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ocal Government Analysis of Muticultural Family Policy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가족정책 비교분석

  • 강기정 (백석대학교 기독교복지학과) ;
  • 변미희 (백석대학교 기독교복지학과)
  • Received : 2010.04.15
  • Accepted : 2010.08.05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cal government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For this study, researchers first compared Canada, Australia and Japan and, second, analyzed the foreign policy plan data in Kore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Gyunggi province had many plans for foreign laborers and Gangwon, Kyungbuk and Jeonnam provinces had many plans for multicultural family wives. Second, many local governments had few economic independence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y wives, except Gangwon and Kyungbuk provinces. Third, many local governments had no school or study programs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except Gangwon, Kyungbuk and Chungnam provinces. Fourth, Canada and Australia had many sources of public information and many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people to gain understanding but local Korean governments had few of these programs. Finally, Canada and Australia had many international programs for immigrants to maintenance their culture but local Korean governments have none of these programs.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 변미희(2009). 다문화 가족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관련 변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123-136.
  2. 강기정, 정천석(2009). 다문화가정 부부의 가정생활 적응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153-167.
  3. 강휘원(2006). 한국 다문화사회의 형성 요인과 통합 정책. 국가정책연구 20(2), 5-34.
  4. 김비환(2007). 한국사회의 문화적 다양화와 사회통합: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변용과 시민권문제. 다문화사회 한국 사회과학의 과제.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지역 연구소 심포지엄 발표논문집, 61-88.
  5. 법무부(2008). 결혼이민자 현황. 법무부.
  6. 서재호(2008). 지방지차단체 실시와 지방자치단체 복지행정기구의 변화에 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2(2), 191-215.
  7. 설동훈(2006). 한국의 결혼이민자 가족 현황과 정책. 2006년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 학술대회, 1-20.
  8.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2006). 서울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 복지 네트워크 워크숍 자료집.
  9. 외국인정책위원회(2008). 제1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2008-2012. 2009년도 중앙부처 시행계획.
  10. 유정석(2003). 캐나다 ‒ 다문화주의 제도화의 산실. 민족연구(11), 12-26.
  11. 이선주, 민무숙, 신현옥, 이태정(2009). 다민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III).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2. 이혜경(2007). 결혼이주자 가족정책 및 서비스 분석 모형. 다문화가족연구. 평택대학교다문화가족센터.
  13. 이혜경(2009).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5, 147-166.
  14. 장명선(2009). 폭력피해이주여성 자활지원센터 타당성 검토 및 운영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15. 최명민, 이기영, 최현미, 김정진(2009).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서울 : 학지사.
  16. 충남여성정책개발원. 충남여성포럼(2007). 다문화사회의 도래와 지역사회의 과제. 제12회 여성주간 충남여성정책개발원 8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17. 통계청(2007-2008). 인구동태(혼인). www.nso.go.kr.
  18.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2007). 한국사회와 다문화가족. 서울 : 양서원.
  19. 한건수(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20. Goldberg, David(ed). 1994. Multiculturalism: A Critical Reader. New York : Blackwell.
  21. Wliiett, Cynthia(ed.). 1998. Theorizing Multiculturalism: A Guide to the Current Debate. New York : Black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