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making feed for sea fish using earthworm powder and foodwaste product

지렁이 분말과 음식물쓰레기 부산물을 이용한 해수 사료화 연구

  • An, Seung-Ryu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 안승렬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06.20
  • Accepted : 2011.06.27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stable disposal of foodwaste and possibility of multilateral use of its by-product by mixing earthworm powder and by-product generated from food waste disposal for making feed for sea fish. As a result of the study, content of crude protein (25.93%, 69.72%), crude lipid (16.91%,6.39%) crude ash (15.38%, 5.30%) in by-product of food waste and earthworm powder was higher than that in fish meals manufactured in the country, and it was judged that it is available to make good feed as a source of fatty acid as it contained C18:1n9c, 1n9t and c16:0. As for stability as a raw material for feed, it was shown that the stability was high when using the product as a raw material for feed not exceeding the standard of test items, and though change of content and ingredients to mixing ratio, it was shown that mixed specimen of fertilizer (S6) was higher, showing that it has great utilization in the future. Also, as it has more content of registered ingredients than any other raw materials for feed manufactured in the country, it is possible to be used as a substitute when manufacturing feed for sea fish. Therefore, it is judged that various studies such as economic analysis and technology of possible manufacturing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지렁이 분말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 후 발생되는 부산물과 혼합하여 해수류 어류 사료로 활용하여, 음식물쓰레기 염분문제, 영양소 문제 및 수입사료 대체 효과를 통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안정적 처리와 부산물의 다각도 활용도 가능성을 목적으로 행한 실험결과 음식물쓰레기 부산물 및 지렁이 분말의 조단백질(25.93%,69.72%), 조지방(16.91%,6.39%) 및 조회분(15.38%, 5.30%) 등이 각각 국내 제조어분의 함량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C18:1n9c, 1n9t 및 c16:0등의 함유로 지방산 공급원으로 좋은 원료로 사용 가능 할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원료의 안정성은 검정항목의 기준치 이하로 사료원료 활용시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물쓰레기 부산물과 지렁이 분말을 각각 S1=5:5, S2=6:4, S3=9:1, S4=8:2및 S5=7:3의 비율과 음식물쓰레기:지렁이 분말:분변토의 혼합비를 각각7:1:2로 하였을때 부산물 혼합비율에 대한 성분의 함량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조회분, 조섬유 및 조지방 등의 항목에서는 분변토 혼합시료(S6)가 높게 나타나 향 후 분변토 활용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으로 등록성분의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조섬유의 함량이 국내 제조 타 시료원료 보다 성분 함량이 높아 해수 사료 제조시 어분 대체 물질로 가능 한 것으로 나타나 향 후 경제성 분석 및 제조 가능 기술 등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과학원, 2010년 전국폐기물발생통계조사, (2010).
  2. 축산기술연구소, 남은음식물사료화심포지움, (1999).
  3. 배재근, 음식물류폐기물퇴비화시설의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pp. 51-74 (2004).
  4. 국립수산과학원, 해산어 영양 연구 및 실용배합 사료 개발, (2007).
  5. Vinson, J. A., The functional food proper ties of figs. Cereal Food World 44, 82-87 (1999).
  6. 한국지렁이산업협의회, 지렁이를 이용한 친환경 녹색기술 심포지움, pp. 1-195(2010).
  7. 농림수산식품부, 고효율 배합사료 개발 및 실용화 연구 - I, (2009).
  8. 김강웅 외3인, 넙치성어기 배합사료 및 생사료 사육효과 비교, 한국양식학회지, Vol. 19(3) pp. 173-177(2006).
  9. 한국지렁이산업협의회, 지렁이를 이용한 친환경 심포지움, (2009).
  10. Stavric, B. Chemopreventive agents in foods, InFunctionality of Food Phytoch emicals; Johns, T, Romeo, J. T., Eds; Plenum press, New York. pp. 53-87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