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andscape Design for Sunchon National University Cultural Park

순천대학교 문화공원 설계

  • Received : 2010.09.14
  • Accepted : 2010.10.20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College campus landscape plans once focused mainly on campus functionality and aesthetically pleasing buildings. Yet now, after the rise of greater emphasis on afforestation and eco-friendly planning, building spaces for the local culture and community has become the core of the plan. This study analyzed the design strategies and details of the landscape plan that was selected through the contest to select a design plan for the cultural park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The key considerations for the landscape Design for the cultural space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areas follows. First, the design plan sought ways to reach out to the local community, going one step beyond just opening up campus facilities. This means more than just the opening of physical facilities and environments. It was designed to serve as a base to organize diversified programs by generations and groups with an aim to share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college, the local community and the region. Second, shapes and colors were designed to establish a unified image between buildings and outdoor facilities. "Three Books" was selected as the key motif as books were believed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symbol of colleges while 6 straight lines, hexagons and circles inspired by the shape of three books were used in the design. In terms of colors, reddish-brown was used for buildings to enhance visibility along with harmony and esthetic appreciation. For facilities, black and blue were used as dominant colors and white and yellow as point colors to promote the image of Sunchon City. Third, with an aim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overall college campus as a closed space, it was designed to be a barrier-free space, remaining open to everyone and encouraging visits and experiences for 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대학 캠퍼스계획은 과거 대학의 기능과 건축물의 미관 만을 강조하였으나, 녹화, 에코를 중시하는 과정을 거쳐 이제는 지역주민의 문화와 커뮤니티 공간으로 전환되었다. 본 연구는 국립 순천대학교 문화공원 조성사업 현상설계 당선작으로 선정된 계획안의 설계전략과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국립 순천대학교 문화공간 조경 설계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시설의 개방 차원을 넘어서 지역과의 적극적인 연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물리적 환경의 연계만이 아니라 학교와 지역의 역사, 문화를 시민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계층별 프로그램을 공유하는 거점공간으로 조성하였다. 둘째, 건축물과 옥외시설물에 통합된 이미지를 부여하기 위하여 형태 및 색채계획을 수립하였다. 디자인 모티브는 대학을 대표하는 상징성이 충분한 '세권의 책'을 선정하여 3권의 책이 만들어내는 6개의 선과 이들이 만들어 내는 육각형, 원의 형태를 설계에 적용하였다 색채의 경우 조화성, 심미성과 함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도록 건축물에 대해서는 소재색인 적갈색을 적용하고 시설물의 경우 주조색은 검정색과 파랑색, 강조색은 흰색와 노랑색을 적용하여 순천 도시 이미지를 선도하고자 하였다. 셋째, 일반적으로 대학 캠퍼스가 가지는 폐쇄성을 극복하고 지역과 소통할 수 있도록 누구나가 자연스럽게 방문하고 체험이 가능한 베리어프리(barrier free) 설계를 지향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식, 민병호(2003) 캠퍼스에 대한 학생의 장소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1): 67-70.
  2. 고정석(1988) Macbeth 의 상징 연구: 숫자 3에 나타난 상징의 의미. 영어영문학 34(1): 121-140.
  3. 권선국(1994) 대학캠퍼스 건물에 대한 시각적 질의 평가 모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기홍, 온영태(1999) 대학캠퍼스 확충을 위한 기능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 351-356.
  5. 김수연(2007) 유니버셜 디자인 개념을 고려한 캠퍼스 조경: 나사렛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0(1): 63-73.
  6. 김종표(2008) 대학 캠퍼스 조경 Renovation 계획에 관한 연구: 국립창원대학교 사례 연구.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1(2): 25-39.
  7. 김현(2006) 부곡온천과 기노사끼온천 관광지 가로경관 비교분석: 색채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4(5): 24-31.
  8. 박인수(2006) 경계와 장소화를 통한 대학캠퍼스 커뮤니티센터 계획에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형진(2004) 대학 마스터플랜에서의 시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흥수(2007) 漢字數字의 문화적 의미. 중국학연구 39: 3-32.
  11. 배현식, 박시환(1994) 장소인식의 특징에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2): 115-118.
  12. 손수진, 남영숙(2008) 에코캠퍼스의 이론적 고찰 및 국내.외 사례분석. (사)한국환경교육학회 발표논문집. pp. 85-90.
  13. 엄붕훈, 한성미(1997) 캠퍼스 공간설계 유형에 따른 이용자의 지각반응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2): 104-116.
  14. 여혜진(2007) 대학 지역사회 간 협력적 파트너쉽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여혜진, 김광중(2008) 대학 지역사회 협력적 졔획의 한국적 여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3(5): 91-106.
  16. 유병안(1996) 대학캠퍼스와 지역사회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근욱(1995) 대학캠퍼스계획의 교지기준에 관한 기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충수(2008) 영어 고전동화와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숫자3의 의미. 현대영어영문학 52(4): 183-198.
  19. 이호진, 김학철(1991) 대학캠퍼스 외부공간의 연계성과 위계성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 발표논문집 11(2): 307-312.
  20. 임승빈, 변재상, 박창석(2000) 이용자 행태를 고려한 대학캠퍼스 시설 배치에 관한 연구: 캠퍼스내의 공동이용시설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10): 55-62.
  21. 임진철, 정성원(2007) 서울시 대학교 담장개방 녹화사업을 통한 오픈 공간 활용 사례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7(1): 703-706.
  22. 정재욱(1995) 대학 캠퍼스 마스터플랜 계획 기법의 개념 및 연계작업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8): 133-141.
  23. 조용준, 최효성(1993) 대학캠퍼스의 공간배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4): 23-34.
  24. CABE(2004) The Value of Public Space. London: CABE.
  25. Dober, Richard P.(1963) Campus Planning. New York: Reinhold Pub. Co.
  26. Rodin, Judith(2007) The University and Urban Revival: Out of the Ivory Tower and Into the Streets(The City in the 21century).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7. Turner, Paul Venable(1984) Campus: An American Planning Tradition. Cambridge, Massachusetts: The MI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