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케일

Search Result 2,08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Research on the Scale of Regions in Korean Geographers' Academic Society (한국 지리학계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에 대한 고찰)

  • Lee, J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0 no.1
    • /
    • pp.1-15
    • /
    • 201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empirically the scale of region that has been cover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대한지리학회지)"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한국지역지리학회지)" over the last 20 years. Generally speaking, it was found that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has published a relatively more number of articles with larger scale of region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has published more articles with smaller scale of region than the counterpart journal. Also,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ratio of the studies in both journals utilizing both town/village scale(읍 면 스케일) and city/county scale(시 군 스케일) has increased continuously with marginal fluctuations.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the studies in both journals combining single metropolis/province scale(시 도 스케일), multiple metropolis/province scale(시 도보다 큰 스케일), and state scale(국가 스케일) has decreased continuously in general. In sum,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useful data as well as future research direction to the Korean geographers.

  • PDF

The Politics of Scale: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 in Korean Housing Politics (스케일의 정치: 한국 주택 정치에서의 지리적 스케일의 사회적.정치적 구성)

  • Ryu, Yeon-Tae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5
    • /
    • pp.691-709
    • /
    • 2007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 in conjunction with Korean housing politics. Recently, attention has been drawn to the issue of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 Spatial scales have increasingly been regarded as socially constructed and politically contested rather than ontologically pregiven or fixed. The scale literature has paid attention to how different spatial scales can be used or articulated in social movements, with an emphasis on 'up-scaling' and 'scales of activism' rather than 'down-scaling' and 'scales of regulation.' Furthermore, the scale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aspect of empowerment. However, it is worthwhile to examine how scale-especially 'down-scaling' and 'scales of regulation'-can be used not only for marginalizing or excluding unprivileged social groups, but also for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of space, including housing space. Under a regulatory regime,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gained more control over the (re)production of housing space at geographical multi-scales by means of 'jumping scales,' specifically 'down-scaling.'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has increasingly obtained the capacity to 'jump scales' by using not only multiscalar strategies for housing developments, but also taking advantage of various scales of institutional networking among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Chaebols, across the state. Traditionally, scale has been regarded as an analytical spatial unit or category. However, scale can be seen as means of inclusion(and exclusion) and legitimation. Choosing institutions to include or exclud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choices and range of spatial scale, and is closely connected to 'scale spatiality of politics.' Facilitating different forms of 'scales of regulatio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included Chaebols and upper- and middle-income groups for the legitimization of housing projects, but excluded local-scale grassroots organizations and unprivileged social groups as decision-makers.

Effects of Antiscalant on Inorganic Fouling in Seawater Reverse Osmosis Membrane Processes (해수담수화 역삼투막 공정의 무기질오염에 대한 스케일 억제제 효과 연구)

  • Kang, Nam-Wook;Lee, Seock-Heon;Kweon, Ji-Hy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9
    • /
    • pp.677-685
    • /
    • 2011
  •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processes have several operational problems. Fouling by inorganic scale occurs on membrane surface due to increases in concentrations over solubility by retaining ions on feed side of the membrane. Inorganic scales could be controlled by antiscalants or acid addition. In this study, three antiscalant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nd evaluated on efficiency of $CaCO_3$ scale control. The $CaCO_3$ scale was inhibited by the antiscalants : 0.4 mg/L for SHMP, 0.6 mg/L for Spectra Guard, and 3 mg/L for Flocon 150 N. Increasing concentration factors of simulated sea water resulted in increases in antiscalant doses for the scale control. The increases in doses were positive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e factors used in this study. Spectra Guard, one of the polyacrylate type antiscalants, was the most effective to control $CaCO_3$ scale. The antiscalants with the different scale inhibition time and doses implied the different control mechanisms.

Compensation of current measurement scailing error for PMSM (영구자석 전동기의 전류 스케일 측정 오차 보정)

  • Choi, Young-Hyun;Kim, Dong-Eon;Ha, Jung-I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262-26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전류센서 스케일 오차 발생 시 오차 보정 방식에 대해 제시한다. 전류센서 스케일 오차는 회전자 기준 동기 좌표계에서 맥동하는 전류 및 직류 전류 오차를 야기하며, 이로 인해 전류 제어 성능 및 전동기 제어 성능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전류 제어기 출력에서 나타나는 직류 전압 오차를 수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스케일 계수를 추정하여 스케일 오차로 발생하는 2고조파 전류 및 직류 전류 오차를 보상하는 방식에 대해 제시한다.

  • PDF

Comparative a Study on Trend Analysis using Extreme Rainfall Data and Scaling Exponent (강우자료와 스케일 지수에 대한 경향성 비교)

  • Jung, Younghun;Kim, Taereem;Joo, Kyungw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39-339
    • /
    • 2019
  •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태풍의 발생과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피해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홍수와 관련된 강수량은 기상인자 중에서 유역의 유출과 관계가 있고, 유역의 내수침수 등의 도시홍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경향성을 판단하기 위해 국내 연최대강우자료의 경향성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연최대강우자료의 시간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써 스케일 지수에 대하여 경향성과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the block bootstrap-based MK (BBS-MK)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최대강우자료로부터 BBS-MK분석에 대한 경향성 분석 결과, 다수 지점의 연최대강우자료에서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큰 변동성을 확인하였고, 연별 스케일 지수의 변동성 보다 월별 스케일 지수의 변동성 중 우기에 해당하는 월 (6-10월)에 대한 변동성은 크게 나타났다. 스케일 지수의 경향성은 연최대강우자료의 경향성 분석 결과와는 반대로 많은 강우지점에서 경향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스케일 지수의 경향성 분석 결과, 해안 지역의 강우 관측소에서 감소 경향이 확인되었지만, 내륙 지역에서는 스케일 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Scaling Exponent for Classification of Regions using Scaling Property (스케일 성질을 이용한 군집 지역에서의 스케일 인자에 대한 연구)

