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onumental Expression of Korean War Memorials in Korea

6.25전쟁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적 표현

  • Lee, Sang-Su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Received : 2010.04.29
  • Accepted : 2010.05.24
  • Published : 2010.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numental expression of Korean War Memorials(KWM) in Korea(KWMK). Through site survey and internet searching, the researcher selected 17 KWMK and analyzed four analysis categories: contents, spatial form, landscape elements, sculptures and architectural ele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in contents of KWMK were to cherish victims of the Korean War, honor military merit, and explain Korean War. 2. Most KWMK built battlefield had the form of symmetry and spatial axis arranged monuments and sculptures for solemnity and heroism. Though the sites were terraced by traditional spatial order, spatial sequence wasn't seen except Yang-gu KWMK and Chumomyeongbi in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 3. Stone monument-like towers, tablets, podium, monoliths, cenotaphs, and exhibit halls to explain Korean War and combat history were used as main elements of KWMK and also, war weapons were often displayed the flags of countries taking part in Korean War were raised with Taegeukgi and the United Nations flag. 4. Most sculptures were used as important media to represent the Korean War and assumed realistically the form of heroic combat. But a few architectural memorial built in recent were designed in contemporary style to have spatial sequence and represent Korean War symbolically and narratively. 5. In memorial culture, KWMK were strongly influenced by ideology and patriotism, impacted by conventional value, and designed by some sculptors and designers in a certain circle.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WMK in the point of design style and diachronic.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있는 6 25전쟁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적 표현을 분석하는 것으로 기념공간에서 구현되는 기념의 내용, 공간적 특성, 도입요소, 조각 및 건축물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6 25전쟁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문화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에 있는 6 25전쟁과 관련된 현충시설 659개를 1차 검색하여 부지가 전적지이거나 전쟁과 관련된 장소성이 있으며, 외부공간이 조성된 17개소를 선정하고 현장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설계도면, 사진, 기사 등 관련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념내용에 있어서는 희생자를 추모하고 전공을 기리며, 6 25전쟁의 경험 및 교육을 통하여 호국정신을 고양하는데 초점이 두어졌으며, 특히 전적지에 위치한 기념공간에서 이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2. 부지의 입지여건과 전통적 공간인식에 따른 공간적 위계를 고려하였으며, 기념공간에서 요구되는 엄숙함을 얻기 위해 축적인 구성을 하고, 추모감과 전승감을 얻기 위해 중심축 상단에 기념탑이나 전시관과 같은 상징적 요소를 위치시켜 공간을 구성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3. 희생자를 추모하고 전공을 기리기 위한 기념비와 기념탑, 전쟁의 경험 및 교육을 통해 호국정신을 고양하기 위한 기념전시관 및 야외무기전시장, 그리고 참전국가의 명예를 고양하기 위한 국기가 주요한 요소로 도입되었다. 4. 영웅적인 전투장면을 묘사한 근대적 조각이 많았으나 양구전쟁기념관 및 유엔기념공원의 '추모명비'에서는 상징적이거나 추상적인 표현을 시도하는 현대적 기념공간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5. 기념문화에 있어서도 애국주의 및 이데올로기가 강조되고, 기념공간에 대한 관습적인 인식이 강하게 드러났으며, 일부의 조각가 및 설계가만 기념공간의 설계에 참여하였다. 향후 6 25전쟁 기념공간에 관한 미니멀리즘, 해체주의, 탈근대주의 등의 설계양식론 관점과 다른 전쟁메모리얼과 비교를 통한 통시적 관점(通時的 觀點)의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방연구소(1996). 한국전쟁피해통계집.
  2. 김정윤(2004). 대만 치치 지진 메모리얼. 한국조경학회지. 32(5): 129-136.
  3. 김형곤(2007). 한국전쟁의 공식기억과 전쟁기념관. 한국언론정보학보 40: 192-220.
  4. 유호상, 송영환(2008. 6). 호국보훈의 달 기획특집(전적비는 외롭다). 국방저널. 414: 38-45.
  5. 이상석(2001). 기념성을 구현하기 위한 조경 디테일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9(5): 71-83.
  6. 이상석(2005). 경관, 조형 & 디자인. 경기: 도서출판조경.
  7. 이상석(2009). USS 애리조나 메모리얼과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환경과조경. 254: 142-151.
  8. 이상석(2010).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에 나타난 기념성. 한국조경학회지. 38(1): 12-24.
  9. 임채진(2007). 재한유엔기념공원 추모명비, UNMCK 대한건축학회발행 건축. 51(2): 107-110.
  10. Jorgensen, Karsten(1998) Semiotics in Landscape Design. Landscape Review. 4(1): 39-47.
  11. Potteiger, Matthew and Jamie Purinton(1998). Landscape Narratives. New York: John Wiley & Sons.
  12. The commission of fine arts(1946). War memorials. Landscape Architecture. 37: 17-19.
  13. Yoshimura, Valerie Nao(1997). Ruin & Reunions, Planes & Cranes: National Identity and World War II Memorials in France, Japan, and the United States. Kyoto and Tokyo: the 49th Annual Japan- America Student Conference 1-26.
  14. Wasserman, Judith R.(1998). To trace the shifting sands: Community, Ritual, and the Memorial Landscape. Landscape Journal. 17: 42-61.
  15. http://narasarang.mpva.go.kr/hyunchung/mfis/facility.asp
  16. http://www.unmck.or.kr/kor/park/unpark1.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