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eferenc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Design Elements Emerging in the Contemporary City Park of China - with Special Reference to Beijing Olympic Forest Park -

중국 현대 도시공원에 나타난 전통원림 요소에 대한 선호도 분석 - 베이징 올림픽산림공원을 사례로 -

  • Liu, Il-Hong (The Magazine of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
  • Cho, Se-Hwan (Landscape Urbanism, Dept. of Urban Design.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유일홍 (환경과 조경 편집국) ;
  • 조세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도시경관생태조경)
  • Received : 2010.05.13
  • Accepted : 2010.06.21
  • Published : 2010.06.01

Abstract

This study conducts a case analysis based on the Olympic Forest Park in Beijing, which is specially designed for the 2008 Beijing Olympic Games. The construction of the Olympic Forest Park not only comprises the design philosophy of city parks and forest parks, but also applies Chinese traditional design elements. This study, first, researches on the design concepts of city parks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elements from both physical and cultural perspectives. The author studies the related materials including the"General Introduction of the Beijing Olympic Forest Park Landscape Plan", and employs the approaches of site investigation and user survey and interview, to analyze the cognition and preference degree of the various traditional design elements displayed in the Olympic Forest Park. To quantize the survey data on the Olympic Forest Park, this study uses the spss(v17.0) software to run a frequency analysis and presents detailed demographic, frequencies and means analyses. The author then reaches the conclusion on the preference degree of the various Chinese traditional design elements in the Olympic Forest Park.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elements that appear with the highest frequencies are mountains and waters, traditional garden plants and artistic conception. The most favorable elements are in sequence traditional garden architecture, traditional garden philosophical thinking and artistic conception. The Olympic Forest Park in Beijing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multiple design elements, comprising Chinese traditional design elements and the historical axis. As an exemplification of contemporary city park that reflects the variation of age and development of society, the Olympic Forest Park offers the reference for the selection of traditional design elements in the future schemes of city parks. However, due to the difficulty in gathering materials about the Forest Park and the limitations on the location and time constrain of the survey, there exists lack of sufficiency that could be improv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베이징 올림픽 경기장과 함께 본격적으로 조성되고 있는 중국 현대 도시공원에 있어 중국 전통원림기법의 적용 내용, 특히 도입전통원림 요소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과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중국의 현대도시공원의 대표격으로서 2008년 중국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새롭게 조성된 베이징 올림픽산림공원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베이징 산림공원의 설계개념 등의 분석을 통해 설계요소를 분석하고,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한 후, 둘째, 문헌연구를 통해 중국 전통원림의 유 무형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셋째, 이상의 이론적 근거 위에서 실증조사를 통해 베이징 산림공원에 나타난 중국 전통원림 요소를 찾아내고, 넷째, 이들 요소를 항목으로 2009년 10월에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전통원림 요소에 대한 출현빈도 등 인식과 요소별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베이징 산림공원에 나타나는 전통원림 요소는 "수(水)"와 "산(山)", "전통원림식물", "원림건축", "전통철학사항", "시정화의 의경" 등인 것으로 물리적 요소와 무형의 철학 사상적 요소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 중국 전통원림 요소들의 출현 빈도에 대한 인식은 수(水)와 산(山), 전통원림식물, 전통사상철학, "시정화의 의경", "전통건축물"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통원림 요소 중, 선호도가 높은 것은 "전통원림건축", "전통원림 철학사상" 및 "시정화의 의경", "전통원림식물" 순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전통원림 요소로서 출현빈도가 높은 산, 수, 식물 등 자연적 요소는 전통원림이라기보다는 생태적 기반의 현대적 공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전통원림건축"과 같은 구조물은 빈도의 출현은 낮으나 강력한 전통원림 요소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현대 도시공원에 전통적 조경설계 기법을 적용함에 있어 사상과 철학 등 무형적 요소가 적용된 경우와 산, 수, 식물 등 자연요소를 도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민들에게 전통조경요소에 대해 충분히 설계의도를 설명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던지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장지아지(2008). 중국의 전통조경문화. 서울: 문운당.
  2. 권영걸 (2003). 한중일의 공간조영. 파주: 도서출판 국제.
  3. 구영일(2005). 한국 현대조경 작품에 나타난 한국성에 관한 연구. 상명 대학교 환경조경학과 박사학위논문.
  4. 리원허(2000). 중국 건축의 원리. 파주: 시공사.
  5. 叶朗(1985). 中國美學史大綱. 上海人民.
  6. 陳植(2006). 中國造園史. 建築工業.
  7. 許复觀(1987). 中國藝術精神. 北京出版社.
  8. 李漁(1985). 閑情偶寄. 中國文化硏究 第15輯.
  9. 荊浩(1982). 筆法記. 歷代論畵名著匯編.
  10. 宗白華(2006). 美學散步. 安徽敎育.
  11. 강상욱(2005). 전통 문화의 현대적 계승에 의한 조경설계기법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혜정 (2001). 도시 공원 조성에 있어서 전통조경요소 도입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은형(2004). 소주원림에 나타나는 자연추구기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14. 수지강(2005). 중국 고전 원림의 공간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북방, 강남, 영남 3개 지역에 사가원림을 중심으로 한 분석체계 구축. 동서대학교 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15. 沈禹英(2008). 중국의 山水自然詩와 園林美學. 중국문학연구 36: 27-32.
  16. 김정용(1999). 中國 繪畵理論과 園林建築思想 比較硏究.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8(2): 22-45.
  17. 牛靑靑(2005). 試論中國傳統造園藝術在城市公園中的應用. 北京林美大學.
  18. 胡浩, 吳宜夏, 呂璐珊(2006). 北京奧林匹克森林公園山形水系的營造.北京清華城市規划設計研究院.
  19. 胡洁, 吳宜夏, 呂璐珊(2006). 北京奧林匹克森林公園竪向設計. 北京清華城市規划設計研究院.
  20. 張薇, 王志勇(2008). 淺談園林設計中造形要素. 林美科技情報.
  21. 中國園林构成的基本要素以及造園的基本准則.《導游基础知識》第八章第3節.
  22. 胡洁, 吳宜夏, 呂璐珊(2006). 北京奧林匹克森林公園水系設計. 北京清華城市規划設計研究院.
  23. 許大爲, 叶振啓, 李継武, 金建偉(1996). 森林公園槪念的探討. 東北林美大學學報.
  24. 姚亦鋒(2004). 現代中國城市公園的問題及景觀規划. 首都師范大學學報(自然科学版).
  25. 胡文芳(2005). 譚麗華 園林景觀色彩設計初談.藍天園林 05年第4期.
  26. 趙楊 (2008). 我國城市綜合性公園開放后設計理念更新硏究. 重慶大學.
  27. 胡雁凌 (2007). 城市更新中城市公園建設的若干問題硏究. 東南大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