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learning School Mathematics

학교수학 교수.학습에서 기술공학의 활용 연구

  • Published : 2010.02.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about the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learning school mathematics. In this paper, w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eaching-learning school mathematics by the use of technology. For the purpose of successful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learning school mathematics, we research the present states of it appeared in textbooks of high school mathematics And we give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learning school mathematics. Furthermore, we introduce models for teaching-learning school mathematics in areas of mathematics by the use of computer programs such as GSP, Maple, and GrafEq.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수학 교수 학습에서 성공적인 기술공학의 활용을 위하여 기술공학 활용의 현황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공학 활용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활용 가능한 기술공학적 도구들을 소개하고, 고등학교 수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기술공학 활용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학교수학 교수 학습에서 기술공학의 활용 방안을 수학의 영역별로 살펴보고, 기술공학을 활용한 모델들을 소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2). 제 6차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부 (1997).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김차숙 (2003).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일차방정식에 대한 오류 분석과 교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나귀수 (1998). 증명의 본질과 지도 실제의 분석: 중학교 기하 단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류희찬 (1997). 수학교육에서의 컴퓨터 활용: 현황과 과제, 청람수학교육, 6, 충북: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연구소.
  6. 류희찬 (2005). CAS를 활용한 대수교육의 의미와 방법. 청람수학교육, 18, 충북: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연구소.
  7.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8. 우정호 (1998).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9. 이미경. 곽영순. 민경석. 채선희. 최성연. 최미숙. 나귀수 (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 - 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 (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 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이상구. 양정모. Wellman, R. (2001). 7차 교육과정의 수학에서의 공학적 도구의 이용에 관하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1(1), pp.355-365.
  12. 이정례. 김혜영. 강랑휘. 김진우. 박종일. 박현빈 (2006). 함수를 이용한 수학의 유용성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논총 9, pp.1-16.
  13. 이정레. 김혜영. 박혜송. 이희중. 최정환. 홍선우 (2007). 함수적 접근을 통한 곡선의 수학적 탐구, 대진논총 14, pp.39-58.
  14. 이종영 (1999). 컴퓨터 기반 수학 학습-지도 환경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조한혁. (2001). 인터넷 기반 마이크로월드 자바수학의 설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1(1), pp.339-353.
  16. Bruner, J. S.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NY: Vintage.
  17. Klein, M. (1973). why Johny can't add: the failure of the new math. st. Martin press.
  18. NCTM (1989).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19.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0. Pomerantz, H. (1997). The role of calculators in math education. The Urban Systematic Intiative/Comprehensive Partnership for Mathemtics and Science Achievenment Superintendents Forum. Unpublished manuscript.
  21. Tall, D. (1991). Interrelationships between mind and computer: Processes. In L. F. David (Ed.), Advanced educational technologies for mathematics and Science, Springer-Verlag.
  22. Yoshinhiko H. (1997). The Methods of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Zentralblatt fur Didaktik der Mathematik, 29(3), pp.86-87. https://doi.org/10.1007/s11858-997-0005-8
  23. Zimmermann, W., & Cunningham, S. (1990). Visualiz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M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