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presentations of an Bell Chamber in Namhansansung

남한산성 종(鐘)과 종각(鐘閣) 복원을 위한 연구

  • Lee, Jin-Hya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Kim, Dae-Ho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 이진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김대호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0.11.30
  • Accepted : 2010.12.10
  • Published : 2010.12.01

Abstract

As the importance of an historical area is getting increased in these days, the reconstruction of an bell chamber in Namhansansung has significant historial, educational and cultural mea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study on an bell chamber in Namhansansung, is to assume an original location of the bell chamber and identify the size and shape of the original bell chamber through literature study, site inspection, and analysis on old maps. In addition, this study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when new bell chamber i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study, site inspections(5 times) and analysis on old maps, the original bell chamber is assumed to locate near current Oroji tea house at the rotary, where was in the area of Hanggung. With regard to the traffic system, it is assume that there was an old road along with the current local road No.342 connecting the South Gate with North Gate and a Y or T shape intersection connecting the site of old bell chamber with the north. In addition, there was a government office street from the old bell chamber to Hanggung. The shape of old bell chamber is assumed to have Paljak or Woojingak roof. Samo roof was not found in all the five maps. Regarding the direction of bell chamber, three maps indicate that it faces the East and two maps show that it faces the South.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length and width of the roof have similar size. However, a new bell chamber should face the East, which is the same direction with Hanggung. As there is a record which states that a bell in the Cheonheoungsa, Seonggeosan, Cheonan was used as a Namhansansung's bell when the Cheonheoungsa was closed, this study suggests that new Namansansung's bell should be built, considering histroical value and artistry of Cheonheoungsa's bell.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the reconstruction of Namhansansung in 2009. However, as reconstruction of historical assets should be based on thorough historical evidences. Therefore, more detail researches by a indicator analysis are left for the topic of future studies.

역사지역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재, 남한산성의 종각 건립은 역사적 교육적 문화적 의의가 매우 크다. 본 연구는 남한산성 종각에 관한 연구로 문헌조사, 현지조사, 고지도 분석을 통해서 종각의 위치를 추정하고, 종과 종각의 규모와 형태를 밝혀냄으로써 현대에 종각을 재현할 때 자료로 삼고자 한다. 문헌조사, 5회에 걸친 현지조사, 고지도 분석 결과, 종각의 위치는 행궁권역의 초입인 로터리 내 지금의 오로지 찻집 부근 혹은 백제장 주차장 부근인 것으로 추정된다. 교통체계는 남문과 동문을 연결하는 308번 지방도와 종각지에서 북쪽으로 연결되는 도로의 Y 혹은 T형 교통체계의 옛 길이 있었으며, 종각에서 행궁으로 진입하는 관아거리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종각의 모양은 팔작지붕이나 우진각 지붕이며, 5개의 지도 모두 사모지붕은 보이지 않았다. 종각의 방향은 동향이 3곳, 남향이 2곳인 것으로 보아 가로 세로의 크기는 별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가로 3칸, 세로 2칸, 총 6칸의 건물이며, 종각의 방향은 행궁의 방향과 같은 동향이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종은 천안 성거산 천흥사에 있었던 종이 천흥사가 폐사되면서 남한산성의 종으로 쓰였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천흥사 종의 역사성 예술성을 고려하여 남한산성의 종의 제원으로 사용할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2009년 남한산성 종과 종각의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그러나 문화재는 철저한 고증에 의한 복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보다 정밀한 연구는 지표조사에 의해 추후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1996). 한국의 범종.
  2. 곽동해(2006). 범종(생명의 소리를 담은 장엄. 우리 문화유산을 찾아서5). 파주: 한길아트.
  3. 광주군(2000). 남한산성 문화유적.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4. 경기관광공사(2008). 남한산성 역사.문화.관광 브랜딩 및 마케팅 방향연구.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5. 경기농림진흥재단(2000). 남한산성종합발전방안수립연구. 경기도.
  6. 경기농림진흥재단(2009). 남한산성 도립공원 중장기 발전전략.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7. 경기문화재단(2002). 남한행궁권역 정비공사 기본 및 실시설계. (주)신화컨설팅.
  8. 박동석(2007). 문화재 주변지역 경관 보존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수원화성을 사례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서울대학교규장각고지도 http://kyujanggak.snu.ac.kr/
  10. 숲과 역사가 살아 있는 남한산성(2008).
  11. 염영하(1991). 한국의 종.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2. 범종(1989). 서울: 대원사(빛깔있는 책들).
  13. 조선고적도보 7권.
  14. 조의영(2005). 남한산성 문화재를 통한 지역발전 방안연구. 관광 경영학 연구.
  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1). 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권.
  16. 광주시(2007). 광주비젼 2020 기본계획.
  17. 이상화, 지윤의, 김효정, 송호경(2007). 남한산성 북사면의 산림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지.
  18. 탁지부 건축소(1919). 한홍엽(韓紅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