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Improvement Scheme for the Illumination of Surrounding Lake Scenery in a Historic and Cultural City - Focusing on the Bomun Lake in Kyung Ju City -

역사문화도시의 수변경관 조명(照明) 개선방안 - 경주시 보문호를 대상으로 -

  • Lee, Yeon-S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Kim, Choong-Sik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Choi, Gi-S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이연소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김충식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최기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1.02.17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s in night landscape lighting of Bomun Lake, a representative waterfront landscape in Gyeongju which is the city designated as UNESCO World Heritage in December 2000. This study divided the area into three types of sections-that is, road section, walking section, and landscape section- based on the present condition of land use and users of the Bomun Lake area. In addition, this study classified the lightingtypes by section into nine lighting types-that is, road, crossroad, parking lot, pedestrian passage, trail, sculpture, tree, waterfront deck-by comparing them to the park lighting types suggested by the KS A illuminance standards, and examin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Bomun Lake lighting base on the standards. By using this as basic data, this study established relevant plans and collected research material. This study suggested directions of each of the three sections and improvements in illuminance, color temperature, creating methods of each of the nine lighting types to the night Lighting planning of the Bomun Lake area reflecting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Gyeongju, a historical, cultural city.

본 연구는 2000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경주역사유적지구를 중심으로 경주시의 대표 수변경관인 보문호 야간경관 조명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보문호 주변의 토지이용 현황과 이용자 실태를 중심으로 3가지 이용구간(도로구간, 보행구간, 조경구간)으로 구분하였다. 분류된 구간에 따른 공원조명유형을 KS A 조도기준에서 제시하는 공원조명 유형으로 검토한 뒤 보문호 9개 조명유형(도로, 교차로, 주차장, 보행로, 산책로, 광장, 조형물, 수목, 수변데크)으로 분류하고, KS 조도기준과 비교하여 현재의 보문호 야간조명의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이를 기초자료로 관련계획과 연구 자료를 조사하여 역사문화도시 경주의 경관특성이 반영된 보문호 주변 야간조명계획을 3가지 구간에 따른 야간조명 기본방향과 9개의 조명유형별로 조명 개선방향을 조도, 색온도, 연출방법으로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주시(2001). 경주도시기본계획. 경주: 경주시청.
  2. 경주시(2007). 경주시 장기종합 발전 계획. 경주: 경주시청.
  3. 서울특별시(2002). 서울시 지역별 야간경관 기본계획. 서울: 서울시청.
  4. 서울특별시(2004). 청계천 복원건설공사 3공구 경관조명 실시설계 보고서. 서울: 서울시청.
  5. 고창군(2005). 고창읍성 야간경관 기본계획. 고창: 고창군청.
  6. 서울특별시(2007). 한강변 경관조명 기본 및 실시설계 보고서. 서울: 서울시청.
  7. 서울특별시(2008). 한강시민공원지구 및 연변 민간 건축물 경관조명 기본설계 보고서. 서울: 서울시청.
  8. 박종호(1997). 건축조명개론. 서울: 기문당.
  9. 나카지마 다쯔오키, 지카다 레이코, 멘데 가오루(1997). 조명디자인입문. 서울: 예경.
  10. 최홍규, 강태은, 최병숙, 김정한, 박형민, 원진희, 조계술, 조경남(2005). 조명설비 및 설계. 서울: 성안당.
  11. 프롬나드 연구원(2010). 프롬나드디자인. 파주: 한국학술정보.
  12. 노영호(2006). 도시공원의 경관조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정태, 최윤석(2001). 도시미관 향상을 위한 공원 경관조명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지. 17(3): 165-176.
  14. 이연소(2000). 문화재 건조물 경관조명연출에 관한 고찰. 조명전기설비학회지. 14(5): 9-23.
  15. 장경진(2006). 외부공간 야간경관 연출방안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Ishii, Motoko(2001). LightingHorizons. Tokyo: Azur Corporation.
  17. Mende, Kaoru(2006). Lighting Design for Urban Environments and Architecture. Tokyo: Azur Corporation.
  18. Otsuki, Kiyoshi(1998). Landscape Lighting Design Book. Tokyo: ALS Landscape Design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