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관구조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27초

19세기 안의삼동(安義三洞) 동천(洞天)의 경관구조 해석 (An Analysis on the Landscape Structure of Anuisamdong-Dongcheon in the 19th Century)

  • 김동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3-84
    • /
    • 2016
  • 본 연구는 안의삼동을 대상으로 19세기 관찬지리지와 관련 문헌에서 추출한 동천의 경관구조를 살펴본 결과 화림동 5개소, 심진동 9개소, 원학동 17개소가 확인되었으며, 동천 내 주요지점들은 각각 경구집합형, 경점연속형, 복합형 등의 경관구조 분포를 지님과 동시에 동천의 집합체로서 세거지와의 격리, 주머니 공간 형성을 통해 선계로서의 장소성을 부여하였다.

  • PDF

현수교의 경관설계 방법과 시점장 (Landscape Design Method and View Point Field of Suspension Bridges)

  • 양승현;김창환;한재익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0-60
    • /
    • 2001
  • 교량설계에 있어서는 교량의 기능과 안전성, 경제성 등 구조 광학적인 면을 고려하여 설계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교량의 경관설계에 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선 교량의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량의 경관설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량의 구조 공학적인 판단과 경관 공학적인 판단에 의해서 교량 형식을 결정하는 방법과 선호도가 높은 현수교의 시점장을 분석하는데 있다. 교량형식을 결정하는 방법은 기초설계단계에서 Seen 경관을 고려하여 교량의 유형을 결정하고, 교량의 구조적인 정.동역학적 검토와 Seen경관.Sequence 경관 등을 고려하여 교종의 형식을 결정하게 되는 각 단계별 설계조건에 따른 교량설계 방법을 흐름도로 제시하였다. 또한, 현수교의 시점장의 범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교량전체에 대한 시선입사각, 가까운 쪽의 주탑에 대한 시선입사각, 가까운 쪽 주탑의 외관 크기에 대한 연직시각, 교량전체가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수평시각 등을 주시실험 자료와 Professional 현수교의 사진에 의한 구조형태의 비율 등을 측정하여 분석 교차한 결과 교량전체에 대한 시선입사각 $\alpha$=(15$\pm$7.5)$^{\circ}$, 가까운 쪽의 주탑에 대한 시선입사각 V=(30$\pm$7.5)$^{\circ}$, 가까운 쪽 주탑의 외관 크기에 대한 연직시각 18$^{\circ}$$\leq$$\delta$27$^{\circ}$, 교량전체가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수평시각 $\theta$$\leq$60$^{\circ}$의 시점장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경관의 시각적 질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강경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Methodology of Visual Quality Improvement of Landscape : The Case of the Han Riverscape)

  • 현종영;박찬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7-125
    • /
    • 1991
  • 본 연구는 경관의 미적선호의 정보처리모형을 제시하고 LISREL 방법론을 사용하여 한강경관의 미적선호의 강화에 기여하는 구조적 인자 를 확인함으로써 한강경관의 시각적 질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강 경관을 대표할 수 있는 전형적이고 시각적으 로 현저한 40개의 경관의 슬라이드를 120명의 피조사자에게 보여주고 미 적평가, 선호, 가독성, 복잡성, 통일성, 신비성을 11등급의 척도를 사용하 여 측정하고 LISREL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경관번호 30을 제외하고 모형의 전체적 적합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의 결과 경관 에 대한 미적 평가와 선호가 경관의 미적선호를 타당성있게 나타내는 변 수로 확인되었으며, 통일성, 가독성, 신비성의 구조적 변수들이 경관의 시각적 질을 유의하게 강화시키는 인자로 판명되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한강 경관의 시각적 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농촌경관을 고려한 수로교 디자인 방안 연구 (A study on proposal of design aqueduct be considered for rural landscape on Agricultural Hydraulic Structures)

