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수부지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High Water Channel in the Lower Han River (한강 하류 고수부지 형성 이력에 관한 분석 및 평가)

  • Lee, Sam-Hee;Hwang, Seung-Yong;Ryu,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16-1621
    • /
    • 2006
  • 하천 지형은 흐름과 유사거동에 의한 세굴 또는 퇴적에 의하여 끊임없이 변한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하천지형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고 있는 한강 신곡수중보 직하류 우안의 고수부지 형성 이력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1981년 이전까지 하중도(제주초도)가 안정된 형태로 존재하였으나, 1980년대 중반을 거치면서 하중도는 소멸되었고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우안에 비슷한 규모의 고수부지가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고수부지의 형성과정을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단계(흐름 변화에 따른 이동사주의 정지): 1995년 이전까지는 하천 내 자연적/인위적 교란에도 불구하고 이열사주 형태의 이동상이 유지되다가 1995년 이후 1988년 준공된 신곡수중보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이로 인한 하중도의 소멸이 가중되면서부터 신곡수중보 직하류 우안의 이동사주가 정지하기에 이른다. 2) 성장단계(조석에 따른 부유사 반복 퇴적): 이동상 사주가 정지된 뒤 매일 2회씩 반복되는 조석의 영향을 받은 고농도의 부유사가 정지된 사주 위에 반복되어 퇴적되는 양상이 일어난다. 3) 정착단계(정지사주의 고수부지화): 정지사주에서 부유사가 퇴적하고 갈대와 같은 초본류 식생이 활착하게 되면서 부유사 퇴적은 가중되어 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1999년과 같은 대홍수 때 부유사의 고수부지 내 퇴적이 결정적이었을 것이다. 4) 확장단계(고수부지 확장단계): 대홍수 때 고수부지의 퇴적과 아울러 산재하던 버드나무가 교란을 받아 고수부지에서 새로운 버드나무 군락의 터전을 이루어 밀생하게 된다. 향후 고수부지가 잠기는 규모의 홍수가 빈발할 경우 퇴적층의 유실보다는 부유사 퇴적이 많아져 고수부지는 확장단계에 접어들게 된다.70{\sim}90$ 시간 동안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굴의 측정은 투명한 아크릴로 제작된 수제 내부에 CC카메라를 수제 전 후면 및 측면에 설치하여 월류수제의 세굴 발생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동시에 수제의 각 면에 각각 3개의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압력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월류수제 주변의 압력변화에 따른 세굴심의 실시간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 PDF

Experiment of Wetting and Drying for a Step by Dam-Break Flows (댐 붕괴 흐름에 의한 계단의 잠김/드러남 실험)

  • Kim, Hyung Suk;Park, Moon Hyung;Hwang, Seung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79-379
    • /
    • 2015
  • 최근 몇 년간 기록적인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인해 홍수피해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국내 대부분의 하천은 고수부지 또는 제방으로 정비되어있다. 국지적으로 발생되는 집중호우는 수위를 급격하게 증가시켜 하천의 고수부지 또는 제방범람을 야기한다. 집중호우로 인한 흐름이 고수부지 또는 제방을 지나면 흐름양상은 매우 복잡하게 변화한다. 그러나 급격히 증가하는 흐름에 의해 하천의 제방, 옹벽 또는 계단지형으로 형성된 고수부지 등을 지나는 흐름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이러한 불연속 단면을 고려하여 예측하기는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급변하는 흐름이 계단형 구조물을 지날 때 잠김/드러남 특성을 조사하기위해 수리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리실험은 길이 6 m, 폭 0.4 m로 제작된 직선수로에서 수행되었다. 급격히 증가하는 댐 붕괴 흐름을 재현하기위해 수로중간에 게이트를 설치하고 상류에 물을 채운 후 빠른 속도로 게이트를 개방하였다. 하류에는 수로를 따라 계단형 구조물을 설치하고 하류경계는 물이 빠져나갈 수 있게 하였다. 하류 초기수위는 첫 번째 계단보다 약간 낮게 설정하였다. 계단형 구조물과 그 주변에 파고계를 설치하여 시간에 따른 수위변화를 측정하였다. 다양한 수리조건을 적용하여 수리실험을 수행하였고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급변한 비정상흐름이 계단형 구조물을 지날 때 잠김/드러남 특성을 분석하였다. 차후 이 실험 결과는 하천의 제방 및 계단지형을 고려할 수 있는 고정확도 수치모형을 개발하는 검증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Evaluation of Hydraulic Influence Caused by Tree Planting on Flood Plain through Field Survey (현장조사를 통한 고수부지 내 수목 식재의 수리적 영향 평가)

