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est on Possibility of Artistic Activity for Strengthening Creativity of Gifted Children: Centering on Music Activity

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예술 활동의 가능성 탐색: 음악 활동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0.11.05
  • Accepted : 2010.12.14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plore possibility of artistic activity for strengthening creativity of the gifted children at home by analyzing influence of the gifted children's musical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upon creativity. As a result of research, the gifted children's musical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were distributed in the mid-lower rank as a whole. The mean in score of creativity was high. Among sub-spheres, originality, abstractness of titles,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were surveyed to be especially excellent.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indicated to be high in influence of musical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upon creativity. Som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that we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explore influence of musical experience as artistic activity upon creativity, first of all, the qualitative inspection needs to be given priority to musical activity itself, which is being experienced by the gifted children as the research subjects. Second, there is necessity of paying attention to the musical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of the low gifted children. Third, for the gifted children prior to activation of art education, a clear reason why the art education is needed and the usefulness need to be presented.

본 연구는 영재들의 음악경험과 흥미도가 창의성에 끼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예술 활동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영재들의 음악경험 및 흥미도는 전체적으로 중하위 수준에 분포되어 있었다. 창의성 점수 평균은 높았으며, 하위 영역 중 독창성, 추상성, 종결 등이 특히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음악경험과 흥미도가 창의성의 다양한 하위 요인에 끼치는 긍정적 효과도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얻은 몇 가지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 활동으로서의 음악경험이 영재의 창의성에 끼치는 영향력 탐색을 위해서는 먼저 연구대상 영재들이 경험하고 있는 음악활동 자체에 대한 질적 점검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저조한 영재들의 음악경험 및 흥미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술교육 활성화 이전에 영재들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 왜 예술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한 명확한 이유와 효용성에 관한 제시가 선행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 (2010). 한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꿈꾸다. 2010년 7월 9일 보도자료.
  2.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창의인성교육 현장적용도 제고방안 모색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3. 김명희 (2009). 조기 음악교육 경험이 대학생의 정서지능 및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4. 김영임 (2006). 음악교육을 통한 감성학습이 청소년의 인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5. 두미자 (2007). 통합음악수업이 청각장애학생의 흥미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6. 백민재 (2004). 중학생의 음악흥미와 음악성취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7. 석문주, 최은식, 최미영 (2010). 외국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미국, 영국, 핀란드, 일본을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8(2), 1-19.
  8. 안재신 (1994). 상상력 개발을 위한 유아기 음악교육과정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9. 이보숙 (2005). 음악 사교육 경험과 초등학생의 음악 성취도 및 음악 흥미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0. 이순선 (2006). 아동기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피아노 교육의 효율적 지도방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1. 조하나 (2009).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창의성 계발과 협동심 신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2. 태진미 (2010a).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통합교육의 필요성과 적용방안.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6, 241-273.
  13. 태진미 (2010b). 문화예술교육 정책 실현을 위한 학교음악교육의 개선 과제. 예술교육연구, 8(2), 65-79.
  14. 한승희, 유준희 (2007). 음악과 과학을 통합한 중학교 과학영재활동 사례분석. 과학교육연구논총, 29(1), 85-100.
  15. 허혜진 (2010).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또래 관계 기술증진을 위한 창작 음악극 프로그램 효과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6. Bamford, A. (2009).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백령 옮김] 서울: 한길아트. (원본출간년도: 2006).
  17. Bamford, A. (2010). 창의 교육의 중요성. The 2nd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국내행사 창의, 인성교육 학술대회 Program I. 창의인성함양을 위한 청소년 교육 포럼 자료집 (pp. 13-54).
  18. Greata, J. (2006). An introduction to music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Y: Thomson Delmar Learning.
  19. Mayesky, M. (2006).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lifton Park, NY: Delmar Learning.
  20. Pink, D. H. (2005). A whole new mind: moving from the information age to the conceptual age. NY: Penguin.
  21. Root-Bernstein, R., & Root-Bernstein, M. (2004). Artistic scientists and scientific artists: The Link between polymathy and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 L. Grigorenko & J. L. Singer (Eds.), Creativity: Form potential to realization (127-15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2. Turner, J. B. (2004). Your musical child. NY: String Letter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