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Historical and Cultural Analysis on the Eastern and Western Moat

동·서양 해자(垓字)의 역사와 문화적 해석

  • 정용조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 심우경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Received : 2011.02.20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A moat is a pond or waterway paved on the outside of a fortress that is one of the facilities to prevent enemy from approaching the fortress wall or classify it as the boundary space, moats had existed in Europe, Asia and the America from ancient times to medieval times. however it is has been disappeared in modem society. In addition, a moat is a great value in historical and cultural sense such as offering a variety of cultural activities and habitats for animals, but unfortunately there is little consideration of its restoration plan. This research is aimed to investigate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and significance of moats which had been existing from ancient times to medieval times in the Eastern and Western.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analyzed concepts and functions in consideration with times and ideological backgrounds of moats in Korea, China, and Japan. Results were as follows: 1. Moats in Korea existed not only in the castle towns of Goguryeo but also in ancient castle towns of Baekje and Silla. Natural moats and artificial moats existed around castles that were built to prevent and disconnect accessibility of enemies In Goryeo Dynasty and Chosun Dynasty, moats were also used as a defensive function. 2. A moat was generally installed by digging in the ground deep and wide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ramparts, A moat was installed not only around a castle but also in its interiors. Moats outside castl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tomping the ground hard besides enhancing its defensive power. In addition, water bodies around a facility often discouraged people's access and walls or fences segregated space physically, but a moat with its open space had an alert and defensive means while pertaining its visual characteristics. 3. The moat found at Nagan Eupseong rumor has it that a village officials' strength was extremely tough due to strong energy of the blue dragon[Dongcheon] in Pungsujiri aspects, so such worries could be eliminated by letting the stream of the blue dragon flow in the form of 'S'. 4. The rampart of the Forbidden City of China is 7.9 meters high, and 3,428 meters long in circumference. It was built with 15 layers of bricks which were tamped down after being mixed with glutinous rice and earth, so it is really solid. The moat of the Forbidden City is 52 meters in width and 6 meters in depth, which surrounds the rampart of the Forbidden City, possibly blocking off enemies' approach. 5. Japan moats functioned as waterways due to their location in cities, further, with the arrangement of leisure facilities nearby, such as boating, fishing from boats, and restaurants, it helped relieve city dwellers' stress and functions as a lively city space. 6. Korean moats are smaller in scale than those of the Forbidden City of China, and Edo, and Osaka castles in Japan, Moats were mostly installed to protect royal palaces or castles in the Eastern Asia whereas moats were installed to protect kings, lords, or properties of wealthy people in the west.

