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ilization of Ground Control Points using LiDAR Intensity and DSM

LiDAR 반사강도와 DSM을 이용한 지상기준점 활용방안

  • 임새봄 (새한항업(주) 지오메틱스) ;
  • 김종문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신상철 (새한항업(주) 지오메틱스 연구소) ;
  • 권찬오 (새한항업(주) 지오메틱스)
  • Received : 2010.10.26
  • Accepted : 2010.12.01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AT(Aerial Triangulation) is the essential procedure for creating orthophoto and transforming coordinates on the photographs into the real world coordinates utilizing GCPs (Ground Control Point) which is obtained by field survey and the external orientation factors from GPS/INS as a reference coordinates. In this procedure, all of the GCPs can be collected from field survey using GPS and Total Station, or obtained from digital maps. Collecting GCPs by field survey is accurate than GCPs from digital maps; however, lots of manpower should be put into the collecting procedure, and time and cost as wel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btaining GCPs from digital maps, it is very difficult to secure the required accuracy because almost things at each stage in the collecting procedure should rely on the subjective judgement of the performer. In this study, the results from three methods have been compared for the accuracy assessment in order to know if the results of each case is within the allowance error: for the perceivable objects such as road boarder, speed bumps, constructions etc., 1) GCPs selection utilizing the unique LiDAR intensity value reflected from such objects, 2) using LiDAR DSM and 3) GCPs from field survey. And also, AT and error analysis have been carried out w ith GCPs obtained by each case.

항공삼각측량(AT: Aerial Triangulation)은 정사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으로 현장측량을 통해 얻어진 지상기준점 성과와 GPS/INS를 통해 얻어진 외부표정요소를 기준좌표로 이용하여 사진상의 모든 좌표를 지상좌표화 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요구되는 지상기준점은 GPS 및 토탈스테이션 등을 이용한 직접측량과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간접측량 등의 방법으로 좌표를 취득한다. GPS 및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직접측량은 현장에서 소요되는 인원, 시간, 비용 등의 경제적인 비용이 많이 소비되므로 효과적이지 않은 반면, 수치지형도로부터 지상기준점을 추출하는 경우는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직접 선점해야하는 수동적인 작업방식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되며, 정확도 확보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항공삼각측량을 위해 LiDAR의 반사강도와 LiDAR DSM을 활용하여 식별이 가능한 도로경계선, 방지턱, 건물 등으로 지상기준점을 선점 후, 직접 측량을 통해 얻어진 지상기준점과 비교 분석하고, 수치지형도의 허용오차를 기준으로 정확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서 얻어진 지상기준점을 이용하여 항공삼각측량을 실시하고 오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준묵, 윤희천, 민관식, 위광재, 2006, LiDAR 자료에 의한 지형해석, 한국측량학회지, 제24권, 제5호, pp. 389-397.
  2. 김계동, 박정현, 이용욱, 2009,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기준점측량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7권, 제2호, pp. 203-211.
  3. 김용석, 김성철, 2008,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지형지물의 위치정확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3호.
  4. 김정기, 엄기문, 이괘희, 박래홍, 1992, GCP 측량 불가능 지역의 SPOT 위성 모델링에 관한 연구, 대한전자공학회, 제5권, 제1호, pp. 226-231.
  5. 박선미, 2007, 라이다 DSM을 이용한 엄밀정사영상 제작, 서울시립대학교 공학석사논문.
  6. 오종민, 2007, 라이다 반사강도를 이용한 AT 및 정사영상의 정확도 평가, 서울시립대 공학석사논문.
  7. 이재원, 문두열, 김정희, 김진구, 2004, GPS를 이용한 사진기준점 측량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81-191.
  8. 이현진, 류지호, 김홍섭, 2006,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 방안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4권, 제2호, pp. 33-42.
  9. 위광재, 김은연, 윤홍식, 강인구, 2007, 멀티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건물의 3차원 모델링 기법 개발 및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제25권, 제1호, pp. 2-6.
  10. 위광재, 최윤수, 오종민, 이임평, 서용운, 2008, 라이다 반사강도에서 추출한 지상기준점의 정확도 비교,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6권, 제4호, pp. 25-31.
  11. 정성은, 이우균, 곽두안, 최현아, 2008, LiDAR의 높이 및 밀도 정보를 이용한 도시지역의 3D기반 분류, 한국GIS학회, 제16권, 제3호, pp.373-383.
  12. 한수희, 송정헌, 김용일, 유기윤, 2002, LiDAR 반사 강도와 DSM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 가능성 평가, 한국 측량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75-78.
  13. 홍상훈, 정형섭, 이호남, 원중선, 2003, 영상 레이더를 이용한 지상기준점 추출, 한국 GIS 학회 춘.추계학술대회, pp. 115-120.
  14. Xiaoye Liu, Zhenyu Zhang, Jim Peterson, Shobhit Chandra, 2007, LiDAR-Derived High Quality Ground Control Information and DEM for Image Orthorectification, Geoinformatica, pp. 3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