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하도 층구조 이력조사를 통한 하도내 국지퇴적 특성 분석

Study on Characteristics for Local Deposit of Sediment by Surveying River Bed's Layer History in High Berm of River Channel

  • 류영훈 (국토해양부 하천계획과 하천계획) ;
  • 이삼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
  • 안원식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yu, Young-Hoon (Deputy Director, River Plan Divisio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
  • Lee, Sam-Hee (Water Resources &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Ahn, Won-Sik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Suwon)
  • 투고 : 2010.06.03
  • 심사 : 2010.09.28
  • 발행 : 2010.10.31

초록

최근 기후변화에 기인하는 유출특성 변화와 유역 및 하도 환경 변화에 따라 하도형태가 바뀌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하도내 국지퇴적이 전국에 걸쳐 중 대하천에서 야기되고 있다. 이 가운데 고수부지 형태로 나타나는 복단면 하도에서 홍수터가 일방향적 성장과 저수로의 저하현상이 현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홍수량 관리는 물론 하천생태관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에서의 하도내 국지퇴적에 대해 조사한 결과, 국지퇴적 현상이 사실로 확인되었으며, 하천관리상 현실적인 당면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동안 하상변동특성에 관한 주된 관심사는 저수로에 분급된 하상재료를 토대로 저수로 하상변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에서 고수부지(홍수터)의 표층 퇴적이 지피상황 변화와 상호연관성이 높으며, 결국 하도전체의 하상변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하도내 국지퇴적의 대표적인 장소인 한강하구 고수부지에서의 집중조사 결과에 의하면, 고수부지에 퇴적하는 미세립토가 하천 식생의 정착 및 성장의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수림화를 동반하는 육역화가 진행되어 홍수 소통에 장애 요소는 물론 건전한 하천생태계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ore recently,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the forms of channels due to runoff characteristics driven by climate changes and other alterations in basin/channel environments. Particularly, increasing local deposition in major channels is being observed nationwide. Of such phenomena, it is noteworthy that flood-plains show unidirectional growth and lowering of channels within compound channels in the form of a high-flow plain. These changes are supposed to affect management of the river ecology as well as flood control. In this study, the research on channels in Korea confirmed that the phenomenon of local deposition in those channels is actually taking place, rendering a problem to be urgently addressed. Previous studies on bed changes have been focused on low channels based on bed materials distributed over the channels. However, this research has proved that surface-layer deposition of a high-flow plain is closely related with changes in the conditions of ground surfaces and, ultimately, affects the bed of the entire channel as well. According to the intensive research on the condition of the high-flow plain of the mouth of the Han River, the silt deposited in the high-flow plain was the main cause of settlement/growth of vegetation. And this leads to landforming along with woods-forming, disturbing flood control as well as the normal river ecolog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종운(2009). 하폭 급변 구간에서의 하상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2. 최호균, 김원일, 이삼희, 안원식(2009). "하천 협소부에서 하상 이동성과 형태와의 상관성에 관한 하도수리학적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42권 제2호, pp. 141-148.
  3.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2). 한강하류부하상 변동 분석 연구.
  4. 李参煕, 藤田光一, 山本晃一(1999). "礫床河道における安定植生域拡大のシナリオ-多摩川上流部を対象にした事例分析より." (日本)土木学会, 水工学論文集, 43巻, pp. 977-982.
  5. 山本晃一(2004), 構造沖積河川學, 山海堂.
  6. Lee, Samhee, Hwang, Seung-Yong, Ryu, Younghoon (2006).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 spread of vegetation and a growth of the high berm in the Han River estuary." 6th International Symposium, IAH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