해자란 성벽 외곽에 파 놓은 못 또는 물길로 적이 성벽에 직접 접근할 수 없도록 하거나 이를 경계로 공간을 구분하고자 설치된 시설의 하나로, 고대로부터 중세에 이르기까지 동 서양에서 존재하였으나 현재는 사라져 가고 있다. 그러나 군사적 방어 기능으로부터 공간을 구분하는 경계 수단으로, 지반을 다지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역사적으로 고대로부터 중세, 유럽, 아시아, 미국 등에서 존재하였다. 또한 해자는 물을 이용한 다양한 문화 활동과 동물들의 서식처 장소를 제공하는 등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큰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복원 계획에 있어 해자의 복원에 대한 고려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동 서양 해자의 역사와 문화적 의미를 해석하여 고대로부터 중세에 이르기까지 존재했던 해자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 연구로 해자의 기원, 시대적 고찰, 사상적 배경, 서양 해자의 역사와 문화, 동양의 한국, 중국, 일본 해자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해자는 고구려 도성뿐만 아니라 신라, 백제의 도성에 모두 존재하였으며, 천연의 해자인 넓은 강을 끼고 적들이 기어오르기 힘든 산 능선을 따라 성을 쌓은 자연적 해자와 성벽 밖에 인공적 해자를 설치하여 적의 접근을 방지하였다. 또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도 해자를 방어적 기능으로 활용하였다. 2. 해자의 설치는 성벽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넓고 깊게 파는 것이 보통이며, 성의 외곽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도 시설이 설치되었는데, 성 밖에 있는 해자는 방어력을 높이는 것 외에도 지반을 다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해자는 물이 있어 접근을 제한하며, 낮은 벽이나 담장은 경계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키지만 해자는 열린 공간으로 시각적 특성을 살려 경계 및 방어 수단을 가지면서 멀리 떨어진 산봉우리나 근처의 나무도 정원 안으로 차경할 수 있게 한다. 3. 낙안읍성은 풍수지리적으로 청룡(동천)의 기가 드센 관계로 청룡의 흐름을 "S"자로 꺾어 흐르게 함으로써 기를 꺾을 수 있었으며, 몽촌토성은 해자의 복원으로 공원에 풍부한 수경 요소를 제공하는 경관요소로 활용하였다. 성을 둘러싸고 있는 해자는 자연이라는 진경 속에 선조들의 삶과 문화가 공간 속에 설득력 있게 배어든 역사와 문화적 경관이 표상이다. 4. 중국의 자금성 성벽은 찹쌀에 흙을 반죽하여 다져 넣어 매우 견고하며, 해자의 폭은 52m, 깊이는 6m로 자금성 성벽을 에워싸고 있어 적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었다. 5. 일본의 해자는 도시에 있어 수로 역할을 하였으며, 보트놀이, 배낚시, 레스토랑 등의 레저시설이 설치되어 도시민들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삶의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었다. 6. 한국의 해자는 중국의 자금성, 일본의 에도성, 오사카성보다 규모가 작으며 동양의 해자는 왕궁이나 읍성을 보호하기 위해 해자를 설치하였으나, 서양에서는 왕이나 영주, 대저택, 부호들의 저택 등을 보호하기 위해 해자를 설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한배(1992). 한국전통조경. 서울: 도서출판 조경. pp. 18-36.
  2. 몽촌토성발굴조사단(1985). 몽촌토성발굴조사보고. p. 54.
  3. 문화재관리국(1976). 문화재대관 사적편 F. p. 78.
  4. 박찬용(1993). 풍수지리적 측면에서 접근해 본 전통 공간. 환경과 조경 65: 96-97.
  5. 서긍(1995). 고려도경. 국서발행회. p. 136, 141.
  6. 신미정(1998). 해자의 조경적 활용방안 -파리공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송갑득(2006). 낙안읍성. 순천시. pp. 128-129.
  8. 이상준(1997). 경주 월성의 변천과정에 관한 소고. 영남고고학. 21: 123-162.
  9. 이원근(1980). 삼국시대 성곽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장경호(1987). 해자의 기원과 그 기능에 관한 고찰. 삼불 김원룡 교수 정년퇴임 기념총론집(II): 465-475.
  11. 정용조, 박주성, 심우경(2010). 경주 월성의 해자(垓字)에 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37-44.
  12. 정용조, 박주성, 심우경(2010). 동.서양 해자(垓字)의 비교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29-38.
  13. 정용조(2011). 동양 해자(垓字)의 역사와 문화적 고찰.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정재훈(1986). 서울의 문화유적 -몽촌토성. 환경과 조경. 13: 38-39.
  15. 정재훈(1996). 한국전통의 원. 서울: 도서출판 조경. pp. 13-47, 610-611.
  16. 최창조(1992). 문화재와 풍수. 환경과 조경. 48: 62.
  17. 한국전통조경학회(2009). 한국전통조경문화사. 서울: 대가. pp. 33-46.
  18. 한국조경학회(1996). 동양조경사. 서울: 문운당. pp. 18-36.
  19. 허경진(2001). 한국의 읍성. 서울: 대원사. p. 79.
  20. 小泉顯夫(1986). 朝鮮 古代遺跡の遍歷. 서울: 육흥출판사. p. 326
  21. 安藤卓(2010). 新版名城 江戶城. 圖書印刷. pp. 28-29.
  22. 安藤卓(2010). 新版名城 大版城. 圖書印刷. pp. 26-29.
  23. 前田博雄(2006). 大版城. 淸文當出版. pp. 20-43.
  24. 竹島卓一(1970). 中國の建築. 소학관. pp. 12-14.
  25. 万博藝林圖書 有限公司(2008). 紫禁性. 外文出版社. p. 8, 87.
  26. http://blog.daum.net/bae6607/7847430
  27. http://blog.naver.com/pondfire/140049509772
  28. http://blog.naver.com/3byuno/43836766
  29. http://cafe.daum.net/jyzit/Jiy6/319
  30. http://en.wikipedia.org/wiki/moat
  31. http://opentory.joins.com/index.php
  32. http://younghwan12.tistory.com/27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