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구 보존방법론 중 토층전사에 관한 고찰

A Investigation on the Soil-Peel Methods in Conservation Method of Historical Site

  • 위광철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
  • 서정호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Wi, Koang-Chul (Department of Cultural Asset Conservation, Hanseo University) ;
  • Seo, Jeong-Ho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7.26
  • 심사 : 2010.08.30
  • 발행 : 2010.09.20

초록

발굴 작업이 종료된 후 중요한 의미를 지닌 유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보존된다. 보존 유형에 따라 원형 보존과 이전 복원 방법으로 대별되며 이중에서 이전 복원 방법은 주거지, 야철지, 가마터, 고분 등의 유구 전체를 원 상태로 이전한 후, 복원하는 유구이전방법, 유구 전체를 이전하기 어려운 경우 유구의 형태만을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전사하여 복원하는 유구전사 방법으로 대별되며, 고분의 단면, 건물지의 판축, 퇴적층, 패총 등의 토층 단면을 전사하여 보존하는 토층전사 방법이 있다. 토층 전사는 그 당시의 환경에 따른 변화 즉 홍수로 인한 범람 흔적, 화재로 인한 흔적, 조개를 먹고 버린 껍데기와 생활 쓰레기가 쌓여 당시의 생활상을 확인할 수 있는 패총 등으로, 중요한 역사적 자료가 된다. 특히 점토와 마사토 등의 성분이 다른 흙을 교대로 다져가며 판축을 한 토층의 경우, 그 시대의 판축 기술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러한 역사적 자료를 토층전사 방법을 통해 보존함으로써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공유할 수 있는 역사적 자료와 교육, 전시, 홍보용으로 활용하는데 중요한 자료 보존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구 보존 방법 중 현재 발굴 과정에서 노출되는 토양의 층위에 대한 해석으로 많이 이용되는 토층전사의 방법에 대한 정의 및 사용되는 재료의 물성적인 특징을 통해 토층 전사에 대한 정확한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After excavation work of relics, historical site which has historically meaningful, are preserved using the various methods. There are three method in the relocation methods that are original relocation method, the remaining structure-peel method, and soil peel method. The original relocation method is restored after relocating in historical site such as residential site, iron foundry site, kiln site, old mound. The remaining structure-peel method are restored only the feature of exposed remaining structure using polymeric resin, when it is difficult to relocate the entire remaining structure. And soil-peel method is exhibited after peeling in case when soil layers such as grave of old mound, foundation of building site, sedimentary deposit layer, shell heap, and etc. Soil-peel method becomes important historical data of changes according to environment at that time, that is, flooding by storm, traces of fire and living features of that time such as heaps of shells discarded after eating shellfish and living wastes. In particular, in case of soil layer for preparing foundation sites of building by compacting in turn soils with different components such as clay soil, rough sand soil and etc, it becomes important data which can judge foundation technology of that time. It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data preservation method for utilizing these historical data as historical data as well as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exhibitions and public relations which can be shared not only by experts but also by general public.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liable definition of soil-peel method in various preservation methods and explain the using polymer in this method. So, we will come up with the accurate index about this method that is used the eminent analysis method for soil layer.

키워드

참고문헌

  1. 정문교, "문화재행정과 정책". 지식산업사, p221-222, (2000).
  2. (사)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발굴 보존 유적 실태조사 자료집 I, II, III". p1, (2008).
  3. 문화재청, "주요업무 통계자료집". p48, (2010).
  4. 김병호, "합성수지를 이용한 유구의 보존처리". 문화재, 23, p167-174, (1990).
  5. 풍림산업 M-40설명서 참조
  6. 한원식, 홍태기, 임성진, 위광철, "유구 이전복원을 위한 표면 박리형 Epoxy polymer의 개발". 보존과학회지, 22, p77-86, (2008).
  7. I.N.Technical Lab社, Material Safety Data Sheet 참조
  8. I.N.Technical Lab社, Material Safety Data Sheet 참조
  9.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문화재연구소 30년사". p215,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