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otional Characteristics in MBTI Personality Type and MMPI-A Scale of Science Gifted

한국과학영재학생의 MBTI 성격유형과 MMPI-A 척도에서 나타난 정서적 특징

  • 곽미용 (한국과학영재학교) ;
  • 박후휘 (부산광역시영재교육 진흥원) ;
  • 김일 (부산광역시영재교육 진흥원) ;
  • 천성문 (경성대학교) ;
  • 상욱 (한국과학영재학교)
  • Received : 2010.11.05
  • Accepted : 2010.12.13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pecial needs of counselling of science gifted in Korea. The subjects were 143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that had been tested MBTI and MMPI-A. The distribution map of MBTI type was examined and Pearson's correlation,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se the relation between MBTI and MMPI-A through SPSS 17.0 program.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ENTP, INTP, ISTJ personality types and NT temperament type were the most frequently from the distribution map of MBTI type. Second, F1, F2, F, Hs, D, Pt, Sc and Si scales of MMPI-A were positively related to I preference of MBTI and K and Ma scales of MMPI-A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E preference of MBTI from Pearson's correlation. Third, The score of IN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high in F1, Hs, D, SC and Si scales of MMPI-A than other group in the relation between two combination preferences of MBTI and scale of MMPI-A. The following results were same; IS group in D, Si scales, EN group in Ma scale, IT group in Hs, D, Pt and S scales, IF group in VRIN, D and Si scales, ET in Ma scale, IJ group in D and Si, IP group in F1, F, Hs, D, Hy, Pt, Sc and Si scales, EJ and EP groups in Ma scale. Finally, I preference of MBTI by F1, F2, F, Hs, D, Pt, Sc and Si scales of MMPI-A, E preference of MBTI by Ma scale of MMPI-A, F preference of MBTI by K scale of MMPI-A and P preference of MBTI by Hy scale of MMPI-A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offered.

