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정편액(樓亭扁額)에 반영된 자연인식과 서정 - 16세기 담양 시가문화권의 누정을 중심으로 -

The Nature Cognition and Lyricism Reflected in the Pavilion Tablets - Focusing on the Pavilions in the Damyang Poetry Culture Area Built during in 16th Century -

  • 이현우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김재식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Lee, Hyun-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Jai-Si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7.05
  • 심사 : 2010.09.07
  • 발행 : 2010.09.01

초록

본 연구는 16세기 담양 시가문화권의 누정편액에 반영된 자연인식과 서정에 관한 의미론적 고찰이다. 대상지의 현지답사를 통해 누정명 누정기 누정제영시 등을 파악한 후 주변경관을 중심으로 조영 당시 조영자가 향유했을 그 시대인의 미의식과 자연관이 배태된 조영의식에 관해 접근한 바, 구명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집약된다. 1. 누정명은 성현이 남긴 고사에서 유래한 문구의 차용과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예찬 및 조영자의 학덕을 제재로써 성리학적 사유를 교직해 넣은 내용들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산수예찬은 누정문학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킨 기폭제로 작용했으며, 연구대상지의 모든 누정에서 발견된 제 1의 보편적 제영요소로 파악되었다. 2. 누정문학에 관한 기록은 아름다운 자연과 인간에 관한 자연합일[물아일체(物我一體) 교융(交融) 합일(合一)]의 이상적인 자연관이었다. 3. 16세기 지식인에게 자연은 생장소멸(生滅消長)의 원리이자 자존적 삶을 위한 궁극적 귀의대상이었으며, 특수한 시대상황과 맞물려 사대부로서 지켜야 할 덕목과 명분을 일깨운 작품들을 탄생시킨 원천으로 작용했다. 4. 누정에서 행한 문학행위 중 선계(仙界)의 도입은 좌절된 자아에 대한 상징적 치유수단이었다. 현실과는 동떨어진 선계를 빌어 자신의 우울한 심정을 가탁했기에, 누정은 현실의 갈등과 울분을 달래는 탈속의 공간임을 함의한다. 5. 16세기의 담양지역 시가문화권의 누정문학은 신분적 기반을 활용하여 향촌생활 중 유흥상경의 흥취를 노래하며, 이상실현의 좌절에서 오는 고민이 동반된 작품들로, 좌절된 자아를 문학을 통해 승화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문사철을 섭렵한 지식인이 낙향해 풍광이 수려한 곳에 누정을 짓고 소요하며 시를 읊는 것은 모범적 지성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감수해야만 했던 절대적 부담감에서의 탈출구였다. 연구대상지인 16세기 담양 시가문화권의 누정은 이상화된 관념세계이자 이념과 사유가 반영된 의식의 공간이었다.

