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Crossbreeding of Korean Native Duck and Broiler Ducks on Performance and Carcass Yield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이 생산성 및 도체 수율에 미치는 영향

  • 김학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홍의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강보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박미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서보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추효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나승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방한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서옥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황보종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Received : 2010.07.20
  • Accepted : 2010.09.13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the carcass yield of Korea native duck (KND) according to crossbreeding KND and broiler duck (BD). Two hundred forty out of crossbred ducks were divided into 4 strains and selected as 120 ducks separated by sex, respectively. Crossbred ducks were native ducks (female)${\times}$native ducks (male), native ducks (female)${\times}$broiler ducks (male), broiler ducks (female)${\times}$native ducks (male), and broiler ducks (female)${\times}$broiler ducks(male) as A, B, C and D, respectively. Broiler duck diet was fed as experimental diet for 0~3 weeks (CP 22.0%, ME 2,900 kcal/kg) and 3~8 weeks (CP 18.0%, ME 3,000 kcal/kg). Body weight of male was high compared to female, and that of B and C was high compared to A and low compared to D at 3 and 8 week (P<0.05). Body weight gain of male was high compared to female at 3~8 weeks and 0~8 weeks, and it was shown as D>C>B>A on body weight gain (P<0.05). In case of feed intak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nd B and C were high compared to A and low compared to D (P<0.05). Male feed requirement was high at 3~8 week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and B, C and between B and D. Carcass yield of 4 strains was shown as 70.1%, 70.8%, 73.1% and 71.2%, respectively. Finally, Crossbreeding of KND and BD may improve the performance and the carcass yield of KND.

본 시험은 토종오리와 육용오리를 교배 조합하여 토종오리의 생산성과 도체 수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 동물은 청둥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으로 발생한 4계통의 오리들을 암수 각각 120수씩 선별하여 총 240수를 이용하였다. 교배 방법은 토종오리(female)${\times}$토종오리(male), 육용오리(female)${\times}$토종오리(male), 토종오리(female)${\times}$육용오리(male), 육용오리(female)${\times}$ 육용오리(male)4계통을 각각 A, B, C, D로 하고, 암수를 분리하여 계통과 성별에 따라 각각 30수씩 선별하였다. 시험 사료는 육용오리 사료를 0~3주령(CP 22.0%, ME 2,900 kcal/kg)과 3~8주령(CP 18.0%, ME 3,000 kcal/kg)으로 나누어 8주 동안 급여하였다. 체중은 8주령에 암컷에 비해 수컷이 높게 나타났으며(P<0.05), 3주령과 8주령 모두 B, C계통 체중이 A계통 보다 높고 D계통보다는 낮게 나타났다(P<0.05). 증체량은 3~8주령과 0~8주령 동안에는 암컷에 비해 수컷에서 높았으며(P<0.05), 3~8주령 동안의 계통 간 증체량은 D>C>B>A순서로 높았다(P<0.05). 사료 섭취량의 경우, 증체량과 마찬가지로 암수간의 비교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A계통에 비해 B계통과 C계통이 높았고, D계통이 다른 계통들에 비해 가장 높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3~8주령에 수컷이 높았으며(P<0.05). 계통간 사료 요구율은 3~8주령과 0~8주령에는 A계통과 B, C계통, B계통과 D계통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4계통의 생체중과 도체중에 따른 도체 수율은 4계통이 각각 70.1%, 70.8%, 73.1% 및 71.2%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은 토종오리의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Chartrin P, Meteau K, Juin H, Bernadet MD, Guy G, Larzul C, Remignon Mourot J, Duclos M, Baeza E 2006 Effects of intramuscular fat levels on sensory characteristics of duck breast meat. Poultry Sci 85:914-922. https://doi.org/10.1093/ps/85.5.914
  2.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https://doi.org/10.2307/3001478
  3. Farhat A, Chavez ER 2000 Comparative performance, blood chemistry, and carcass composition of two lines of Penkin ducks reared mixed or separated by sex. Poultry Sci 79:460-465. https://doi.org/10.1093/ps/79.4.460
  4.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4 Nutrient Requirements of Poultry. 9th rev ed.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5. SAS 1999 SAS/STAT Software for PC. SAS Institute, Cary, NC, USA.
  6. 강근호 정태철 양한술 김상호 장병귀 강희설 이덕수 이상진주선태 박구부 2006 오리고기의 포장방법이 냉장저장 중 육색과 지방 산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3(1):7-14.
  7. 국길 김정은 정광해 김재필 고홍범 이재일 김창렬 김광현 2002 죽초액의 첨가가 육용오리의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9(4):293-300.
  8. 국길 김정은 정진형 김재필 선상수 김광현 정완태 정광화 안종남 이병석 정일병 양철주 양재은 2005 알칼리장석-일라이트가 육용오리의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2(4):245-254.
  9. 김경수 이준훈 신명수 조미선 김영필 조성구 강연중 2005 Astaxanthin을 생성하는 Phaffla rhodozyma를 포함한 미생물제제의 급여가 오리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2(2):73-80.
  10. 남기택 최도영 김광경 2006 오리농업으로 생산한 유기오리 사료개발과 오리육 가공기술개발. 농림부 최종보고서.
  11. 오리통계자료 2010 농림수산식품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 학원.
  12. 이관호 최일신 남기택 김상현 오윤길 이치호 최강덕 2007 사양관리에 따른 오리육의 가공 적정성에 관한 연구.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7(2):203-208.
  13. 이우진 이규호 2005 고령토를 첨가한 사료의 급여가 육용오리의 능력과 생산물의 품질 및 사육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2(2):81-87.
  14. 임계택 이정채 정진형 정우진 김태환 2000 MS 발효 잔반사료가 청둥오리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19(4):332-338.
  15. 채현석 유영모 안종남 김동훈 함준상 정석근 이종문 최양일 2005 출하 일령에 따른 오리육의 수율, 물리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 변화.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5(3):304-309.
  16. 한국가금사양표준 2007 농림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Cited by

  1. Performance of Early Laying Period of Large-Type Korean Native Ducks vol.40, pp.1, 2013, https://doi.org/10.5536/KJPS.2013.40.1.017
  2. Investigation of Microsatellite Markers for Traceability and Individual Discrimination of Korean Native Ducks vol.42, pp.1, 2015, https://doi.org/10.5536/KJPS.2014.42.1.1
  3.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Quality Traits of Breast Meat from Korean Native Ducks and Commercial Ducks vol.35, pp.1, 2015, https://doi.org/10.5851/kosfa.2015.35.1.114
  4. Assessment of Breed- and Sex-based Variation in Flavor-related Compounds of Duck Meat in Korea vol.42, pp.1, 2015, https://doi.org/10.5536/KJPS.2014.42.1.41
  5. Laying performance of two pure-line Korean native ducks at different house types vol.39, pp.1, 2012, https://doi.org/10.7744/cnujas.2012.39.1.053
  6. Evaluation of Korean Native Ducks on Production Efficiency Factor, Carcass Yield, Partial Meat Ratio and Meat Quality with Weeks vol.40, pp.2, 2013, https://doi.org/10.5536/KJPS.2013.40.2.121
  7. Growth Performance, Carcass Yield, and Quality and Chemical Traits of Meat from Commercial Korean Native Ducks with 2-Way Crossbreeding vol.28, pp.3, 2015, https://doi.org/10.5713/ajas.13.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