  • Jung, Younghun;Kim, Sunghun;Ahn, Hyunj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4-504
    • /
    • 2015
  • 수공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설계수문량을 빈도해석을 통해 산정할 수 있다. 빈도해석 중 지점빈도해석을 보완한 지역빈도해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구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스케일 성질(scaling property)은 강우의 시 공간적 특성을 지속기간별 관측된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재현기간에 대한 지속기간의 함수로 강우의 IDF곡선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스케일 성질을 통해 군집된 지역에서의 강우자료에 적용하여 스케일 인자(scaling exponent)를 추정한 후 수문학적 동질성을 통계적 특성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군집 분석은 4개의 군집방법(평균연결법, Ward방법, Two-Step방법, K-means방법)을 적용하였고, 한강유역에 위치한 104개의 강우지점은 4개의 지역으로 구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비계층적 방법인 k-means방법을 이용하여 지역을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군집된 결과를 바탕으로 4개의 지역으로 구분된 지역에 포함된 강우지점을 대상으로 스케일 인자를 추정하고 수문학적 동질성을 통계적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ESI 스케일 방지기

  • 대한설비공사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97
    • /
    • pp.76-78
    • /
    • 1998
  • 경수(천연염)가 가열되면 어느 곳이든지 스케일이 생성됨을 볼 수 있다. 가정에서의 난방시설이나 산업현장에서의 스케일 축적문제는 그 피해정도를 고려해 볼때 매우 중요하다. 각종 열기기나 공장기계 등 스케일이 쌓이면 기계 작동상의 효율 저하는 물론 수리비용의 증가와 필요 이상의 에너지 소모 등 과다한 경비가 부담된다. 이와 관련 전기분해 원리를 이용하여 스케일을 방지할 수 있는 SESI를 소개한다.

  • PDF

Cascade Fusion-Based Multi-Scale Enhancement of Thermal Image (캐스케이드 융합 기반 다중 스케일 열화상 향상 기법)

  • Kyung-Jae Le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9 no.1
    • /
    • pp.301-307
    • /
    • 2024
  • This study introduces a novel cascade fusion architecture aimed at enhancing thermal images across various scale conditions. The processing of thermal images at multiple scales has been challenging due to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ethods that are designed for specific scale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proposes a unified framework that utilizes cascade feature fusion to effectively learn multi-scale representations. Confidence maps from different image scales are fused in a cascaded manner, enabling scale-invariant learning. The architecture comprises end-to-end train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to enhance image quality by reinforcing mutual scale dependencies.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technique outperforms existing methods in multi-scale thermal image enhancement.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are provided, demonstrating consistent improvements in image quality metrics. The cascade fusion design facilitates robust generalization across scales and efficient learning of cross-scale representations.

Implementation of an Efficient Image Scaler for CMOS Image Sensor (CMOS 이미지 센서용 효과적인 이미지 스케일 구현)

  • Lee, Dong-Hun;Sonh, Se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2
    • /
    • pp.307-310
    • /
    • 2005
  • 본 논문은 CMOS 센서의 ISP 전처리 과정 후 최종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효과적인 이미지 스케일 블록을 저전력, 저비용에 맞은 독립된 하드웨어 장치로 설계 하고자 한다. 카메라 센서 이미지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OSD(On Screen Display)에 맞는 화면의 크기는 CIF(352${\times}$288), QCIF(176${\times}$144) 출력 모드를 사용한다. 최근 DMB 휴대용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사이즈 포맷에서도 위와 같은 사이즈를 지원하고 있다. 일반적인 스케일 처리에서는 PC 그래픽 카드(Graphic Card)장치의 지원을 받아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또는 CPU의 연산을 통한 CPU 자원을 점유하여 이미지 스케일을 처리하였다. 휴대용 CMOS 센서용에 적합한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미지 스케일 기능을 하드웨어로 설계하여 효과적인 시스템 운용과 고속 이미지 스케일 처리가 가능한 하드웨어를 설계하는게 목적이다. 이를 구현 하기위해 기존 알고리즘과 제안한 알고리즘을 비교하여 최적화된 알고리즘 적용하여 VHDL설계언어를 이용한 하드웨어 설계 후, ModelSim 6.0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검증한다.

  • PDF

녹 방지효과 탁월한 이온 스케일 버스터 본격 시판

  • 중앙설비엔지니어링㈜
    • 월간 기계설비
    • /
    • s.115
    • /
    • pp.83-85
    • /
    • 2000
  • 이온 스케일 버스터는 독일의 ION사가 지난 `88년 개발, 지난 `94년 세계특허 획득 및 독일 TUV(기술표준협회)로부터 품질인증마크인 GS마크를 획득한 제품으로 기존의 파이프나 스틸 용기 내부에 발생한 스케일 및 녹 등의 제거는 물론 부식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수처리기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