  • 김명원;김관호;조영권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1013-1016
    • /
    • 2008
  • 약30년 전에는 수로교 구조물의 설계방식이 목표내구연한 동안 기능이 유지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투자효율이 높은 방향으로 주안점이 이루어져 수로교 구조물이 시공되어 왔다. 그러나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국민 소득 증가와, 삶의 질 향상, 도시민들의 여가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 도시와는 상반되는 농촌 자연에 대한 도시민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패러다임이 변화된 것을 감안할 때 도시와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는 농촌의 자연 그대로의 환경이나 친환경성은 그 가치의 제고와 함께 농촌지역 공간의 보전에 큰 의미를 갖는다.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정 여건의 변화에 능동적 대비를 위하여 수리시설물 중 경관이 고려되어야할 수로교 구조물을 농촌경관에 어울리게 개선하여 지역발전을 위한 자원 개발의 모토로 삼아야할 시기가 된 것 같다. 한편 과거에 설계, 시공되어온 수로교구조물이 마을 앞을 횡단하는 노선의 현황이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고 이러한 수로교 구조물들의 설치위치 및 설치경관 등이 농촌지역 주민들의 시대적 의식변화에 미치지 못하여 지역 주민의 구조물 구조개선 요구 등 민원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설계, 시공에 이수기능이 강조된 농촌마을 입구를 횡단하는 수로교 구조물은 농촌지역 곳곳에 산재되어 설치되어져 있고 구조물의 노후화 및 누수와 농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등 으로 농촌경관 저해, 지역 주민의 민원을 야기시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주민의 민원을 해소 시킬 수 있는 사업 창출과 농촌경관개선을 위한 수로교 구조물의 구조적, 친환경적, 농촌 경관적인 요소를 반영한 수로교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추진 중에 있으며, 향후 체계적인 연구 추진 전략에 따라 수로교의 농촌경관개선사업의 구조적, 기능적 디자인 및 시뮬 레이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경관지수를 이용한 산림청 지정 명산(名山)과 일반 산의 산림경관구조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Structures Between Famous and General Korean Forests Using Landscape Indices)

  • 한희;송정은;설아라;박진한;정주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림청에서 지정한 '우리나라 100대 명산'에 포함된 국 도립공원 산림과 그 외의 일반산림과의 비교를 통해 산림의 경관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산림을 대상으로 100대 명산에 지정된 산림 및 지정되지 못한 산림을 각각 34개씩 선정하고, 각 산림에 대해 FRAGSTATS을 활용하여 경관구조에 따른 공간분석 결과를 경관지수로 계량화한 후, 두 집단 간 경관지수의 비교분석을 통해 산림의 경관인식에 영향을 주는 경관구조적 특징들을 찾고자 하였다. 비교분석에 의한 연구결과 국 도립공원 산림은 대체로 일반산림에 비해 평균경사도가 크고, 해발이 높으며, 지형 기복도가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 도립공원 산림은 대체로 수종분포 특성에 따른 영급패치의 형태, 크기 및 복잡성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교분석 결과를 토대로 판단할 때 임분 패치의 평균크기, 경관면적비율, 가장자리밀도 및 다양성 등의 경관구조적 특징들이 산림의 경관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로 판단된다.

마을의 경관구조 및 경관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ucture and Planning of Landscape in Village)

  • 정건채;구재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8
    • /
    • 2007
  • This study is on landscape design of existing rural village focused on for improvement of community. It's so one of serious problems in landscape in almost rural area of the nation. For the finding clue of landscape design of village view through this study, we surveyed 1 village located in Sangju city. By surveying landscape design factor of village, we can propose design method and a few results as follow; Firstly, the structure of village landscape has five principle factors. The five factors of landscape are history and culture, housing and building, nature, agriculture, and environment design. Secondly, color existing of housings is to contain a primary color on roof which is not in harmony. Nevertheless, we can also find the reform measure and the possibility because of the knowledge of village people.

  • PDF

갑천 유역의 불투수율 변화에 따른 경관 생태학적 지표의 평가 (Evaluation of Landscape Ecology Indices of Gap Stream Basin on Impervious Cover Changes)

  • 최진영;강문성;배승종;정세웅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63-1268
    • /
    • 2010
  • 불투수면 비율은 유역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도시화에 따른 도시유출의 특성을 추적하는 모델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고, 기존의 많은 연구를 통해서 수환경과의 밀접한 관계가 검증되었다. 불투수율은 비교적 쉽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으며 유역계획에서 여러 가지 대안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용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오늘날 토지이용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유역생태계 변화 분석 등은 시,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인간활동에 의한 토지이용의 파편화(Fragmentation)가 어느 정도 발생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파편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의 적용을 위한 경관요소로서 토지피복을 선정하여, 불투수면을 나타내는 시가화지역과 투수면을 나타내는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1) 갑천 유역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경관구조,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2) 갑천 유역 내 6개 단위유역별로도 경관 생태학적 지표를 선정하여 이를 평가하였다.

