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Physical Pedestrian Environment on Walking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Case of Jinhae City -

물리적 보행환경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진해시를 사례지역으로 -

  • Byeon, Ji-Hye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Kyung-Hun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Sang-Rok (Naval Shipyard)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Physical activity of the people has decreased due to a sedentary lifestyle according to developing the economy throughout the world. It is thought to increase the risk of chronic diseases, including obesity, diabetes, etc. People are interested in walking, which is an easy activity to engage in as an antidote to chronic diseas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diminishing physical activity of modem society by inducing walking as part of everyday life through building a walking-based activity-friendly city where people can live merrily, safely and pleasant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atisfaction survey to dwellers of Jinhae on the physical pedestrian environments which affect determining walking participation and intentions of people, and also provided a valid model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on walking satisfaction using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18 variables of the physical pedestrian environments were selected based on pre-literature reviews.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crossing aids in segments was highest, while the building feature was the lowest. Factor analysis was run through a two-step process. The first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dequacy of this factor analysis on the selected 18 variables. As a result, two variables were removed and the remaining 16 variables were extracted to the four factors by second analysis. Each factor was named function of path, effect of traffic, amenity and safety based on the each factor's commonality. Each factor score of the extracted four factors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hile the overall walking satisfaction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showed that all four facto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overall satisfaction of walking, especially the 'function of path' and 'amenity' factors, followed by 'effect of traffic' and 'safe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for creating a walking-based activity-friendly city.

