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육용오리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HPAI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 철새로 뒤덮인 대한민국 안전지대는 없다

  • 한국오리협회
    • Monthly Duck's Village
    • /
    • s.212
    • /
    • pp.10-28
    • /
    • 2021
  • 충남 천안시 풍세면을 지나는 봉강천 야생조류에서 H5형 항원이 10월 23일 검출됨에 따라 철새 정보 알리시스템 발령기준에 의거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주의단계가 발령됐다. 주의단계 발생 한달 후인 11월 26일 전북 정읍에서 3년 만에 육용오리 농장에서 고병원성조류 인플루엔자 발생했다. 이 때부터 시작된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는 2월 15일 현재까지 100여 농장에서 발생했으며 예방적 살처분을 포함해 473농가에서 2천800여만수의 가금류가 살처분됐다. 이중 오리는 육용오리 92농가 177만1천수, 종오리 22농가 18만수가 살처분조치가 취해졌다. 닭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어 보이지만 실상 오리산업의 기반이 크게 위축될 정도의 피해를 가져다 줬다. 2020년도 9월말 가축통계를 기준으로 육용오리는 20%, 종오리는 24%에 해당하는 것이다. 특히 이번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는 산란계에 특히 큰 피해를 줌으로써 계란 수급에 비상이 걸렸으며 급기야 계란을 긴급 수입하는 사태에 이르렀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방역당국도 살처분 범위를 조정하는 등 피해 최소화를 위해 나서고 있다.

  • PDF

육용오리 사료급여관리

  • Korea Duck Association
    • Monthly Duck's Village
    • /
    • s.57
    • /
    • pp.34-37
    • /
    • 2008
  • 오리 농가의 수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료비이다. 균형이 잘 이루어진 사료는 오리의 생산성을 최대로 하고, 오리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오리의유지, 생산, 성장 그리고 번식을 위해서는 오리의 에너지/단백비를 충족하는 사료를 급여하여야 한다. 사료비를 낮게 유지하는것은 오리농가의 수입과 직결된다. 이를 위해서는 농장에서 직접 생산하는 양질의 조사료를 최대한 급여하고, 가능한 최소 비용으로 최적의 육용오리을 위한 사료를 급여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오리정보

  • Korea Duck Association
    • Monthly Duck's Village
    • /
    • s.17
    • /
    • pp.4-9
    • /
    • 2000
  • PDF

오리정보

  • Korea Duck Association
    • Monthly Duck's Village
    • /
    • s.28
    • /
    • pp.14-19
    • /
    • 2002
  • PDF

오리정보

  • Korea Duck Association
    • Monthly Duck's Village
    • /
    • s.21
    • /
    • pp.10-16
    • /
    • 2001
  • PDF

오리정보

  • Korea Duck Association
    • Monthly Duck's Village
    • /
    • s.9
    • /
    • pp.3-6
    • /
    • 1999
  • PDF

Effect of Crossbreeding of Korean Native Duck and Broiler Ducks on Performance and Carcass Yield (토종오리와 육용오리의 교배 조합이 생산성 및 도체 수율에 미치는 영향)

  • Kim, Hak-Kyu;Hong, Eui-Chul;Kang, Bo-Seok;Park, Mi-Na;Seo, Bo-Young;Choo, Hyo-Jun;Na, Seung-Hwan;Bang, Han-Tae;Seo, Ok-Suk;HwangBo, Jong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37 no.3
    • /
    • pp.229-235
    • /
    • 2010
  •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the carcass yield of Korea native duck (KND) according to crossbreeding KND and broiler duck (BD). Two hundred forty out of crossbred ducks were divided into 4 strains and selected as 120 ducks separated by sex, respectively. Crossbred ducks were native ducks (female)${\times}$native ducks (male), native ducks (female)${\times}$broiler ducks (male), broiler ducks (female)${\times}$native ducks (male), and broiler ducks (female)${\times}$broiler ducks(male) as A, B, C and D, respectively. Broiler duck diet was fed as experimental diet for 0~3 weeks (CP 22.0%, ME 2,900 kcal/kg) and 3~8 weeks (CP 18.0%, ME 3,000 kcal/kg). Body weight of male was high compared to female, and that of B and C was high compared to A and low compared to D at 3 and 8 week (P<0.05). Body weight gain of male was high compared to female at 3~8 weeks and 0~8 weeks, and it was shown as D>C>B>A on body weight gain (P<0.05). In case of feed intak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nd B and C were high compared to A and low compared to D (P<0.05). Male feed requirement was high at 3~8 week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and B, C and between B and D. Carcass yield of 4 strains was shown as 70.1%, 70.8%, 73.1% and 71.2%, respectively. Finally, Crossbreeding of KND and BD may improve the performance and the carcass yield of KND.