  • PDF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경산시의 경관구조 분석 (The Analysis of Landscape Structure due to the Landcover Change - Case Study in Kyongsan City -)

  • 정성관;오정학;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9-18
    • /
    • 2002
  • 경관은 인간과 자연환경이 결합되어 시공간적으로 나타나는 토지 모자이크이며, 토지이용 및 지피(landcover)의 변화는 지역의 경관구조를 변화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경관요소들이 존재하는 경산시를 대상으로 1985년과 1997년의 Landsat TM 영상을 통한 토지이용의 변화 및 경관지수를 사용하여 대상지역의 경관구조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화로 인해 산림 및 농경지가 도시지역으로 전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림지역에서 개발로 인한 훼손으로 파편화 현상이 발생하여 산림의 건전성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농경지를 중심으로 도시지역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산림지역 주변의 토지이용형태가 농경지 중심에서 도시지역과 농경지의 혼합된 형태로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19세기 안의삼동(安義三洞) 동천(洞天)의 경관구조 해석 (An Analysis on the Landscape Structure of Anuisamdong-Dongcheon in the 19th Century)

  • 김동현;이원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42-753
    • /
    • 2016
  • 안의삼동은 19세기 영남 지방 최고의 명승으로 각광받던 곳이었으나 오늘날에는 각 경관요소가 산재되어 전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안의삼동의 경관구조 재현 및 명승적 가치 제고를 위해 관찬지리지에 수록된 주요지점을 추출하고 경관구조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관찬지리지에 나타나는 안의삼동의 명승적 가치를 지닌 주요지점을 추출한 결과 화림동은 6개소, 심진동은 9개소, 원학동은 25개소로 확인되었다. 화림동은 누정과 형승이 각각 3개소로 나타났으며, 심진동의 주요지점은 모두 형승에 해당하는 자연물에 해당하였다. 원학동은 안의삼동 동천 중 가장 많은 요소들이 수록되었다. 화림동은 정자 중심의 경구집합형, 심진동은 계곡을 따라 분포하는 경점연속형, 원학동은 경구집합형과 경점연속형이 동시에 나타나는 복합형의 개별 분포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각 동천의 집합적 의미구조를 살펴본 결과 지형에 따라 시각적 거리적 격리를 통해 주변과의 영역성을 달리하고 있으며, 좁은 입구와 위요된 지형은 동천이 무릉도원의 공간으로 인식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19세기 유람문화의 성행과 함께 효율적인 경로 모색에 의한 각 주요지점의 연계는 이전시기 개별 동천으로 인식되던 경관구조가 통합된 하나의 동천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는 동일한 시점과 종점, 유람경로를 지니는 일반적인 동천의 경관전개와는 차별성을 지닌다.

백두대간 마루금 지역의 시계열적 토지피복 변화 및 경관구조 분석 (An Analysis of Landcover Change and Temporal Landscape Structure in the Main Ridge Area of the Baekdu Daegan Mountain System)

  • 오정학;김영걸;권진오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9-57
    • /
    • 2007
  • 본 연구는 국토의 생태축이라고 할 수 있는 백두대간의 지속가능한 보전 및 주변환경과의 조화로운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GIS 및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시계열적 토지피복 및 경관구조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받은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생성한 change detection matrix를 통해 시계열적 토지피복변화를 살펴본 결과,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은 약 $3.61km^2$로 농경지($2km^2$)와 산림지역($1.36km^2$)에서 더 많은 개발행위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림지역이 다른 용도로 변화된 지역은 약 $85.7km^2$로 농경지($72.2km^2$)와 초지지역($10.1km^2$)으로 전용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관지수에 의한 경관구조를 분석한 결과, 산림지역의 경관구조가 구조적으로도 불안정한 상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에 대해서는 향후 고해상도 위성영상 등을 이용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의 환경조건에 부합하는 생태적 관리를 병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