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정

Search Result 8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Microstructural refinement of hypereutectic Al-Si alloys for semi-solid state processing (반고상 성형을 위한 과공정 Al-Si 합금의 조직 미세화)

  • 김인준;김도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ity Conference
    • /
    • 1997.03a
    • /
    • pp.94-97
    • /
    • 1997
  • 금속을 반고상 상태에서 성형하기 위하여 미세조직학적 거동을 밝히기 위해, 본 연 구에서는 높은 비강도, 내마모성을 가진 과공정 Al-Si 합금을 반응고 가공하였을 때의 미세 조직과 상온 가공 후 반고상 온도로 일정시간 유지하였을 때의 미세조직을 관찰하였다. 일 반주조시의 개량 원소 P과 Sr을 첨가하였으며 쐐기형 주조재, 압연재, Si 입자강화 Alrl 복 합재료를 반고상 상태로 가열한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초정 Si입자의 형상 변화를 관찰하였 다. 반응고 교반시 초기에는 P과 Sr의 첨가에 의해 초정 Si입자가 미세화 되었으나 교반이 지속되어 가면서 이러한 경향은 감소하였으며 구상에 가까운 형태로 변화 하였는데, 이는 교반이 지속되면서 첨가 원소의 효과보다 교반 자체의 미세조직 변화 기구에의 의존도가 높 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냉각속도를 달리한 쐐기 형상에서의 금형에서 주조된 미세 조직을 관찰한 결과 냉각속도가 느릴 때에만 첨가원소의 영향이 나타났으며, 반고상 온도 유지 후 초정 크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alpha$-halo가 형성되고 미세한 Si입자가 생성되었 다. 이는 입자 크기의 성장에 따른 주위의 농도구배로 인해 생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압연시 첨가원소는 핵생성과 재결정을 촉진시켜 초정 Si의 크기를 크게 감소시켰다. 반용융 처리시 초정 Si입자는 약간 성장하였으며, $\alpha$-halo도 생성되었다. 압출한 시료를 반용융 처리한 경 우 Si입자의 형상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Si입자에 형성되어 있던 산화막이 기지와 초정 Si 압자간의 확산장벽으로 작용하여 $\alpha$-halo가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반응고 교반시 미세조직 변화 기구로는 취성파괴, 합체, 마모를 제안하였으며, 각 공정에서의 초정 Si결정의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45$\mu\textrm{m}$ 이하의 분말을 섞어 압출하였을 때 가장 작은 초정 Si입자 크기를 얻음 을 볼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Addition Elements on the Refinement of Primary Si Particles in Hypereutectic Al-Si alloys (과공정 Al-Si 합금의 초정 Si입자의 미세화에 미치는 첨가원소의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Gyeong-Min;Go, Seung-Un;Yun, Ui-Park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5 no.4
    • /
    • pp.412-419
    • /
    • 1995
  • 과공정 Al-18wt%Si합금의 초정 Si입자의 미세화에 미치는 첨가원소의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초정 Si입자의 크기는 P량이 증가함에 따라 미세해졌으며 적정 P량은 40ppm이었다. 최적주입온도는 AlCuP, CuP 경우 각각 75$0^{\circ}C$, 80$0^{\circ}C$이었으며 미세화 처리 후 10분 이상 경과되어도 초정 Si입자의 크기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WDS분석 결과 초정 Si내에 AIP가 핵생성 site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Immersion Liquid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Scomber japonicus (침지액 및 초정수압의 병행처리에 의한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물리화학적 품질 특성 변화)

  • Park, Ji-Hye;Bae, Nan-Young;Park, Sun-Hee;Kim, Min-Ji;Kim, Koth-Bong-Woo-Ri;Choi, Jung-Su;Ahn, Dong-Hyun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44 no.2
    • /
    • pp.150-155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s of immersion liquid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HHP, 100−400 MPa) on the quality of mackerel. In this study, we measured viable cell counts, pH level, color value, texture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mackerel. Viable cell counts of mackerel treated with combined HHP were decreased by 2 log cycles at 300 MPa and 400 MPa compared to the control. The pH values of mackerel treated with HHP at 300 MPa and 400 MPa were higher than that of other samples.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decreased when treated with combined HHP and increased with increase in HHP. Lightness and whiteness of mackerel increased, but redness decreased, with increase in HHP. In case of sensory evaluation, texture of mackerel treated with HHP at 300 MPa and 400 MPa showed higher scores than that of other sam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mersion liquid and HHP treatments can increase microbiological safety and improve textural properties of mackerel.

