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Electron Beam for Accelerating Composting of Sewage Sludge

하수슬러지 퇴비화촉진을 위한 전자빔의 응용

  • 강호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 신경숙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 정지현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 Received : 2010.06.07
  • Accepted : 2010.06.2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A feasibility test for accelerating composting of sewage sludge irradiated with electron beam(3kGy) was investigated. Dried wood chip and leaves were used as a bulking agent and carbon source, respectively. The test variables included changes in temperature, organics and nutrients, and bioactivities from experimental and control composters. Results indicates that the temperature rose up to $60^{\circ}C$ within 1 day and maintained high temperature above $50^{\circ}C$ for more than 5 days in the irradiated sludge cake composter. It resulted in the fast degradation of organics during the initial 5 days, showing that approximately 70% of total amount of carbon degraded within 20 days was destroyed. It is likely that the composting of electron beam irradiated sludge cake is able to reduce it's maturing period significantly.

하수슬러지에 전자빔(3kGy)을 조사하여 퇴비화를 촉진하기위한 타당성연구가 수행되었다. 전자빔을 조사한 하수슬러지 탈수케익에 수분조절 및 탄소공급원으로 건조한 나뭇잎을 첨가하고 목편을 혼합한 퇴비단과 전자빔을 조사하지 않은 퇴비단(Control) 과의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 유기물 및 영양염류변화 그리고 미생물 활동도 차이 등을 비교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자빔조사한 하수슬러지퇴비단은 1일이내에 $60^{\circ}C$이상 온도가 상승하였고 Control 퇴비단에 비해 고온기간이 5일 이상 더 지속되었다. 또한 초기 5일 이내에 주발효기간 20일 동안 분해된 전체 유기물양의 70%가 분해되는 등 신속한 퇴비화가 진행되었으며, 퇴비화기간 내내 Control 퇴비단에 비해 DHAe-INT로 측정한 미생물 활동도가 높게 유지되어 전자빔 전처리에 의해 하수슬러지 탈수케익의 퇴비부숙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촌진흥청, 비료공정규격 (2009).
  2. Lessel, T and Suess, A., "Ten year experience in operation of sewage sludge treatment plant using gammar irradiation", Radiat. Phys. Chem., 24, pp. 13-16 (1984).
  3. JAERI, "Sludge pasteurization and upgrading by irradiation-bilateral research cooperation between OAEP and JAERI", Department of radiation research for environment and Resources (1995).
  4. 이관형, 강호, 이현규, 이영은, 이면주, "전자선조사 및 탈수보조제 첨가유무에 따른 하수슬러지 탈수 케이크의 퇴비화 효율평가", 대한환경공학회 2005 춘계학술연구발표회, pp. 1342-1349 (2005).
  5. 류지훈, 이종진, 홍주화, 장기문, 이규승, 박관수, 한기필, "댐부유물 톱밥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퇴비화 연구", 유기물자원화, 18(1), pp. 98-103 (2010).
  6. 신경숙, "하수슬러지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전자빔 응용",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003).
  7. 농촌진흥청, 토양화학분석 (1989).
  8. Kang, H., "Biological flocculation of microalgae",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1987).
  9. Jemenez, E. I and Gracia, V. P., "Evaluation of city refuse compost maturity, A review", Biological waste, 27, pp. 115-142 (1989). https://doi.org/10.1016/0269-7483(89)90039-6
  10. Bertoldi, M. G., Vallini, A. P. and Zucconi, P., "Composting of three windrow compost system", Biocycle, 23(2), pp. 45-50 (1982).
  11. 유영석, 정기운, "공극개선제의 혼합비율에 따른 제지.하수슬러지의 퇴비화과정 중 이화학성 변화", 폐기물자원화, 6(2), pp. 45-57 (1998).
  12. 박주석, 이경희, 배재근, 최종오, "하수오니의 성상 분석에 의한 퇴비화 가능성검토", 대한환경공학회 1995 추계학술대회, pp. 558-561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