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Quest on Possibility of Artistic Activity for Strengthening Creativity of Gifted Children: Centering on Music Activity  

Tae, Jin-Mi (Korea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v.20, no.3, 2010 , pp. 789-80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plore possibility of artistic activity for strengthening creativity of the gifted children at home by analyzing influence of the gifted children's musical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upon creativity. As a result of research, the gifted children's musical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were distributed in the mid-lower rank as a whole. The mean in score of creativity was high. Among sub-spheres, originality, abstractness of titles,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were surveyed to be especially excellent.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indicated to be high in influence of musical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upon creativity. Som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that we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explore influence of musical experience as artistic activity upon creativity, first of all, the qualitative inspection needs to be given priority to musical activity itself, which is being experienced by the gifted children as the research subjects. Second, there is necessity of paying attention to the musical experience and interest level of the low gifted children. Third, for the gifted children prior to activation of art education, a clear reason why the art education is needed and the usefulness need to be presented.
Keywords
Gifted children; Integrated art; Creativity; Music education; Creative charact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석문주, 최은식, 최미영 (2010). 외국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미국, 영국, 핀란드, 일본을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8(2), 1-19.
2 김영임 (2006). 음악교육을 통한 감성학습이 청소년의 인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3 두미자 (2007). 통합음악수업이 청각장애학생의 흥미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4 백민재 (2004). 중학생의 음악흥미와 음악성취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5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 (2010). 한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꿈꾸다. 2010년 7월 9일 보도자료.
6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창의인성교육 현장적용도 제고방안 모색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7 Bamford, A. (2009).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백령 옮김] 서울: 한길아트. (원본출간년도: 2006).
8 김명희 (2009). 조기 음악교육 경험이 대학생의 정서지능 및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9 Root-Bernstein, R., & Root-Bernstein, M. (2004). Artistic scientists and scientific artists: The Link between polymathy and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 L. Grigorenko & J. L. Singer (Eds.), Creativity: Form potential to realization (127-15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0 Turner, J. B. (2004). Your musical child. NY: String Letter Publishing.
11 Pink, D. H. (2005). A whole new mind: moving from the information age to the conceptual age. NY: Penguin.
12 Bamford, A. (2010). 창의 교육의 중요성. The 2nd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국내행사 창의, 인성교육 학술대회 Program I. 창의인성함양을 위한 청소년 교육 포럼 자료집 (pp. 13-54).
13 Greata, J. (2006). An introduction to music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Y: Thomson Delmar Learning.
14 Mayesky, M. (2006).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lifton Park, NY: Delmar Learning.
15 태진미 (2010b). 문화예술교육 정책 실현을 위한 학교음악교육의 개선 과제. 예술교육연구, 8(2), 65-79.
16 조하나 (2009).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창의성 계발과 협동심 신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7 한승희, 유준희 (2007). 음악과 과학을 통합한 중학교 과학영재활동 사례분석. 과학교육연구논총, 29(1), 85-100.
18 허혜진 (2010).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또래 관계 기술증진을 위한 창작 음악극 프로그램 효과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 태진미 (2010a).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통합교육의 필요성과 적용방안.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6, 241-273.
20 이순선 (2006). 아동기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피아노 교육의 효율적 지도방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1 이보숙 (2005). 음악 사교육 경험과 초등학생의 음악 성취도 및 음악 흥미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22 안재신 (1994). 상상력 개발을 위한 유아기 음악교육과정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