Effect of Electromagnetic Stirring on Microstructure Evolution in Solidification of a Near-Eutectic Al-Si Alloy

  • Guo, Qing-Tao;Sim, Jae-Gi;Jang, Young-Soo;Choi, Byoung-Hee;Lee, Moon-Hyoung;Hong, Chun-Pyo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28 no.5
    • /
    • pp.226-23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공정조성 부근의 Al-Si 합금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전자기교반(EMS)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초정 a 상의 형상에 미치는 전자기교반의 세기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 교반장치에 60, 80,및 120V의 전압을 가하여 미세조직을 관찰하였다. 60V 이하의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전자기교반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80V 이상의 전압으로 5초 이상 인가되었을 때 구상화된 초정 a 상을 얻을 수 있었다. 인가된 전압이 120V일 때 초정 a 상은 보다 균일한 분포를 가지며 구상화 되었다. 전자기교반의 세기와 함께 교반시간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교반시간을 증가시키면서 미세조직을 관찰하였다. 또한 초정 a 상의 형상에 미치는 주조변수의 영향에 대해서도 실험하였다.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in Chojung Area (초정지역의 지하수 유동해석)

  • 안상도;김경호;정영훈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3
    • /
    • pp.133-140
    • /
    • 2000
  • The area of Chojung is famous for its mineral water quality. Because of this reason, massive groundwater development was induced in the area. As a result of excessive pumping. the depletion of the groundwater resources is expected serious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groundwater flow in Chojung using a numerical model. Simulation results show the groundwater level change slowly in the mountain area but steep groundwater drawdown occurred in the pumping area in the downstream. This steep groundwater drawdown is due to excessive pumping in the hilly region. Because of this excessive, desiccation of water resources were predicted and proper countermeasure is in great demand.

  • PDF

The Morphology of Faceted Primary Cu Dendrites in Pv-Cu Alloys (납이 주성분인 Pb-Cu 합금에서의 각형의 초정 구리 수지상 결정의 형태)

  • Kim, Sin-U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6 no.4
    • /
    • pp.412-420
    • /
    • 1996
  • 상업용 자동차 축전지 극판재료로 각형의 초정 Pb 재료에 적은 부피 분율의 Cu상을 가지는 Pb-Cu 합금을 응고시킬 때 각형의 초정 Cu 수지상이 석출되었다. 중요한 응고변수인 냉각속도와 Cu조성의양에 따른 각형의 Cu상의 형태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Pb-1wt%Cu, pb-3wt%Cu, Pb-5wt%Cu, Pb-9wt%Cu, Pb-12wt%Cu, 등의 5가지 합금이 선택되어 노냉, 공냉, 금형냉, 수냉의 4가지 냉각방법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일반적으로 냉각속도와 Cu성분이 증가함에 따라 Cu상의 각형정도가 감소하였으며 결국 가장 빠른 냉각인 수냉각시에는 수지상 형태가 정출되지 않고 구형의 형태가 정출 되었다.

  • PDF

Geochemical Studies of the $CO_2$-rich water in the Chojeong area I. Water Chemistry (초정지역 탄산수의 지화학적 연구 I. 수리화학)

  • 고용권;김천수;배대석;김건영;정형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6 no.4
    • /
    • pp.159-170
    • /
    • 1999
  • The hydrogeochemical study on the $CO_2$-rich water in the Chojeong area was carried out. The $CO_2$-rich water of Ca-$HCO_3$type is characterized by low pH (5.0~5.8). high $CO_2$concentration ($Pco_2$$10^{0.31}$atm) and high TDS. The water chemistry indicates that the $CO_2$-rich water was probably evolved by the local suppy of deep seated $CO_2$gas resulting in the enhanced water/rock (granite) interaction under low pH conditions. High $NO_3$concentration indicates that the $CO_2$water was mixed and diluted with low $CO_2$groundwater in the vicinity of the area, in which the extensive groundwater abstraction occurred during the past years. The evoiution of the $CO_2$-rich water in the Chojeong area for the process of $CO_2$injection water/rock interaction and mixing processes was thermodynamically simulated by PHREEQC. Although the simulation was limited to water/plagioclase interaction, the results show the feasible explanation about the observed trend of pH and Ca and Na concentrations of the $CO_2$-rich water.

  • PDF

Effects of Immersion Liquids Containing Citrus junos and Prunus mume Concentrate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Shelf-life and Quality of Scomber japonicu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유자(Citrus junos), 매실(Prunus mume) 농축액을 첨가한 침지액과 초정수압의 병행처리가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냉장 저장 중 저장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Kang, Bo-Kyeong;Kim, Koth-Bong-Woo-Ri;Kim, Min-Ji;Bark, Si-Woo;Pak, Won-Min;Kim, Bo-Ram;Ahn, Na-Kyung;Choi, Yeon-Uk;Byun, Myung-Woo;Ahn, Do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3 no.10
    • /
    • pp.1555-1564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immersion liquids (adjusted pH 4.5 with Citrus junos concentrate (CL), pH 5.5 with Prunus mume concentrate (PL), or no pH adjustment, pH 6.5, control)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HHP, 450 MPa) on shelf-life and quality of mackerel. In this study, we measured changes in viable cell counts, pH level, volatile basic nitroge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color analysis,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sensory evaluation of mackerel at $4^{\circ}C$ for 20 days. CL/HHP and PL/HHP treatments reduced viable cell counts by 3 log cycles during storage compared to the control. Mackerel treated with CL/HHP and PL/HHP showed significantly lower TBARS and VBN levels as compared to the control. After combined treatment, lightness and whiteness increased but redness decreased. VOCs tests showed that contents of alcohol, acid, and ketones in mackerel fillet treated with CL/HHP and PL/HHP were relatively reduced. Especially, CL/HHP and PL/HHP suppressed production of sulfur. In the sensory evaluation, aroma, taste, salinity, hardness, and springiness of mackerel treated with combined HHP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mersion liquids and HHP treatments may increase shelf-life of mackerel and maintain quality during storage at $4^{\cir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