  • Kim, Chang-Wan;Cheong, Sang-Hwa;Lee,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64-126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2002년부터 2004년까지 3년에 걸쳐 한강고수부지(반포지구)에서 수목 식재에 따른 수리적 영향을 수치모형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RMA-2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수목 식재전$\cdot$후로 수위는 3 cm 증가하고 유속은 4 cm/s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재로 인한 수리량의 변화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실측자료도 홍수 시 수목 식재에 의한 하천수리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년 홍수기간 동안 보여 지는 침수양상에 따라 수리특성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자료 수집을 통하여 다양한 침수상황에 다른 기초 수리자료를 축척하고 정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현장조사 및 수치모형 결과와 비교$\cdot$분석하여 상호보완 할 필요성이 있다.

  • PDF

Study on Characteristics for Local Deposit of Sediment by Surveying River Bed's Layer History in High Berm of River Channel (하도 층구조 이력조사를 통한 하도내 국지퇴적 특성 분석)

  • Ryu, Young-Hoon;Lee, Sam-Hee;Ahn, Won-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10
    • /
    • pp.883-891
    • /
    • 2010
  • More recently,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the forms of channels due to runoff characteristics driven by climate changes and other alterations in basin/channel environments. Particularly, increasing local deposition in major channels is being observed nationwide. Of such phenomena, it is noteworthy that flood-plains show unidirectional growth and lowering of channels within compound channels in the form of a high-flow plain. These changes are supposed to affect management of the river ecology as well as flood control. In this study, the research on channels in Korea confirmed that the phenomenon of local deposition in those channels is actually taking place, rendering a problem to be urgently addressed. Previous studies on bed changes have been focused on low channels based on bed materials distributed over the channels. However, this research has proved that surface-layer deposition of a high-flow plain is closely related with changes in the conditions of ground surfaces and, ultimately, affects the bed of the entire channel as well. According to the intensive research on the condition of the high-flow plain of the mouth of the Han River, the silt deposited in the high-flow plain was the main cause of settlement/growth of vegetation. And this leads to landforming along with woods-forming, disturbing flood control as well as the normal river ecology.

A Study on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a Compound Channel (복단면(複斷面) 수로(水路)에서의 수리학적(水理學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研究))

  • Jeong, Dong Guk;Ahn, Soo Hah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6 no.1
    • /
    • pp.25-33
    • /
    • 1986
  • Natural river channels usually have a deep section and one or two floodplains, which is called a compound channel. As the general method in the compound channel overestimates the discharge capacity, the momentum transfer due to interaction between the main channel flow and flow over its floodplain must be considered. Scale model experiments are performed for the rectangular main channel with an asymmetrical floodplain. Firstly, velocities are measured at various section grids. Secondary, boundary shear stresses are calculated from velocity distributions. Lastly, in order to determine the apparent shear force, the shear stress distributions are integrated along the wetted perimeter for the full cross-section and equated to the total weight force in the flow direction.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a compound channel are closely examined with the scales of length, velocity, boundary shear stress, and apparent shear force which are described with the various relationships.

  • PDF

협회장배 사내 체육대회

  •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s.31
    • /
    • pp.32-33
    • /
    • 2005
  • 협회 임 직원간 친목도모 및 체력증진을 위한 협회장배 사내 체육대회가 11월 12일 오후 뚝섬 고수부지 체육공원에서 개최되었다. 축구-건축부, 배구-토목부, 종합우승-건축부가 차지한 이번 대회에는 갑자기 뚝 떨어진 기온임에도 불구하고 전 임직원이 참석해 열띤 경기를 펼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