본 연구는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상담에서 많이 활용되는 MBTI와 MMPI-A 검사를 이용하여 이들의 정서적 특성을 파악하고, 특별한 상담적 요구를 필요로 하는 영재아들의 지도나 상담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43명의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에게 MBTI와 MMPI-A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MBTI의 성격유형은 외향형(E)과 내향형(I)은 유사한 빈도를 나타내었으며, 사고형(T), 직관형(N), 인식형(P)이 감정형(F), 감각형(S), 판단형(J)보다 많았으며, 기질 분포도에 있어서는 NT>SP= SJ>NF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MBTI의 내향형(I)은 MMPI-A의 비전형(후반부)(F1), 비전형(정신병리)(F2), 비전형(F), 건강염려증(Hs), 우울증(D), 강박증(Pt), 정신분열증(Sc), 내향성(Si)척도와 정적 상관, 외향형(E)은 교정(K), 경조증(Ma) 척도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MBTI의 2가지 지표를 조합한 성격유형과 MMPI-A의 척도 간 일원변량분석에서는 EI/SN, EI/TF, EI/JP의 조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IN 집단에서 비전형(후반부), 건강염려증, 우울증, 정신분열증, 내향성)에서, IT 집단에서는 건강염려증, 우울증, 강박증, 내향성에서, 그리고 IP 집단에서 비전형(후반부), 비전형, 건강염려증, 우울증, 히스테리(Hy), 강박증, 정신분열증, 내향성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특히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넷째, MMPI에 대한 MBTI 각 지표의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MBTI의 EI 지표는 MMPI의 비전형(후반부), 비전형(정신병리), 비전형, 건강염려증, 우울증, 강박증, 정신분열증, 내향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특히 우울증과 내향성에 대해서는 각각 24.9%와 51.2%의 설명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려대 영재교육연구회 (2004). 영재아 상담의 생태학적 접근 필요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 영재교육연구 발표회 자료집.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2차 영재교육진흥 종합계획. 서울: 저자.
  3. 권지숙 (2008). 영재의 완벽주의 특성과 또래관계 성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4. 김영빈, 김계현 (2001). 청소년 상담에서의 심리검사 활용실태: 시, 도 청소년종합상담실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3), 149-162.
  5. 김유미 (2008). 5요인 성격모형을 이용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특성 비교.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6. 김정택, 김영란 (2005). 성격유형의 다면성과 성격장애와의 상관연구. 한국심리유형학회지. 12, 1-20.
  7. 김정택, 심혜숙 (1990). 성격유형검사의 한국표준화에 관한 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3, 44-72.
  8. 김정택, 심혜숙 (1991). MBTI 안내서. 서울: 한국심리검사연구소.
  9. 김중술, 한경희, 임지영, 이정흠, 민병배, 문경주 (2005). 다면적인성검사-청소년용 매뉴얼. 서울: 마음사랑.
  10. 김혜영 (2008). 중학교 수학영재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1. 박경, 김명식, 강문희 (1997). 성격유형의 임상적인 특징에 관한 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9(1), 209-225.
  12. 박경, 김명식 (1995). 심리유형과 심리적 장애에 관한 일 연구 - MMPI, 16PF에 나타난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 201-217.
  13. 박성옥, 이진숙 (2003). 영재와 일반아동의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비교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225-245.
  14. 박정민 (2006). 아동의 완벽주의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5. 박제일, 임승환 (2002). 대학생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유형과 성격유형과의 관계 연구. 한국심리유형학회지, 9(1), 15-29.
  16. 박혜옥 (2009). 음악영재의 정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완벽주의, 스트레스, 진로결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7. 박혜진 (1997). 영재 청소년의 완벽주의, 심리적 적응, 자아존중감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8. 송경혜, 이지현 (2001). 중학교 과학영재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11, 23-27.
  19. 송원영 (2008). MMPI-A를 통한 보호시설 거주 청소년의 심리적 유형 및 적응상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2), 429-443.
  20. 양영숙 (2000). MBTI를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아수용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1. 어세스타 (2008). MBTI 데이터 뱅크. 서울: 저자.
  22. 유형근 (2009). 미성취 영재의 상담요구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초등교육연구, 22(1), 113-139.
  23. 윤여홍 (1996). 영재아동의 정서적 특성에 관한 임상연구: 정신건강을 위한 지도. 영재교육연구, 6, 53-71.
  24. 윤여홍 (2000a).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정서발달을 위한 상담. 한국심리학회 일반, 19(1), 79-101.
  25. 윤여홍 (2000b). 영재 학생 및 학부모 상담. 대전: 한국과학기술원 과학영재센터.
  26. 이부영 (2009). 분석심리학. 서울: 일조각.
  27. 이외숙 (2005). 초등 영재아가 지각하는 부모의 성취압력 및 교사로부터 받는 스트레스정도와 대처행동.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28. 이정림 (2005). 초등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9. 이혜영 (2003). MBTI를 이용한 영재학생의 성격분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30. 임승환, 김택호, 박제일 (2008). 대학생 내담자의 MBTI 성격유형과 MMPI 척도에서 나타난 임상적 특징. 청소년상담연구, 16(2), 91-104.
  31. 임지영, 한경희, 민병배, 이정흠, 문경주, 김중술 (2006). 한국판 MMPI-A의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2), 565-586.
  32. 정순이 (2010). 영재상담 모형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3. 정순진 (2007).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성격유형과 학습양식 비교.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34. 진석언, 이수진 (2006). K-CBCL을 통한 성취 영재와 미성취 영재의 문제행동 비교. 특수교육연구, 13(2), 231-246.
  35. 차영주 (2010).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교우관계와 다면적 인성비교. 석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36. 하종덕, 송경애 (2004). 과학 영재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4(1), 47-64.
  37. Charles, M. (1999). 성격유형과 진로탐색[심혜숙 외]. 서울: 한국심리검사연구소.
  38. Clark, B. (1992). Growing up gifted (4th Ed.). Columbus, OH: Merrill.
  39. Colangelo, N. (2002). Counseli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 Storrs, CT: University of Conneticut, The National Research on the Gifted and Talented.
  40. Donna, D. (2008). 성격유형과 커뮤니케이션[한국MBTI연구소]. 서울: 어세스타.
  41. Ekstrom, S. R. (1988). Jung's typology and DSM-III personality disorders: A comparison of classfication. Journal of Analytical Psychology, 33, 329-344. https://doi.org/10.1111/j.1465-5922.1988.00329.x
  42. Gordon, L. (2000). 성격유형과 학습스타일[이정희 외]. 서울: 한국심리검사연구소.
  43. Hewitt, P. L., & Flett, G. L. (1993). Dimensions of perfectionism, daily stress, and depression: A test of the specific vulnerability hypothesi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2, 58-65.
  44. Janowsky, D. S., Hong, L., Morter, S., & Howe, L. (1999a). Underlying Personality Differences Between Alcohol/Substnce-Use Disorder patients with and without an affective disorder. Alcohol and Alcoholism, 34, 370-377. https://doi.org/10.1093/alcalc/34.3.370
  45. Janowsky, D. S., Morter, S., & Hong, L. (2000). Relationship of Myers Briggs type indicato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o suicidality in affective disorder patient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36(1). 33-39.
  46. Katharine, D. M., & Linda, K. K. (1999). 심리 유형의 역동과 발달[김정택, 김명준 역]. 서울: 한국심리검사연구소.
  47. Piechowski, M. M. (1991).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giftedness.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285-306). Boston: Allyn & Bacon.
  48. Reis, S. M., & McCoach, D. B. (2000). The underachievement of gifted student: What do we know nd where do we go? Gifted Child Quarterly, 44, 152-170. https://doi.org/10.1177/001698620004400302
  49. Rimm, S. B. (1995). Why bright kids get poor grades: And what you can do about it. New York: Crown Publishers, Inc.
  50. Webb, J. T. (1993). Nurtur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In K. A. Hellen, F. J.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pp. 525-538). Oxford: Pergamon Press.
  51. Webb, J. T., Mechkstroth, E. A., & Tolan, S. S. (1982). Guiding the gifted child: A practical source for parents and teachers. OH: Psychology Pub. Com.
  52. Whitmore, J. R. (1980). Giftedness conflict and underachievement. Boston: Allan &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