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도내 국지퇴적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tudy on Characteristics for Local Deposit of Sediment by Surveying River Bed's Layer History in High Berm of River Channel (하도 층구조 이력조사를 통한 하도내 국지퇴적 특성 분석)

  • Ryu, Young-Hoon;Lee, Sam-Hee;Ahn, Won-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10
    • /
    • pp.883-891
    • /
    • 2010
  • More recently,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the forms of channels due to runoff characteristics driven by climate changes and other alterations in basin/channel environments. Particularly, increasing local deposition in major channels is being observed nationwide. Of such phenomena, it is noteworthy that flood-plains show unidirectional growth and lowering of channels within compound channels in the form of a high-flow plain. These changes are supposed to affect management of the river ecology as well as flood control. In this study, the research on channels in Korea confirmed that the phenomenon of local deposition in those channels is actually taking place, rendering a problem to be urgently addressed. Previous studies on bed changes have been focused on low channels based on bed materials distributed over the channels. However, this research has proved that surface-layer deposition of a high-flow plain is closely related with changes in the conditions of ground surfaces and, ultimately, affects the bed of the entire channel as well. According to the intensive research on the condition of the high-flow plain of the mouth of the Han River, the silt deposited in the high-flow plain was the main cause of settlement/growth of vegetation. And this leads to landforming along with woods-forming, disturbing flood control as well as the normal river ecology.

Characteristics of River-Bed Fluctuation for Rapid Change Channel Width (하폭 급변 구간에서의 하상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Jong-Woon;Kim, Byoung-Joo;Kim, Won-Il;Ah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03-708
    • /
    • 2009
  • 자연하천은 자연적 인위적인 환경의 변화에 대해서 하천 고유의 특성을 조절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하상은 하천의 변화에 끊임없이 반응하며 그 응답의 특성에 의해 복잡한 형태의 안정화를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하천 내에 하폭 급변구간 같은 특이하도 구간이 산재하게 되면 하폭 급변구간의 직 상류 구간에서는 배수영향으로 인해 홍수위가 증가하게 되며, 직 하류 구간에서는 소류력의 증가로 하상 및 하안 침식을 야기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하류의 일정구간에서는 유사의 국지적인 퇴적이 발생하여 하천범람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폭 급변구간 직 상 하류 및 하류구간에서 발생하는 하상변동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도특성 조사 방법에 따라 하폭 급변구간에서의 하도특성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2차원 수치모형인 SMS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 및 검증 하고자 한다. 감천 및 낙동강선산지구의 하폭 급변구간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하상재료의 이동성에 대한 평가 지표로 입증된 무차원소류력(${\tau}{\ast}$)의 분석결과 감천 및 낙동강선산지구의 직 상류 및 직 하류 구간에서는 하상의 세굴현상, 하류 구간에서는 유사의 국지적인 퇴적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2차원 수치모형인 SMS 모형 모의결과 전체 구간에 대해서 세굴 지향적으로 모의 되었으며, 하폭 급변부 하류 구간에 퇴적이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하지만 하폭 급변구간 상류에서의 국지적인 유사 퇴적양상은 수치모의 결과 확인 할 수 없었다. 이는 수치모형의 한계로 판단된다. 하도특성 및 수치모의 결과 하폭 급변구간 하류에서 유사의 국지적인 퇴적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실제 하천에서의 하폭 급변부 하류구간에서의 하상미지형 변화에 의한 국지적 유사퇴적 현상을 입증된 거라 할 수 있다.

  • PDF

Understa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Sand Bars' Movement in the Meandering Reaches by a Movable-Bed Experiment (이동상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만곡부 모래사주의 거동특성 분석)

  • Lee, Sam-Hee;Hwang, Seung-Yong;Park, J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79-1683
    • /
    • 2007
  • 최근 우리나라에서 하천 및 유역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하천 형태가 많이 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행하는 모래 하천에서 만곡부 사주의 형태 변화가 커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모래 하천의 만곡부에서 사주의 변화 특성을 평가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동상 수리모형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하천 및 유역의 여러 상황 변화를 감안하여 유량, 유사 공급량, 공급 시간, 하천 변형 등 다양한 조건을 상정하였다. 연구 대상하천은 낙동강 본류이며, 중점 수리모형 실험대상 구간은 우리나라의 전통민속마을인 안동 하회마을을 태극형으로 감싸면서 사행하는 만곡부이다. 이동상 실험규모는 수평축적 1/110, 수직축적 1/50로 왜곡도가 2.2로써 비교적 대규모이다. 모형 하상재료는 입경 0.29 mm의 석탄분(anthracite)을 채택하였으며, 현장에서 하상재료조사와 상사해석을 통해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량과 유사 공급량 변화에 따른 사주 변화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사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국지적 퇴적양상을 보였다. 이는 사주 내 식생활착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설계홍수량 규모에서 구하도와 과거 사주가 재현되었는데, 이는 지역주민을 통해 입증되었다. 또한 천연기념물인 만송정 주변의 모래둔덕의 형성과정이 입증되었다.

  • PDF

Geomorphological Processes of Yuga Alluvial Fan in Korea (유가 선상지의 지형 형성과정)

  • Lee, Gwang-Ryul;Cho, Young D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8 no.2
    • /
    • pp.204-217
    • /
    • 2013
  • This study shows the geomorphological processes of Yuga alluvial fan at Dalseong-gun, Daegu in Korea, based on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surfaces, analysis of geomorphological deposits and OSL age dating. Alluvial fans of this area are classified into three surfaces(YG-F1, YG-F2, YG-F3) and were formed by the depositional processes resulting from the changes in hydraulic geometry of flowing water which was a stream flowing out of mountains debouched on to a plain, not by a sudden decrease in surface gradient of river bed. YG-F3 surface, about 110,000 yr B.P.(MIS 5.4), was formed as Yongri river deposited a lot of debris. This result was due to the process that the deposition took place actively with the upward of base level as the last interglacial period began. Later, the denudation of the river valley and geomorphological surface constantly occurred and the local and seasonal changes were found in precipitation and stream discharge with the beginning of the interstadial of the last glacial stages(MIS 3), leading to YG-F2 formed by debris flow, earth flow, mud flow and stream flow. Then, short-term climate changes and temporal climate events repeatedly caused aggradation and denudation over time and going through these processes, YG-F1 is believed to have been made by earth flow or mudflow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MIS 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