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valuation of Parks as Public Services

공공서비스로서 도시공원녹지평가

  • Shim, Joon-Young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o-Il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Shi-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Paichai University)
  • 심준영 (전북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 김유일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 이시영 (배재대학교 조경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within the public service framework by identifying priority elements. This study surveyed 455 residents from 80 dongs(neighborhoods), of 5 Gu(districts) districts in Daeje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garding the evaluation of urban parks as a public service, the average survey score, of all 46 questions, was distributed from 2.46 to 3.54(Likert 5 point scale). Interesting findings can be observed in that most of the survey participants gave high scores to Daejon's natural green environments and geographical traits. That is, Daejon residents perceived their urban nature spaces as a natural geographical environment rather than a public service provided by their local government.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for the local government, by and large, to improve urban parks and urban green space programs. The low scoring items were 'citizen's participation'(mean 2.46), 'acceptance of complaints, comments, and improvement proposals'(mean 2.54), 'citizen's respect', 'inclusive design' (for the physically challenged-mean 2.55), 'diverse programs and activities in the urban park'(mean 2.55) and 'implementation of revision proposals by citizens'(mean 2.6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itizen participation in planning and opinion sharing is needed to build public services that are satisfactory to users. To evaluate the park and green space from the viewpoint of public services is a useful method with a new point of view.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the factor of 'supply decision maker' is a statistically meaningful variable of resident satisfaction while earlier studies on the satisfaction studies of physical environment, hardly discovered variables on 'supply decision maker', 'acceptance of resident opinions', and 'information usage'. Responding to or taking positive action according to significant factors, such 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expand the role of public officials to exert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들에 의해 공공서비스의 관점에서 설정된 주요 항목으로 도시공원녹지를 평가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5개구 80개동으로부터 인구비례로 설문조사하였다. 평가 결과, 46개 평가항목은 평균 2.46~3.54사이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공공서비스로서 주민에게 제공된 부분보다는 대전광역시의 지리적, 자연적 환경에 관한 변수가 높은 평가를 받아 도시공원녹지에 대해 전체적인 향상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낮은 평가를 받은 항목은 '주민참여(평균 2.46)', '불편불만건의(평균 2.54)', '주민배려-장애인(평균 2.55)', '공원 녹지 내 다양한 이용프로그램(평균 2.55)', '건의사항의 반영(평균 2.61)'으로 나타나 주민과 함께 계획하고 주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 주민의 주관적 특성에 따라 평가의 차이가 있었으며, 주관적 특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공원녹지를 공공서비스적 관점에서 평가함은 새로운 시각이면서 필요한 관점이다. 이것은 그동안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 연구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공급결정자, 주민의견반영, 정보이용 등에 대해 접근할 수 있었고, 공급결정자가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더욱 공공서비스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주요 인자들에 대한 적극적 반영을 통하여 도시공원과 녹지에 대한 시민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공무원들의 역할은 증대되어질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수(2001) 공원여가정보체계 구축을 통한 도시공원 이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혜천대학 논문집 27. pp. 505-519.
  2. 김동건(1989) 현대재정학. 서울: 박영사.
  3. 김인, 김학노, 김성국(1989) 사회계층에 따른 주민의 공공서비스 수요 와 서비스 배분에 였어서 관료제적 의사결정 규칙 사회적 균형의 관점에서. 한국행정학보 23(2): 737-755
  4. 김종규, 고원용, 이원식, 김홍규 (2002) 시설기능에 따른 도시공원분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 797-806
  5. 노춘희(1992) 도시행정총론 서울 : 형설출판사
  6. 대전광역시 (2006) 대전공원화 2012계획, 공원 녹지과. 25-26.
  7. 박병호(1994) 서비스의 시민만족도 조사 한국개발연구소 국민경제교 육연구소 연구보고서.
  8. 박수영(1996) 도시행정론 서울 : 박영사.
  9. 박안서(1993) 공공서비스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양산 전문대학논집. 2: 205-218.
  10. 박천오, 박경효(1996) 한국 관료제의 이해. 서울. 법문사.
  11. 송건섭, 이곤수, 윤종갑(2005) 기초자치단체의 성과 관리시스템 구축과 적용, 공공서비스 성과평가와 측정. 서울 : 도서출판 대명.
  12. 이규목, 이준미(2004) 도시공원녹지관리의 자발적 공동체 내 사회적 자본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2). 271- 284
  13. 이현우 (2002) 택지개발지구내 공공서비스시설의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장우진 (2001) 공공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정연택(1999) 지방정부 공공서비스 성과평가를 위한 기준연구. 3사교 논문집 49. pp. 311 -349.
  16. 조은경(1998) 공공서비스에 대한 주민평가에 관한 연구: 주민만족의 결정요얀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최창호(1998) 지방자치의 이해. 서울 : 삼영사.
  18. 최희윤, 조영태, 양동양(2004) 도시공공시설의 지역간 입지불균형에 따른 공간분석. 한국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6). 207-214.
  19. Gold(1980) Recreation Planning and Design.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