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Planting Index of School Forest - The Case of Gyeonggido -

학교숲 조성지표에 관한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opose a planning index for improved school forests in Gyeonggido.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lected 42 out of 75 school forests established during 2005 in Gyeonggido. All 42 school forests were surveyed and analyzed by frequency, cross tabulation, and group average analysis with SPSS 12.0 versi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chool forests was analyzed with in conjunction with items such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entralization,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as nominal points. Other items: trees, shrubs, pavement, fruit trees, transplantation, evergreen trees, and recreation facility content percentage were analyzed as a proportion point.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chool forests, we constructed a conceptual framework and formulated a hypothesis for this research. Data were obtained through a questionnaire, given to 98 students majoring in landscape architecture at Hankyong University in 2007. Results showed that the primary variables for tree health were soil compaction and the depth of soil filling. They were the most serious factors that deteriorate the health of tre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 health and growing conditions, trees inside the school forest should be managed to provide more growing space and less abuse. The minimum area for trees inside the school forest for good growth conditions should be within the drip lines. We have found that the minimum percentage of tree content is 0.13, which means that more than 130 trees need to be planted over $1,000m^2$ green space. More than 3,580 shrubs need to be planted over $1,000m^2$ green space. The pavement area should be controlled to less than 19% of the total size of the school forest area. Finally, more than 39 trees out of 100 trees planted should be evergree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truction planning index of Gyeonggido school forest be recommended in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carried out every year.

최근 서울시를 비롯해 지자체 중심으로 실시되어온 학교 옥외환경 개선사업은 학교구성원이 함께 참여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지 못하거나, 전시 행정적 측면이 강조되는 등의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그 결과, 최종 결과물에 치중하기 보다는 과정을 중시하고, 학교구성원 스스로 함께 가꾸어 가는 학교숲 조성사업의 활성화가 요청되고 있다. 더욱이 조성 부지의 규모나 입지, 지역별 여건, 학교별 예산 등의 차이점을 고려하지 않고 균등하게 예산을 지원함으로써 시설물 위주로 계획되어 조성이후 울창한 숲의 형태를 이루지 못하고 그늘이 적은 녹지공간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5년 학교숲이 조성된 경기도 한강이남 지역의 42개교를 대상으로 조성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학교숲 계획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계획지표를 추정해 보고자 한다. 학교숲의 현황파악을 위해 비율로 산정한 변수는 녹지면적, 식재밀도, 교목, 관목, 상록수 등을 설정하였고, 여기에 각종 시설물의 종류와 배치, 관리상태 등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각 변수의 값은 학교숲 계획 및 설계도면과 현장답사를 통해 평가하여 작성한 후 SPSS Statistics 12.0(SPSS Inc., 2003)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 경기도 학교숲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기도 학교숲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바람직한 학교숲 식재를 위한 지표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숲 조성지표중 교목비율 0.13는 예를 들면 $1,000m^2$의 면적일 경우 교목 130주 이상이 식재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마찬가지로 관목비율 3.58는 3,580주의 최소기준을 갖는다고 볼 수 있는데, 이를 간략히하면 관목은 약 3,600주 정도가 적정한 것으로 산정되었다. 또한 포장비율의 경우에는 포장면적 대비 전체계획부지 면적의 비율을 말하므로 0.19이란 계획부지 면적에서 포장면적을 최대 19%까지만 확보하고 최소 녹지면적율이 81%가 되어야 함을 의미하므로 대략 학교숲의 포장율은 20% 미만으로 계획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상록수 비율의 경우에는 약 100주의 교목을 식재할 경우 39주, 즉 40주 정도가 적정한 것으로 나왔다. 학교숲 조성지표를 보다 폭넓게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경기도 전체 학교숲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필요하고, 학생만이 아니라 담당공무원, 학교당국자, 관련 산업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확대되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학교숲 조성지표가 완성되면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참여 활동 프로그램도 도입되어 더욱 지역주민들에게 사랑받는 학교숲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2005) 학교숲 조성 워크숍.
  2. 김동옥(2008) 학교숲 체험활동을 통한 유아의 감성 변화.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민규 (2004) 초등학교 교과서에 언급된 수목과 식재된 수목의 비교연 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승태 (2005) 충주시 8개 초등학교 조경식재현황 및 식재지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서원철 (2003) 경상남도 함양군 초. 중. 고교 교정의 조경수목 현황조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오이천 (2005) 초등학교 옥외환경개선 방안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