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ond Characteristics of Scale According to the Drainage Pipe's Material in Tunnel

터널 배수공의 재질에 따른 스케일 부착 특성에 관한 연구

  • 주익찬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남승혁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백승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정혁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 천병식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08.01
  • Accepted : 2011.10.14
  • Published : 2011.11.01

Abstract

The calcium hydroxide($Ca(OH)_{2}$) which is flowed into the deteriorated tunnel by groundwater is reacted with carbon dioxide($CO_{2}$) and the vehicle's exhaust gas ($SO_{3}$). So its by-products are precipitated at the drainage pipe and these cause the drainage clogging. Most by-products are composed of $CaCO_{3}$ with calcite from a chemical experi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comparison of attachment on each material of drainage pipe (teflon-coated steel pipe, silicon-Oil coated pipe, acrylic pipe and PVC pipe). The test was progressed to disembogue the CaO aqueous solution and tunnel outflow into each of the pip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ost produced scale pipe is PVC material and the followings are Acrylic pipe, Silicon-Oil coating pipe and Teflon coating pipe. But the long-term test results showed that teflon-coated steel pipe had a problem with durability because soil which was contained in the tunnel outflow occurred detachment of coating and corrosion of the steel pipe.

지하수에 의하여 터널 내로 유입된 수산화칼슘($Ca(OH)_{2}$)이 이산화탄소($CO_{2}$)와 차량의 배기가스($SO_{3}$) 등과 반응하여 그 반응물이 터널의 배수공 내에 침전되어 배수공 클로깅 현상이 발생하였다. 대부분의 반응물은 화학분석 결과 칼사이트의 탄산칼슘 ($CaCO_{3}$)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터널의 배수공으로 사용되는 PVC관과 새로운 재질의 배수공인 테프론 코팅강관, 실리콘오일 코팅관, 아크릴관에 CaO 수용액과 터널 배수공 유출수를 흘려보내어 스케일 부착형태를 분석함으로써 배수공의 재질이 스케일 부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PVC관에서 가장 많은 양의 스케일이 생성되었고 아크릴관, 실리콘오일 코팅관, 테프론 코팅강관의 순으로 관 표면에 스케일이 적게 부착되었다. 그러나 장기적 시험결과 테프론 코팅강관의 경우 관표면이 터널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로 인하여 손상되어 코팅재의 탈락, 강관의 부식 등이 발생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시

References

  1. 강상용, 김형중(2008), 폴리우레탄-폴리아크릴레이트 하이브 리드 에멀젼의 제조, 한국접착 및 계면학회 논문집, Vol. 9, No. 1, pp. 16-21.
  2. 김태현, 서기홍, 홍은정(2008), 실리콘 오일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가공 방법, 실용신안 10-2008-0112528.
  3. 김홍태, 이명천(2004), 폴리우레탄-아크릴 에멀젼 수지 제조 및 물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업화학회 논문집, Vol. 16, No. 1, pp. 39-44.
  4. 배규진, 이규필, 이성원, 신휴성(2006), 바닥배수판을 이용한 터널 배수시스템의 통수능 평가,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Vol. 8, No. 1, pp. 13-20.
  5. 배규진, 이성원(1998), 지하구조물 유지관리 및 계측,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ol. 46, No. 11, pp. 43-54.
  6. 연일화섬공업(주)(2006), 터널의 배수구조물에 사용되는 방수 시트의 고정링과, 이를 포함하는 배수구조물 및 이를 사용한 배수공법, 특허 1006260930000 호.
  7. 유신코퍼레이션(2003), 터널의 측벽 배수 시스템, 특허 100402805호.
  8. 이세윤, 홍석원, 김영수(2010), 장기 내수압 특성을 갖는 고강도 내충격 PVC관(HIVP)의 신뢰성 평가, 2010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대한설비공학회, pp. 942-946.
  9. 이인모, 김종선, 김상용, 김창용(2008), 배수로가 형성된 부직포를 이용한 배수재, 실용신안 10-2008-0041912.
  10. 이인모, 신영진, 남석우, 김상용, 김창용(2005), 돌기를 구비한 일체형 방수시트, 실용신안 20-0404580.
  11. 이진호, 김현수, 이현삼, 김태규(2008), PTFE 코팅의 Tribology 특성,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한국기계가공학회, pp. 367-372.
  12. 천병식(2011), 노후터널 배수공의 기능 향상 기술개발 중간보고서, 2010년도 서울시 산학연 협력사업, ST100052, pp. 14-31.
  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7), 터널용 이중 바닥판 배수시스템, 특허 100722808 호.
  14. 한국산업기술평가원(2003), 산업기술혁신 5개년 계획 산업별 보고서-지능형로봇, 산업자원부, pp. 153-166.
  15. Reddi, L.N. Ming, X. Hajra, M.G. and Lee, I.M. (2000), Permeability Reduction of Soil Filters Due to Physical Clogging,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6, No. 3, pp. 236-246. https://doi.org/10.1061/(ASCE)1090-0241(2000)126:3(236)
  16. Sarra-Bournet C., Turgeon S., Mantovani D., Laroche G.(2006), A Study of Atmospheric Pressure Plasma Discharges for Surface Functionalization of PTFE Used in Biomedical Applications, Journal of Physics D: Applied Physics, Vol. 39, No.16, pp. 3461-3469. https://doi.org/10.1088/0022-3727/39/16/S03
  17. Shin, J.H., Addenbrooke, T.I. and Potts, D.M.(2002), A Numerical Study of the Effect of Groundwater Movement on Long-term Tunnel Behaviour, Geotechnique, Vol. 52, No. 6, pp. 391-403. https://doi.org/10.1680/geot.2002.52.6.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