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lanting Patterns and Landscape Redevelopement of Pilam Seowon in Jangseong-Gun

장성 필암서원(筆巖書院)의 식재현황과 정비방안

  • Lee, Won-H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Received : 2011.02.17
  • Accepted : 2011.03.16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as a purpose of base study for landscape redevelopement of Seowon, pointed out problems of planting patterns in each sector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through analyzing old literature, complete enumeration survey in each sector and taking aerial image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A Pilam Seowon(historic site no 242) is located in a Pyungya-Sanrok(plain and mountain) district in Jangsung-gun and has Junhak-Humyo(Study room in the front and Shirne in the back) type. 23 taxonomic group of arbor, 6 taxonomic group of shrub and 5 taxonomic group of flowers are planted high-densitily in limited flat surface. It can be classified into being planted by family and being planted through landscape redevelopement in 1980s. Korean traditional trees are planted in this area like Pinus densiflora, Juniperus chinensis L., Thuja orientalis L., Zelkova serrato Makino, Sophora japonica L., Lagerstroemia indica, Prunus mume include Ginkgo biloba which is old big tree and is registered in Jangsung-gun as protected trees. The tea tree in this area was introduced from wild tea plantation in Yonhwa moutain and was planted. From now on, we have to pay consideration a form management of planted trees in the historical area, rearrangement of plant density due to over planting, removal of alien trees like Pinus bungeana and Canna generalisa, prevention a dwarfishness of main area due to over planting in outside facilities, recovery a alienation among each planting area, and planting concept from plants drawings on wall of buildings can be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this case study is that introduction of over planting can make more problems like losing sense of place. Therefore, we must do a actual state survey on traditional landscape area like Seowon from preservation point of view.

본 연구는 서원의 조경정비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장성 필암서원(사적 제242호)을 대상으로 고문헌 분석과 식재공간에 대한 권역별 전수조사 및 항공사진 촬영을 통해 공간별 식재현황과 문제점 및 대안 제시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었다. 장성 필암서원은 평야산록형의 전학후묘형으로, 필암서원에 식재된 수목은 주로 문중에서 식재한 것과 1980년대 조경정비 때 식재된 것으로 교목 23분류군, 관목 6분류군, 초화류 5분류군으로 평지의 한정된 공간에 밀식되어 있다. 노거수로 군보호수로 지정된 은행나무를 비롯하여 소나무, 향나무, 측백나무, 느티나무, 회화나무, 배롱나무, 매화나무 등 우리나라 전통조경에 사용되는 수목들이 주로 식재되어 있었다. 경내의 차나무는 연화산의 야생차밭에서 도입되어 식재된 것이다. 향후, 필암서원의 조경정비 시 고려해야 할 사안으로는 문화재 지역에서 주로 발생되는 경내의 식재수목에 대한 수형관리, 과도한 수목식재로 인한 밀도의 조정과 백송, 칸나 등 외래수종 제거, 외부시설의 과도한 식재로 인한 주공간의 왜소화 방지, 식재권역별 공간간의 단절성 회복 등을 들 수 있으며, 서원 내 건물의 벽화 소재인 식물그림의 활용한 식재구상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사례연구의 시사점은 조경정비 시 지나친 조경수목의 도입으로 인한 전통공간의 장소성 상실이 문제시되고 있으며, 향후 보전적 차원에서 서원과 같은 전통조경공간의 정확한 실태파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중(1984). 조선시대 서원건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영모(2005). 조선시대 서원의 조경.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3. 김정문(2006). 정읍무성서원 및 주변지역 정비.복원 기본계획.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4).
  4. 곽창록(1988). 조선시대 서원에 있어서의 조경수목 이용과 그 배경. 청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노송호(2006). 향교 및 서원의 공간별 상징수목과 배식유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1): 2-3.
  6.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2010). 사적지 조경정비 기준확립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p. 369.
  7. 박왕희(1998). 한국의 향교건축. 서울: 문화재관리국.
  8. 필암서원(1975). 필암서원지 권2. 필암서원유물전시관 소장본.
  9. 이상윤(1995). 조선시대 서원의 입지특성 및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3(1).
  10. 이상해(1998). 서원. 서울: 열화당. p. 7.
  11. 이진희(1992). 조선시대 서원의 입지특성 및 조경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0(1): 1-14.
  12. 장성군(2002). 필암서원 주변정비사업 기본계획.
  13. 정기철(1999). 17세기 사림의 묘침제 인식과 서원 영건.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정재훈(1972). 조선조 서원조경의 고찰. 문화재 제6호. 문화재관리국.
  15. 조현종, 오종일, 윤종균, 이종철, 윤희면, 김대현(2007). 하서 김인후와 필암서원. 광주: 국립광주박물관.
  16. 최완기(1981). 조선조 서원성립의 제문제. 한국사론. 8: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