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I Strategy for a Tourism Image Improvement at Chung-buk Cho-jeong

충북 초정리 관광 이미지 개선을 위한 CI 전략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ut becomes the foundation which establishes the area image integrated strategy the area image and the major factor of the Cho-jeong. For a study result area image integration the considered seriously was self-combustion and creativity, according to demographics quality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 fact that partially is difference of recognition. This will lead and for an area image integration from and will be natural to use the delegation of a district resources, the image integrated strategy which is discriminated must be established and the possibility.

본 연구는 초정리의 지역이미지통합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가 되는 지역이미지 및 중요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지역이미지 통합을 위해 중요시 되는 요인은 자연성과 독창성이었으며,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역이미지 통합을 위해서는 지역 대표자원을 이용해 자연적이면서, 차별화된 이미지통합 전략이 수립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중성, “한국과 일본의 관광이미지에 대한 소고”, 관광연구저널, 제5호, pp.75-86, 1995.
  2. 박의서, “한국 관광이미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3. 박의서, “강화도 관광이미지 속성에 준거한 홍보 방안”, 관광정책학연구, 제11권, 제3호, pp.99-119, 2005.
  4. 송진희, 김제중, “순천시 이미지 통합계획(CI)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 연구, pp.295-306, 2002.
  5. 송진희, “광주시 광산구 이미지 통합계획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제21권, 제2호, pp.1005-1028, 2000.
  6. 김창수, “CI를 활용한 관광지역 이미지통합 전략”, 관광경영학연구, 제7권, 제1호, pp.69-88, 2000.
  7. 윤희정, “녹색관광마을의 이미지 차별화를 위한 CI통합계획”, 한국조경학회지, 제34권, 제2호, pp.72-79, 2006.
  8. H. Assaed,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 Cincinnati, Ohio;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1995.
  9. B. Goodall, "Progress in tourism, recreation and hospitality management," 1991.
  10. 이인재, 조광익, “관광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기대와 직접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관광 이미지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27권, 제1호, pp.45-68, 2003.
  11. 이인재, “관광목적지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과거의 직접경험이 관광목적지 이미지 형성에 갖는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0권, 제1호, pp.251-266, 2005.
  12. 전원배, “경주관광지의 이미지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일본관광지측면에”, 관광연구, 제7권, pp.147-176, 1996.
  13. 김경호, 강성일, “관광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제주도지역을 중심으로”, 산경논집, 제15권, 제1호, pp.149-169, 2001.
  14. 김시중, “온천관광지 이미지, 속성 및 선호도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1권, 제4호, pp.497-510, 2005.
  15. 일본능률협회총합연구소편, CI실천실무, 서울; 올기업문화연구원, 1991.
  16. 현용호, “가상 관광지 이미지 개념 정립과 이론적 형성 모델 구축”, 호텔관광연구, 제31권, pp.213-225, 2008.
  17. S. Baloglu and K. W. McCleary, “A model of destination image form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26 No.4, pp.868-897, 1999. https://doi.org/10.1016/S0160-7383(99)00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