를 통해 청심루의 조망적 탁월성이 확인된다. 청심루에서 조망되는 여주팔경은 사방 포치구조를 이루고, 6개경은 원경의 시각적 영향권으로 분류되며, 제7경 '이릉두견'과 제8경 '파사과우'는 심리적 영향권내 경관이다. 청심루에서 펼쳐진 여주팔경의 구도는 '팔채지경색(八采之景色)'을 염두에 둔 승경 배분으로 보이는데, 이 때 주시점은 청심루이며 원경(元景)은 팔대장림으로 추정된다. 청심루에서의 경관처리기법은 근경과 원경, 읍경(挹景)과 취경(聚景) 등 다양한 경관 수렴방식(收斂方式)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볼 때 여주팔경의 요처(要處)인 청심루의 위상이 재차 확인된다. 현재 추진 중에 있는 청심루와 팔대숲의 복원이야말로 여주팔경의 온전한 회복을 위한 절실한 사업이며, 이는 단순한 물리적 복원의 속성을 넘어 여주 역사 더 나아가서 여주의 얼을 되살리는 첩경이 될 것이다. 더불어 국토해양부의 '4대강 살리기'의 남한강 주요 사업인 '지역명소[景] 만들기'의 지속가능성 추구를 위해서는 여주팔경의 의미와 가치 그리고 그 구조에 대한 진정한 이해의 기틀 아래 사업방향이 재고되어야 마땅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증동국여지승람. 권7. 驪州牧(1971). 민족문화추진위원회.
  2. 김창흡. 삼연집(三淵集). 권4. 한국문집총간. 민족문화추진회 한국고전번역원. pp.165-167.
  3. 동문선 권15.
  4. 輿地圖書 여주목읍지.
  5. 강석중(2001). 驪江을 한눈에 굽어보는 淸心樓. 사찰, 누정 그리고 한시. 파주: 태학사. pp.114-121.
  6. 구본만(2011). 고지도를 통해 본 여주의 官衙. 세종신문 여주포커스. 4 월 7일자.
  7. 김기혁(2007). 지역문화 연구 자료로서 고지도 및 지리지. 정신문화연구. 30(3): 119-142.
  8. 남동걸(2004). 누정의 기능에 따른 누정시조의 특성. 시조학논총. 20: 70-96.
  9. 노재현(2011). 팔경시와 고지도에 투영된 여주팔경의 전승양상.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14-27.
  10. 노재현, 신상섭, 조찬문(2007). 팔경 구조분석을 통해 본 전통문화경관 조망권역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11-23.
  11. 박영주(2001). 관동팔경과 누정문학 유산. 도남학보. 제17집. p.161.
  12. 신정일(2010). 신정일의 신 택리지. 서울: 타임북스.
  13. 안계복(2005). 풍류의 정원 루․정․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50-157.
  14. 양보경(2009). 상징경관으로서의 고지도 연구. 문화역사지리. 21(1): 95-104.
  15. 여주군(1989). 여주군지.
  16. 여주문화원(2004). 여강 한구비 산이 그림같으니: 옛 선조들이 남긴 여 주의 제영.
  17. 유호진, 우응순(2004). 누정 제영의 시공간적 분포와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 40: 65-69.
  18. 윤경희(2004). 김창흡의 丹丘日記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연구. 41: 157-180.
  19. 李叔還(1979). 道敎大辭典. 台北巨流圖書公司.
  20. 이진호(2008). 驪州地域八景詩의 傳統考察. 여주대학교논문집. 16(2): 85-100.
  21. 이한길(2009). 김극기의 '경포대' 한시 연구. 경포대와 경포호의 문화산책. 강원민속학 총서. 2: 87-121.
  22. 李賢九편역(1991). 驪江詩軸. 여주신문사.
  23. 이홍숙(2010). 지명에서 생성된 전설들: 경남 김해지역 지명전설을 중심으로. 사림어문연구. 제17집: 135-162.
  24. 장동수(2006). 경기도 여주군 팔대장림(八大長林) 복원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1): 78-84.
  25. 장정용(2009). 강릉경포호 전설. 경포대와 경포호의 문화산책. 강원민속학총서. 2: 11-26.
  26. 전경원(2006). 소상팔경시의 형상화 양상과 의미맥락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조성문(2008). 팔대수와 청심루의 문화생태적 고찰: 한시를 중심으로, 팔대수․청심루․양섬 복원을 통한 문화생태자원의 발굴과 보존방향 워크샵 자료. 여주의제 21
  28. 최승순(1989). 강원도 누정 고찰, 강원문화논총. 강원대 출판부. p.64.
  29. http://blog.daum.net/kjga79/6045990
  30. http://cafe.daum.net/yeoju56/5MjE/113?docid=1EL5D|5MjE|113|20081216172504&q=%C3%BB%BD%C9%B7%E7%C5%CD%20%BD%C5%B8%A4%BB%E7%20%B5%BF%B4%EB
  31. http://kyujanggak.snu.ac.kr/MOK/MOK_NODEVIEW.jsp?setid=60010&pos=0&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cn
  32. http://land.culturecontent.com/contents.asp?cid=2&doc=02
  33. http://rja49.tistory.com/116
  34.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208252
  35. http://www.yeojufocus.co.kr/sub_read.html?uid=3043§ion=sc65§ion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