This research is the semantic study on the nature cognition and lyricism of pavilion builders as reflected in the pavilion tablets in the Damyang poetry culture area built during 16th century. The names of pavilions, pavilion writings and "poetry with given theme" were studied by actual site visits. The view on the nature and aesthetic awareness of the pavilion builders at the time were explored together with surrounding landscapes.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Pavilion names borrowed phrases from the famous historical events left by the sages. Or, they took the compliment on the beautiful nature surrounding orthe academic achievement of pavilion owners as the theme, then elaborated them with thinking based on Sung Confucianism. 2. The writings of pavilion literature were the idealistic view on the nature. They think the nature and human as "object and ego are one, object and ego communicate each other, object and ego become one". 3. The nature in the 16th century was the "principle of birth-death-grow-wither" for the intellectuals. They thought that the nature is the ultimate place to return for the realization of life with self-respect. 4. The introduction of fairy land among literary activities in the pavilion was the symbolic means healing the frustrated ego. It was confirmed that they temporarily entrusted their depressed feelings by borrowing the fairy land, far from the reality. The pavilion was the space to escape from the reality and soothe the anger and discord in the reality. 5. The pavilion literature in the Damyang poetry culture area during 16th century sang their pleasure of enjoying the beautiful scenery in the rural area using their social status. The literary works also contained their agony due to the frustration of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ideal. When the intellectuals, who already mastered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came down to rural area, built pavilions at the location with beautiful scenery, and spent time while composing poetry, it was an escape from the burden that they should take the social responsibility as the model intellectuals of the society. The pavilions in Damyang poetry-culture area during 16th century were the idealized conceptual world and the space of awareness reflecting the philosophy and thinking of the time.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영진(2000). 한국에서 지역주의의 역사적 맥락. 사회연구, 광주사회조사연구소. 1권.
  2. 고영진(2007). 호남사림의 학맥과 사상. 서울: 도서출판 혜안.
  3. 권정은(2003). 누정가사의 공간인식과 미적 체험. 한국시가연구. 13권.
  4. 금장태(1995). 유학사상과 유교문화. 전통문화연구회.
  5. 김광조(1987). 조선전기 가사의 장르적 성격 연구: 시적담화의 유형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동준(1994). 16세기 누정한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봉렬(2006). 김봉렬의 한국건축이야기2 :앎과 삶의 공간. 파주: 돌베개.
  8. 김신중(2001). 은둔의 노래 실존의 미학. 서울: 다지리.
  9. 김일두(1979). 명찰편액순력(名刹扁額巡歷). 서울: 한진출판사.
  10. 김행용(1987). 韓國壽石美의 探究方法論에 대한 小考. 月刊壽石. 8권.
  11. 변학수(1999). 문학치료와 문학적 경험. 독일어문학, 한국독일어문학회지. 10: 267-300.
  12. 성기옥(1987). 고산시가에 나타난 자연인식의 기본 틀. 고산연구. 1: 205-248.
  13. 신상섭, 노재현, 최형철(2009). 영모정(영벽루)에서 발견된 누정의 보편성과 특수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 31-42.
  14. 신은경(1989). 사설시조의 시학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신은경(1995). 풍류방예술과 풍류집단. 문학과 사회집단. pp.171-208.
  16. 심경호(2006). 한시의 세계. 서울: 문학동네.
  17. 오용원(2006). 누정문학의 양식과 문체적 특징: 누정 상량문과 기문을 중심으로. 어문논총. 44: 191-221.
  18. 오용원(2007). 누정기의 문체적 특성과 공간적 상상력. 어문논총. 47: 407-436.
  19. 윤귀섭(1969). 가사의 동양미적 표출. 동대논총(동덕여자대학교). 1(1): 9-27.
  20. 윤일이(2005). 송순의 면앙정과 16세기 누정건축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4(4): 29-39.
  21. 이강로, 장덕순, 이경선(1987). 문학의 산실 누정을 찾아서 I. 서울: 시인사.
  22.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조선중기 귀거래와 안분. 서울: 휴머니스트.
  23. 이창룡(2006). 누각과 정자에서 읊은 詩세계. 서울: 푸른사상.
  24. 이창룡(2007). 누각과 정자에서 읊은 남도의 시정: 영남.호남지방. 푸른사상.
  25. 이현우, 김재식, 김정문(2009). 추사고택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의미론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84-97.
  26. 정익섭(1988). 16세기의 호남가단 연구. 시조학논총, 한국시조학회지. 13: 25-49.
  27. 정철성(2000). 무등산권 시가문화유적의 보전 방안.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한창원(1997). 16세기 사림의 강호시가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Tuan Yi-Fu(1999). 공간과 장소. 서울: 대윤. pp.167-286.
  30. 강원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홈페이지. http://cc.kangwon.ac. kr/~sulb
  31. 광주광역시 광산구청 홈페이지. http://culture.gwangsan.go.kr
  32. 담양군청 홈페이지. http://tour.damyang.go.kr/bbs
  33. 목포홍일고 국어교사 김광복 홈페이지. http://hongkgb.x-y.net/gojon
  34.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홈페이지. http://kyujanggak.snu.ac.kr
  35. 서울성심여고 역사교사 이창호 홈페이지. http://chang256.new21.net/ board
  36. 서울숭실고 국어교사 이향우 홈페이지. http://hyangwoo.net/meunang. htm
  37. 소쇄원 홈페이지. http://www.soswaewon.co.kr
  38. 이완근 이학준 문학교육 홈페이지. http://www.seelotus.com/gojeon
  39. 프레시안 웹뉴스 홈페이지. http://www.pressian.com/article
  40. 한국가사문학DB 홈페이지. http://www.gasa.go.kr
  41. 한국디지털영상방송국(KDBS-TV) 홈페이지. http://www.kdbs-tv.kr/b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