최근 전 세계적으로 앉아서 일하거나 여가시간을 보내는 생활습관(sedentary lifestyle)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사람들의 체활동시간이 상당량 감소하였다. 이로 인해 비만 및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의 발병률이 증가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써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 걷기활동이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이 즐겁고 안전하게, 그리고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는 걷기 중심의 활동친화적 도시를 조성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사람들의 걷기활동을 유도함으로써 감소되고 있는 현대인들의 신체활동량을 증진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진해시민들을 대상으로 걷기활동의 참여 및 정도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끼치는 물리적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러한 물리적 환경요인들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 18개의 물리적 보행환경 지표를 선정하였고, 지표별 만족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횡단시설지표가 가장 높았고, 건물외관지표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분석은 1차, 2차로 진행되었으며, 1차에서는 18개 물리적 보행환경 지표에 대한 요인분석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2개의 지표가 제거되었고 나머지 16개의 지표가 2차 분석에 의해 4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각 요인의 공통성에 근거하여 4개의 요인을 각각 보도의 기능성, 차량의 영향, 쾌적성, 안전성으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각 요인의 요인점수를 독립변수로, 보행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독립변수 모두 보행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인별 기여도는 '보도의 기능', '쾌적성', '차량의 영향', '안전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보도의 기능'과 '쾌적성'의 영향이 다른 두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걷기 중심의 활동친화적 도시를 창출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수. 김수봉, 강선용, 권기찬, 임원현, 조용기 (1997) 도시 Amenity 증진을 위한 가로공간 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6(1) : 121-130.
  2. 김정열(1998)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가로시설물의 디자인에 관한 연 구 서울시 가로시설물 디자인의 컨셉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노형진(2005) SPSS 12.0에 의한 조사 방법 및 통계 분석. 서울: 형설출판사.
  4. 박경훈, 박종완, 정성관, 유주한(2007) 걷기활동 증진을 위한 보행환경 평가지표의 개발. 한국환경과학회지 16(11): 1231-1238.
  5. 박소현, 최이명, 서한림, 김준형 (2009) 주거지 보행환경 인지가 생활권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8): 253-261.
  6. 보건복지가족부(2007) 200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중간결과. 질병관리 본부보고서.
  7. 신해미, 김태호, 정광섭, 원제무(2009) 구조방정식융 이용한 신도시 보행자 서비스 질 평가지표 개발. 서울도시연구 10(1): 183-196.
  8. 심종혁 (2002) 가로환경의 만족도 분석을 통한 경관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김해시 가락로의 가로변건축물을 중심으로, 동아댁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경환, 안건혁 (2008) 지역 주민의 보행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환경 특성에 관한 실증 분석. 서울시 12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6) : 293-302.
  10. 이상규(2001) 도심 상업지역 가로 이용자 만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상준(2001) 광주광역시 보행환경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환경연구 6(1): 11-21.
  12. 이영환, 한삼건(1999) 경주 구시가지 상업지역 가로경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2) : 745-750.
  13. 임윤환, 최막중(2006) 지히공간의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요소에 관한 실종분석: 서울 코엑스몰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획학회지 7(2): 47-56
  14. 정충현 (2009) 대한민국 건강도시 '오늘과 내일'. 건강도시 성북 국제 컨퍼런스. pp. 74-117.
  15. 탁형렬 (2002) 일산신도시 보행자 전용도로의 이용행태 및 만족도 평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한국통계청 (2005) 2004년 사망원인통계결과. 인구동향과 보고서.
  17. Aboott, R. D .. B. L. Rodriguez, C. M. Burchfiel, and J. D. Curb(1994) Physical activity in older middle-aged men and reduced risk of stroke: The Honolulu Heart Program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39: 881-893.
  18. Ball, K, A Bauman, E. Leslie, and N. Owen(2001) Perceived environmental aesthetic and convenience and company are associated with walking for exercise among Australian adults. Preventive Medicine 33(5): 434-440. https://doi.org/10.1006/pmed.2001.0912
  19. Bourdeaudhulj, I. De, J. F. Sallis, E. Brian. and B. E. Saelens(2003)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a sample of Belgian Adults. The Science of Health Promotion 18 (1): 83-92. https://doi.org/10.4278/0890-1171-18.1.83
  20. Camacho, T. C, R. E. Roberts, N. B. Lazarus, G, A Kaplan, and R. D. Cohen (1991)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Evidence from Alabama County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34: 220- 231.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6074
  21. Clifton K. J., and A. D. Livi(2004) Pedestrian Environment Data Scan(PEDS) Audit Protocol. University of Maryland.
  22. Giles-CortL B., and R. J. Donovan(2003) Relative influences of individual, social environmental, and physical environmental correlates of walking.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9): 1538-1589.
  23. Hunt, J. D., K A Donato, and C. J. C. Bethesda(1995) Physical activity and cardiovascular health. Pittsburgh, P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USDHHS),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4. Kristopher, J. A.(2005) A GIS Approach to evaluating streetscape and neighoorhood walkability. Master Thesis. University of Oregon
  25. Lee. C.(2004) Activity-friendly communities: Correlates of transportation or recreation walking. and o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for different sub-population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26. Lee. C. and A. Moudon(2006) The 3Ds+R: Quantifying land use and urban form correlates of walk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1 (3): 204-215. https://doi.org/10.1016/j.trd.2006.02.003
  27. Litman. T. A.(2003) Economic values of walkability. Transportation Research Reoord 1828: 3-11. https://doi.org/10.3141/1828-01
  28. Pikora. T.. F. Bull. K. Jamrozik, M. Knuiman. B. Giles-Corti. and R. Donova(2002) Developing a reliable audit instrument to measure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3(3): 187-194. https://doi.org/10.1016/S0749-3797(02)00498-1
  29. Pikora. T.. B. Giles-Corti. F. Bull. K. Jamrozik. and R. J. Donovan (2003) Developing a framework for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walking and cycling. Social Science & Medicine 56(8): 1693-1703. https://doi.org/10.1016/S0277-9536(02)00163-6
  30. Pollock. M. L.. J. H. Wilmore. and S. M. Fox Ill (1978) Health and Fitness Trough Physical Activity. New York. NY: Wiley and Sons.
  31. Saelens. B., J. Sallis. J. Black. and D. Chen(2003) Neighborhood-based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An environment scale e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 1552-1558. https://doi.org/10.2105/AJPH.93.9.1552
  32. Sallis. J. F .. M. F. Hovell. C. R. Hofstetter. M. Hackley. J. P. Elder. C. J. Caspersen, and K. E. Powel(1990) Distance between homes and exercise facilities related to frequency of exercise among San Diego residents. Public Health Report 105: 179-185.
  33. Van Dyck. D., B. Deforche. G. Cardon. and I. De Bourdeaudhuij(2009) Neighborhood walkability and its particular importance for adults with a preference for passive transport. Health and Place 15: 496-504. https://doi.org/10.1016/j.healthplace.2008.08.010
  34. WHO(1998) City Health Profiles: A Review of Progress.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35. http://healthycity.jinju.go.kr/04/03_01.php
  36. http://walking.jinha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