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Design for Daechon Soul Island Resort Complex

대천 소울 아일랜드 리조트 조경설계

  • Kwon, Jin-Wook (Dept. of Floral Design, Kaywon School of Art and Design)
  • 권진욱 (계원디자인예술대학 화훼디자인과)
  • Received : 2010.03.05
  • Accepted : 2010.04.14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is a development plan of a resort in a regional center that aims to generate tourism consumptions that have ripple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y by developing abandoned mine complexes in Daechon. Thanks to economic growth, the public awareness of tourism has changed. Hence, want for tourism influences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recreational spaces, combining with various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issues caused by modernization has become a major issue. At this point, to rediscover and specialize industrial complexes of bygone days as tourism resources signifies regeneration of regional resources. This study aims to find a solution for appropriate tourism development as part of the measures to revitalize the regional economy in underdeveloped areas and to improve the polluted environment.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regional development alongside the development of a resort complex,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environmental similarities. Minimizing differences in landscape structures is especially necessary because it will cause tourism resources in a regional center to be naturally linked to regional activities. These will then be recognized as attractions in the neighborhoo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reflect a spatial structure for environmental convergence, and, at the same time, to fulfill operation purposes by space through differentiation of movement lines. Second, in utilization of existing environmental resources, it is desirable to express localities and to develop differentiated elements. Facilities should not be homogenized, attaching importance to trends. Therefore, in establishing a development plan, it is important to have an attitude to accept existing roles and functions in a transformative manner. Third, recreational facilities in resort spaces generally have the problems of being uniformly planned as part of a development project and being limited to landscape facilities. Introduction of specialized facilities that can be reconciled with the regional environment and that can be open influences the landscape structure of the entire region and brings ripple effects as key facilities for activation of tourism.

본 연구는 대천에 위치한 과거 폐광단지의 재개발을 목적으로 환경개선을 통하여 거점관광지를 마련하고 관광소비에 의한 지역 경제 파급효과를 기대하고자 하는 거점형 휴양리조트 단지 개발계획이다. 경제성장과 함께 관광에 대한 국민 의식이 전환되었고, 그와 관련한 관광욕구가 다양한 문화 컨텐츠와 결합하여 위락 공간의 개발과 발전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현대화에 따른 환경문제와 결부된 개발이 주요한 현안으로 떠오르는 시점에서, 관광자원으로서 과거 산업단지의 재발견과 특성화 전략은 생태관광과 더불어 지역자원의 재생이라는 관점에서 개발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폐광지역과 같은 낙후지역의 침체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며 광산개발에 의해 오염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 관광개발을 수행하며 이에 적합한 계획에 대한 해법을 찾고자하는 것인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성을 고려한 리조트 단지의 개발은 환경에 대한 동질감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데, 주변 환경을 포용하며 경관구조상의 이질감을 최소화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환경적 융합을 통하여 거점 관광자원이 지역에서 요구되는 활동영역으로 자연스럽게 연계되고 이용되어 근린생활권역의 매력인자로 인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므로 환경적 융합을 위한 관광자원의 개발은 공간 의 독창성과 함께 관광 및 생활 이용 동선의 차별화를 통하여 공간별 운용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기존 환경자원의 활용은 지역성을 표출하기 위한 기회요소이며, 차별화된 자원을 개발하는 근간을 마련하나, 반면 트렌드에 치중하여 획일적 시설로 변모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개발계획의 수립 시 기정 기능과 역할에 대한 포괄적인 수용과 변용에 적응하기 위한 방안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일반적으로 리조트 공간의 위락시설은 단일 규모에 의하여 계획되고 그에 따른 조경시설로 제한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지역 환경과 융합되며, 개방될 수 있는 특화시설의 도입이 요구된다. 또한 대상지 전체의 주요 경관 자원이 되며 관광 활성화를 위한 핵심시설로서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여 관련시설에 대한 파급효과를 전달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진(2007) 산업유산으로서의 폐광산 재활용 방법론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6): 111-129.
  2. 강동진, 오세경(2003) 산업유산의 유형별 재활용 특성 탐색.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2(3): 59-71.
  3. 강원개발연구원(1996) 탄광지역 살리기 대책 연구.
  4. 김동진(2000) 탄광지역 보전 가능한 관광개발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대천리조트(2008) 대천리조트 설계경기 지침서.
  6. 박중근(1994) 태백 폐탄광 재활용 환경설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산업자원부(2002) 광산재해예방 및 폐광 활용연구.
  8. 윤상현, 박석희(2006) 관광개발과 갈등: 강원 남부 폐광지역을 사례로, 관광학연구 30(3): 71-89.
  9. 이현경(2006) Eco-Mine Planning & Design: 화성시 삼보광산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