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Environmental Impacts in Construction Project at Different Ownership - Focus on Express Road Pavement Process -

공공발주자와 민간기업 측면의 건설공사 온실가스 환경비용 영향분석 - 고속도로 포장공종을 중심으로 -

  • 장우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박희대 (연세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한승헌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전종서 (현대엔지니어링(주) 인프라.환경사업본부)
  • Received : 2010.11.11
  • Accepted : 2010.12.1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In the wake of increased concerns on reduction of greenhouse emission which started with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and Kyoto protocol, Korean government is making various efforts under the represented slogan "Low Carbon, Green Growth". Therefore, it is inevitable that construction industry also follow the Korea government's slogan and the international trend in environmental problems.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main construction materials and equipments of civil construction projects and suggested a environmental cost estimation method and related estimation standards (Public and private owners are distinguished). A case analysis of a real road construction project is also performed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owner type is compared. This study analyzed the environmental impact to total construction cost variations. In the result, public owner required 11~16% of extra budget and private owner required 19~22% of extra costs. This study is limited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carbon trading prices.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교토의정서 채택 등으로 선진국들은 이산화탄소로 대표되는 온실가스에 대한 구체적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왔다. 최근 우리 정부도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에 자재 생산 및 수송, 건설 및 운영 등의 전 과정에서 많은 양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건설 산업에서도 이산화탄소 배출 등 환경비용을 고려하는 친환경적 산업체계 구축이 어느 때 보다도 필요한 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공사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산출하고, 이를 비용화하여 전체 공사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속도로 건설공사 사례를 분석하여, 주요 자재 및 장비에서 발생되는 환경부하량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환경부하량 산정의 주체를 공공발주자(정부)와 민간 기업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특성을 반영한 환경부하의 비용화 기준을 따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공공발주자 측면에서는 실제 공사비 외에 11-16%의 환경적 추가비용이 발생되었으며, 민간기업 입장에서도 실제 공사비 외에 19-22% 정도의 추가비용이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의 포장공종에 한정되었고, 온실가스 중 이산화탄소의 배출에만 제한된 한계가 있으나, 토목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미진했던 환경부하 및 비용화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함으로서, 정부와 민간 기업 입장에서 각각 환경비용을 산정하고 총공사비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화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10) 건설공사 표준품셈, 국토해양부, 경기도.
  2. 김원규(2010) 우리나라 탄소생산성 현황 및 추이와 시사점, 산업경제정보, 산업연구원.
  3. 박광호, 황용우, 서성원, 박중현(2000) 고속도로 수명주기에 따른 환경부하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3D호, pp. 311-321.
  4. 박필주, 김만영, 이일석(2009) 산업연관표(2003년)를 활용한 산업별 $CO_2$ 배출 원단위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Vol. 18, No. 2, pp. 279-309.
  5. 에너지관리공단(2008) 온실가스 인벤토리 검증 가이드라인, 에너지관리공단.
  6. 에너지경제연구원(2009) 에너지 포커스, Vol. 6, No. 4, 경기도.
  7. 이병윤, 김보라, 김광희(2010) 조적벽의 $CO_2$ 배출비용을 포함한 건설원가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한국건축시공학회, Vol. 10, No. 3, pp. 83-90.
  8. 정근주(2008) 탄소세 적용에 따른 공동주택 공사원가 및 운영에너지비용의 영향 분석, 대한건축학회지연합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Vol. 10, No. 2, pp. 231-238.
  9. 정영선, 최경석, 강재식, 이승언(2008) 건축물의 환경부하 평가를 위한 LCA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Vol. 24, No. 5, pp. 259-266.
  10. 조경엽(201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평가와 시사점, 한국경제연구원.
  11. 조은래(2002) 환경오염 정화비용에 대한 기금법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법학회 환경법연구, 한국환경법학회, Vol. 24, No. 2, pp. 365-407.
  12. 조한권(2001) LCA를 적용한 건축물의 환경부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13. 환경부(2009) 한국 탄소시장의 태동은 지자체에서, 보도자료, (2008.02.06).
  14. 황용우(2000) 건설산업의 종합적인 환경부하 평가를 위한 LCA의 필요성,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48권 제1호, pp. 13-18.
  15. 황용우, 박광호, 서성원(2000) 도로건설에 따른 $CO_2$ 배출량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1B호, pp. 113-121.
  16. Anna Forsberg and Fredrik von Malmborg (2004) Tools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he built environment,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39, No. 2, pp. 223-228.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3.09.004
  17. Ari Rabl, Joseph V. Spadaro, and Bob van der Zwaan (2005) Uncertainty of Air Pollution Cost Estimates: To What Extent Does It Matter?,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Vol. 39, No. 2, pp. 399-408. https://doi.org/10.1021/es049189v
  18. Carbon Tax Center (2010) Where carbon is taxed, , (2010.05.17.)
  19. J.C. Morel, A. Mesbah, M. Oggero, P. Walker (2001) Building houses with local materials_means to drastically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construction,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36, No. 10, pp. 1119-1126. https://doi.org/10.1016/S0360-1323(00)00054-8
  20. Intergovernmem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0)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 (2010.11.10.)
  21. Lippiatt, B. C. (2003) BEEs 3.0, building for environment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technical manual and user guide, NSTIR 6916,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22. Maria Jesus Gonzalez, and Justo Garcia Navarro (2006) Assessment of the decrease of $CO_2$ emissions in the construction field through the selection of materials_Practical case study of three houses of low environmental impact,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41, No. 7, pp. 902-909.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5.04.006
  23. Mette Wiera, Katja Birr-Pedersenb, Henrik Klinge Jacobsenc, and Jacob Klok (2005) Are $CO_2$ taxes regressive? Evidence from the Danish experience, Ecological Economics, Vol. 52, No. 2, pp. 239-251. https://doi.org/10.1016/j.ecolecon.2004.08.005
  24. PRe Consultants (2006) Manuals and documentation, , (2010.11.9).
  25. Roger Sathre, and Leif Gustavsson (2007) Effects of energy and carbon taxes on building material competitiveness, Energy and Buildings, Vol. 39, No. 4, pp. 488-494. https://doi.org/10.1016/j.enbuild.2006.09.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