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기 산화피막 제거와 양극산화 시간에 따른 다공성 알루미나 막의 성장

Effect of the Removal of an Initial Oxide Layer and the Anodization Time on the Growth of the Porous Alumina Layer

  • 투고 : 2010.09.09
  • 심사 : 2010.10.14
  • 발행 : 2010.10.31

초록

두 차례에 걸친 양극 산화 과정 중 1차 양극 산화 시 성장한 초기 산화 피막의 제거와 2차 양극 산화 시간에 따른 다공성 알루미나 막의 성장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공성 알루미나 막의 제작은 인산을 전해 용액으로 사용하여 두 차례의 양극산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초기 산화 피막의 제거가 2차 양극 산화 후 나타나는 알루미나 막 표면상의 기공구조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2차 양극 산화 시간에 따라 성장하는 알루미나 막의 두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1차 양극 산화 후 인산과 크롬산을 이용한 식각 과정에서 이루어진 산화 피막의 제거 정도에 따라 형성되는 다공 구조의 균일도가 향상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2차 양극 산화 시간에 따라 산화 막의 두께가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산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150 V의 양극 산화 전압 하에서 다공성 알루미나 막의 성장률은 22.5 nm/min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removal of an initial oxide layer and the anodization time on the growth of the porous alumina layer. The porous alumina layer was fabricated by two-step anodization process with phosphoric acid. We have observed the changes in the uniformity of the pore structure by varying the removing time of the initial oxide layer after the first anodization with phosphoric acid and chromic acid, and noted that its uniformity improves with the removing time. We have also determined the thickness of the alumina layer after the final anodization process and found that the thickness increases linearly with the anodization time. Under 150 V of anodization voltage with phosphoric acid, the growth rate of the porous alumina layer is determined to be 22.5 nm/min.

키워드

참고문헌

  1. Hideki Masuda and Kenji Fukuda, Sience 268, 1466 (1995). https://doi.org/10.1126/science.268.5216.1466
  2. M. T. Rahman, N. N. Shams, C. H. Lai, J. Fidler, and D. Suess,Phys. Rev. B 81, 014418 (2010). https://doi.org/10.1103/PhysRevB.81.014418
  3. Parag Banerjee, Israel Perez, Laurent Henn-Lecordier, S. B.Lee, and Gary W. Rubloff, Nat. Nanotechnol. 4, 292 (2009). https://doi.org/10.1038/nnano.2009.37
  4. Woo Lee, Hee Han, Andriy Lotnyk, Markus Andreas Schubert,Stephan Senz, Marin Alexe, Dietrich Hesse, Sunggi Baik,and Ulrich Gsele, Nat. Nanotechnol. 3, 402 (2008). https://doi.org/10.1038/nnano.2008.161
  5. M. D. Stewart, Jr., Aijun Yin, J. M. Xu, and James M. Valles,Jr., Science 318, 1273 (2007). https://doi.org/10.1126/science.1149587
  6. J. Li, C. Papadopoulos, J. M. Xu, and M. Moskovits, Appl. Phys. Lett. 75, 367 (1999). https://doi.org/10.1063/1.124377
  7. J. S. Suh and J. S. Lee, Appl. Phys. Lett. 75, 2047 (1999). https://doi.org/10.1063/1.124911
  8. Jianyu Liang, Hope Chik, Aijun Yin, and Jimmy Xu, J. Appl. Phys. 91, 2544 (2002). https://doi.org/10.1063/1.1433173
  9. A. P. Li, F. Muller, A. Birner, K. Nielsch, and U. Gsele, J. Appl. Phys. 84, 6023 (1998). https://doi.org/10.1063/1.368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